2010년 12월 15일, 중국최대검색엔진 바이두(百度)의 검색데이타연구센타(百度数据研究中心)의 2010년 검색결과발표에 따르면 "물가物价"가 매일 10만회정도의 검색량을 보이면서 2010년 중국 핫키워드에 올랐다.
2010년 중국의 물가는 계속 상승하였으며, 특히 10월이후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역사상 최고를 기록을 갱신하며 상승하였기에 매달 20만회가 넘는 검색량을 보였다. 물가에 대한 관심은 남자가 여자보다 30%이상 높았으며, 20~39세 사이의 연령대가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4. SNS는 런런과 카이신. SNG는 텅쉰의 QQ농장.
왼쪽표는 2010년 제3분기 SNG 관심점유율로서 52.6%의 런런부터 시계방향으로 카이신왕, 51.com, QQ시아오요우, 쥐요우왕.
오른쪽표는 2010년 제 3분기 SNG 서비스 관심점유율로서 위쪽부터 QQ농장, QQ목장, 장미농촌, 파킹, 카이신농장, 티엔슈치탄, 마티엔따로우, 모파카피엔, 실크로드영웅, 카이신바오빼이.
5. SNG에서 네티즌이 관심을 가지는 정보.
위에서부터 SNS, 도우미/친구, 게임이름, 자동사냥프로그램, 메인페이지와 등록, 게임내용, 공략/기술, 업그레이드방법, 문제/버그, 다운로드.
6. SNG 사용자는 점차 남녀노소에 관계 없이 관심을 가지고 있음.
왼쪽표는 2010년 제 3분기 SNG에 관심을 가지는 성비. 왼쪽은 SNG, 오른쪽은 대형온라인게임이며, 녹색은 여성, 파란색은 남성이다.
오른쪽표는 2010년 제 3분기 SNG에 관심을 가지는 연령. 왼쪽은 SNG, 오른쪽은 대형온라인게임이며, 위에서부터 50세이상, 40-49, 30-39, 20-29, 19세이하.
7. SNG 사용자의 취향은 전체네티즌과 대동소이.
SNG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핫키워드. 왼쪽부터 영상, 게임, 오락, 부동산, 문학, 금융/재정, 여행, 교육, 소프트웨어, 음악. 파란색은 SNG 사용자이며 빨간색은 전체네티즌.
8. SNG 사용자의 독특한 일면.
왼쪽은 SNG 사용자들이 보다 관심을 가지는 항목으로서, 위에서부터 완구, 결혼서비스, 생산업, 게임, 부동산, 애니메이션, 오락, 생활서비스, 체육, 채팅.
오른쪽은 SNG 사용자들이 보다 관심을 가지지 않는 항목으로서 위에서부터 중형자동차, 사무용품, 음식, 통신, 위생용품, 가전제품, 보석류, 의료, 교통, 에너지/화학
중국 최대 검색싸이트 바이두(baidu 百度)와 중국 최대 IM 서비스(QQ)이자 최대 게임퍼블리셔 텅쉰(腾讯)의 서비스비교입니다. 양 측 모두 자신의 본래 분야에서 시작하여서 다양한 루트로 확장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를 단순비교를 하면 바이두의 사용자는 비교적 나이가 많고, 검색이라는 인터넷통로를 잡고 있습니다. 그에 비하여 텅쉰은 IM과 게임을 통해서 압도적인 사용자숫자와 부과서비스수익을 얻고 있지만 IM이나 게임의 특징상 한순간에 무너질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중국IT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을 위해서 한마디만 조언을 한다면, 아래 서비스는 바이두와 텅쉰이 개발한 서비스임은 분명하지만, 해당 서비스계열 최고는 아니라는 점은 꼭 명심해두었으면 한다.(물론 해당 서비스 최고점유율도 있긴 하지만...)
2010년 11월 28일 신찡빠오(新京报)에 따르면 베이징의 한 젊은이가 10여종의 폭탄제조방법을 재미있다고 여겨서 바이두Doc에 업데이트하였다. 이 문서는 바이두Doc의 심의를 통과하였고, 2000여회의 열람횟수를 기록하였는데, 업데이트한 젊은이는 "범죄방법전파죄"로 고소를 당하여 차오양(朝阳)법원으로부터 6개월 구류형을 언도받았다.
바이두DOC(百度文库)는 중국 최대 검색싸이트 바이두(Baidu 百度)에서 제공하는 온라인문서공유프로그램이다. 그런데 바이두DOC은 과거에도 쎵따盛大나 출판기구 혹은 작가등으로부터 여러차례 저작권위반으로 소송을 받아왔다. 그러나 바이두는 "네티즌이 자율적으로 업데이트를 한다"라는 이유로 그 동안 소송을 회피하면서, 네티즌들이 올리는 글의 선정성과 위법내용만을 검사하였지 판권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였다.
바이두의 이러한 행위에 대해서 관계자들은 "바이두 DOC가 죽지 않으면 중국의 창작문학은 죽을 것이다.百度文库不死,中国原创文学必亡"라며 강력하게 항의를 하고 있지만 해결은 요원해보인다.
이번 사건의 또 다른 문제점은 바이두는 스스로 심사행위를 함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심사행위를 통과한 문장이 법적으로 걸렸을 경우에도 그 책임은 어디까지나 사용자에게 돌리고 있다. 이번 사건에서도 "범죄방법유포죄"는 어디까지나 업데이트를 한 네티즌이 짊어져야 했으며, 바이두는 "네티즌 스스로가 한 행위"라며 발뺌을 하였다.
바이두DOC는 공유정신을 부르지으면서 정작 스스로는 공유에 따라오는 책임에 대한 부분은 완전히 방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책임을 이에 무지한 네티즌의 몫으로 돌리고 있다. 이번 사건은 인터넷기업의 저작권과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인듯 하다.
이관구워지 (易观国际 Analysys International)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3분기 중국의 일간 모바일검색량은 4.62억회에 이르러서 연계대비 15.2% 성장하였고, 동기대비 56.1% 성장하였다. 그 중에서 바이두가 35.26%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인터넷검색시장에서 60%이상의 검색점유율을 보이는 바이두를 생각하면 모바일검색시장에서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010년 3분기 중국모바일 검색시장 점유율
2010년 3분기 중국 모바일검색 PV 비율
바로바로의 중얼중얼 :
중국의 모바일검색시장은 성장 속도가 조금 느려지긴 했지만, 아직도 발전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그리고 바이두가 온라인 검색을 거의 점령하고 있는 것과 다르게 아직은 춘추전국시대이다. 다만 구글이 중국시장에서 벗어난 이후 점차 그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으며, 그 세력을 누가 흡수할 수 있을지가 단기간의 핵심이 될 듯 보인다.
360이 텅쉰QQ의 대항마로 새로 발표할 예정이라는 chat2010 beta 1.0 의 캡쳐사진.
11월 5일 텅쉰과 같이 360가 "업계의 질서를 혼란스럽게 한다"며 연합성명을 같이 발표했던 중국워드업계의 강자 진과 중국어입력기의 강자 소우고우 그리고 중국검색시장의 황제 바이두는 텅쉰이 11월 4일에 360를 텅쉰의 프로그램과 호환하지 못한 행동에 발 맞추어 자신들의 프로그램도 360과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루머가 널리 퍼져있다.
현재 아직까지 실제 적용이 되지 않고 있고, 해당 업체들의 공식적인 발표가 없어서 사실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우나 정황상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연합전선의 사용자수와 충성도를 생각하면 360의 미래는 상당히 불안한 상태라고 밖에 말 할 수 없다. 그러나 연합이라고 하지만 서로간의 이익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기에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360도 조용히 있지만은 않았다. 이미 티엔야(天涯)에서는 텅쉰의 QQ의 독점적인 위치를 위협하기 위해서 360가 자체적으로 인터넷메신져를 만든다는 루머가 강력하게 대두되었다. 그리고 오늘 오후에는 실제 베타버젼이라고 추정되는 스크린샷이 유포되었다. 물론 360의 공식적인 발표가 없기에 아직 확정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현재는 분명 양측 모두 어느 정도 양보를 한 상태로 화해국면이 조성되는 듯 보였다. 360는 사실상 이기기 어려운 싸움을 포기하는 듯 하였고, 텅쉰은 이겨도 온 몸이 걸래가 되는 승부를 피하려고 한 듯 보였다. 그러나 뒤 쪽에서는 서로를 단 칼에 베어버릴 비수를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다.
* 솔직히 본인이 소개하지 않은 수 많은 세부사항이 있지만,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에 넘긴다. 다만 이번 싸움은 정말 재미있으며, 더더욱 재미있게 변화할 것이라는 예감이 떠나지 않는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공식적으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중국 IT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중국정부측이 이 전쟁에서 언제 어떤 형식으로 나타날지를 지켜보는 것도 즐거운 관전 포인트라는 점을 언급해본다. 특히 WOW 때처럼 정부부문끼리 싸우는 난장판이 일어나면 정말 볼만 할 것이다. -_
IT에 조금 관심이 있으시면 구글이나 애플 그리고 아마존이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아시리라 봅니다. 바이두는 중국 최대의 검색싸이트인데 검색결과의 상단에 위치하는 주소는 경매를 통해서 결정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이는 사용자들에게 정확한 검색결과보다는 돈을 많이 쓰면 상단에 올라간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텅쉰은 초기 사업인 중국최대의 인터넷메신져 QQ부터가 ICQ의 변종인 것부터 시작하여서 게임부터 시작하여서 온갖 인터넷 서비스들중에 제대로 자체 개발한 것이 없이 배껴오기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IT쪽에서도 짝퉁왕국이라는 눈총을 받을 정도입니다.
바로의 일기?! : .....iphone으로 몇 가지 실험을 하다가 망했습니다. 지금까지 대충 14시간 동안 해킹을 시도하는데 탈옥(제일브레이크)는 별 문제 없이 되는데 언락이 이상하게 꼬이면서 안되는군요. 크어어어어어...............이건 머냐고!!!!!!!!!!!
바이두는 허밍으로 MP3을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내부테스트 하고 있습니다. 이는 바이두 최초의 음성검색 서비스로서 바이두도 미래의 검색시장이라는 음성검색시장에 정식으로 진출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노래 가사도 생각이 나지 않고 허밍만 하면서 답답해했던 적이 있는데 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을 한다면 이제 쉽게쉽게 노래를 찾을 수 있겠군요. 다만 바이두는 MP3 검색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국제적으로 진출하기는 힘들겁니다. 현재의 중국이니까 어떻게 어물쩡 넘어가는거지.
바이두(baidu 百度 BIDU)는 중국 최대의 검색엔진으로서 2000년 1월 리엔홍李彦宏과 쉬용徐勇이 베이징 중관촌中关村에서 설립한 회사이다. 바이두百度라는 명칭은 송나라 시인 신기질辛弃疾의 시인 "수 많은 사람 들 중에서 모든 곳으로 그를 찾는다[footnote][/footnote]"에서 유래하였다. 현재 바이두는 중국검색시장의 60%이상을 장악하고 있으며, 2007년 영업액은 17.444억 인민폐이고 약 7000여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바이두의 모토는 "바이두를 하면 당신은 바로 알 수 있다!"이다.
바이두의 모체인 baidu.com은 사실 1999년 말 미국 실리콘벨리에서 리엔홍李彦宏과 쉬용徐勇세워졌다. 2000년 1월 바이두는 중국에 바이두인터넷기술 유한공사百度网络技术有限公司을 세웠으며, 같은 해 10월 션젼深圳에도 분사를 만들었다. 2001년 6월에는 상하이上海에도 사무실을 만들었다. ([중국이야기/중국 IT] - Baidu는 중국기업이 아니다.)
바이두의 검색기술은 기본적으로 구글의 PageRank방식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PageRank를 가장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들이 어떤 싸이트에 대한 링크를 많이 할 수록 해당 싸이트을 믿을 만 하다는 분석에서부터 나왔다. 구글의 PageRank 기술은 그 동안 야후의 수동적인 검색포털에 혁명적인 전환을 가져오게 된 기술이다.
바이두는 현재 20억이 넘는 중국어 페이지를 수록하고 있으며, 하루에도 전세계 138개국에서 수억회의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현재 7만명의 사용자가 바이두를 시작페이지로 설정해놓고 있다. 2004년부터 바이두는 구글보다 훨씬 더 뛰어난 중국어 검색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재미있는 광고를 내놓으며 중국어사용자들의 최고 검색엔진으로 떠올랐다.
바이두의 영업이익은 대부분 검색결과 경매시스템 P4P(Pay for Performance)에서 나오고 있다. 사업자측은 일정 키워드에 대하여 바이두의 경매시스템을 통하여 다른 사업자와 경쟁입찰을 하며, 그 결과에 따라서 일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노출에서 상위에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정확한 검색결과보다는 사업자의 이익이 우선시되며, 심지어 불법싸이트에 대해서 바이두가 일부러 눈감아주거나, 거대 사업자의 불미한 소문을 고의적으로 검색결과에서 삭제함에 따라서 불만이 쌓여가고 있다.
2006년 12월 4일 바이두는 국제화전략으로 2007년 일본검색시장으로 진출할 것을 선포하였다. 당초의 계획에 따르면 3~5년내에 일본검색시장의 5%~10%을 도달할 예정이었다. 베타서비스 과정을 거쳐서 2008년 1월 23일 일본검색시장 정식서비스를 선포한 이후 youtube가 일본진출이후 한달동안 기록한 트래픽을 돌파하면서 이미지와 동영상에서 일본 최대 검색페이지수와 싸이트에 머문 시간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국에서의 접속이 대다수였으며, 이미지와 동영상은 성인자료를 무차별적으로 노출하게 됨으로 인하여 벌어진 일이었다. 오히려 바이두는 검색봇을 무차별적으로 살포하여 일본네티즌들에게 상당한 비판과 비난을 받았으며 앞으로의 미래도 불투명하다.
2008년 10월 8일 바이두는 youa.com을 만들며 C2C공략을 정식으로 선포하였다. 그리고 중국 C2C 업계의 패자 타오바오(taobao 淘宝)와의 전쟁 아닌 전쟁에 돌입하였다. (바이두 C2C시장으로 진격 - 중국IT 최대의 감자;바이두-타오바오왕 2차전 돌입)하지만 지금까지 타오바오의 자리는 흔들리지 않았으며 바이두의 C2C 공략은 일단 실패로 돌아갔다고 판단되고 있다.
2009년 11월 9일 통계에 따르면 바이두는 Alexa 세계 9위이며, 중국 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0년 구글이 중국시장에서 철수하였지만 검색량 자체는 아직 늘어나지 않고 있다. 다만 구글과의 광고계약을 해지한 사업자들이 바이두로 올 경우 상당한 반사이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바로의 중얼중얼 : 1) 구글의 중국어버젼.
2) 중국정부의 의도에 따라서 철저한 검색검열실시.
3) 다양한 분야와 국제화를 위해 노력중이지만 중국국내시장에서도 다른 분야로의 진출이 원활하지 않고, 국제화전략도 전략미스나 구글철수로 인한 반사적인 이미지 타격으로 미래가 밝지만은 않음.
현재 구글차이나 google.cn으로 접속을 하면 자동적으로 구글홍콩 google.com.hk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런데 중국네티즌이 재미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구글 홍콩에서 씨발이라고 검색을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1) "씨발" 혹은 "니 에미를 XX"정도로 번역될 수 있는 중국욕인 你妈逼을 검색키워드에 넣습니다. 왠지 두근두근거립니다. (2) I'm feeling lucky~~~ 手气不错 를 눌러줍니다. 이것은 구글한국에도 있으며 검색의 맨 처음 결과에 자동적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어디로 갈까요? 두둥!!!
현재 중국정부가 시키는대로 철저하게 복종을 하면서 검색검열을 실시하여 개인정보 노출 및 키워드광고 비리 그 외에 온갖 삽질을 다하고도 중국점유율 66%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바이두 (baidu.com)였습니다.
물론 위의 사항은 단순한 우연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맞습니다. 실제로 당신(你)이라는 한자로만 검색을 하여도 바이두메인이 뜨게 됩니다. 그러나 중국네티즌들은 이러한 글을 올리면서 바이두와 정부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물론 구글팬들 답게, “우리도 똑같은 비방전을 할 필요도 없고 해서도 안된다”라는 의견이 주도적입니다.
다시 반복합니다. 단순히 유머로서 바라봐주시기 바랍니다. 단순한 우연입니다. 하지만 조금 많이 웃었고, 조금은 기분이 풀리는 듯 하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트위터을 해킹하여서 이름을 날린 이란 인터넷부대(Iranian Cyber Army 伊朗网军)의 다음 목표는 중국의 바이두(baidu)였다. 1월 12일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바이두로의 정상적인 방문이 불가능하였다.[각주:1]
중국 최대의 검색싸이트 Baidu.com가 당한 이번 해킹은 지난번의 트위터해킹(이란사이버부대 트위터를 점령하다)과 동일한 DNS 공격으로 추측되고 있다. 바이두를 접속을 하면 위의 페이지에서 보이는 것 처럼 자동으로 야후의 오류화면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번 행위에 대해서 중국매체는 이란인터넷부대가 트위터에서 이란내 반이란세력을 지지하는 중국인들에 대한 경고로서 해당 행동을 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번 트위터 해킹과는 다르게 이란 사이버부대의 선언문이나 로고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과 야후의 오류페이지로 넘어간다는 점을 고려하고, 무엇보다 중국에서 트위터을 접속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다는 점을 생각함녀 이란 사이버부대의 행동인지 매우 의심스럽다. 무엇보다 중국정부와 이란정부간의 실질적인 동맹관계를 생각하면 더욱 더 이번 행동이 이란 사이버부대의 소행으로 치부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각주:2].
북경시간 2010년 1월 12일 13시 현재 Baidu의 접속은 정상을 회복하였으며 접속에 문제가 없다.
* 북경시간 2010-1-12일 오전 8:55:16 DNS 데이타
Registrant:
Domain Discreet
ATTN: baidu.com
Rua Dr. Brito Camara, n 20, 1
Funchal, Madeira 9000-039
PT
Phone: 1-902-7495331
Email: 036f37850a14115101201f9483195f63@domaindiscreet.com
Registrar Name....: Register.com
Registrar Whois...: whois.register.com
Registrar Homepage: www.register.com
Domain Name: baidu.com
Created on..............: 1999-10-11
Expires on..............: 2014-10-11
Administrative Contact:
Domain Discreet
ATTN: baidu.com
Rua Dr. Brito Camara, n 20, 1
Funchal, Madeira 9000-039
PT
Phone: 1-902-7495331
Email: 036f376a0a14115100199c0316d64ebb@domaindiscreet.com
Technical Contact:
Domain Discreet
ATTN: baidu.com
Rua Dr. Brito Camara, n 20, 1
Funchal, Madeira 9000-039
PT
Phone: 1-902-7495331
Email: 036f37860a14115101c8a6d69ced14a8@domaindiscreet.com
DNS Servers:
yns1.yahoo.com
yns2.yahoo.com
Information Updated: Tue, 12 Jan 2010 00:55:16 UTC
수 많은 신문사와 블로그 기사에서 중국IT 시장을 이야기 하면서 외국기업의 중국진출이 매우 힘들다고 말한다. 그 중에 자주 거론되는 것이 Baidu가 검색시장에서 약 6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면서 Google의 중국진출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Baidu 자체가 중국토종기업이 아니기에 이 이야기는 그 기본부터가 성립되지 않는다.
Baidu을 중국기업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다. 외국인들은 말할 것도 없이 대부분의 중국인들도 Baidu을 중국기업이라고 생각하고 믿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도 과연 그럴까?
1) Baidu의 이름
Baidu라는 말은 남송시기의 시인 신기질(辛弃疾)의 유명한 시 "수 많은 사람들 중에 그를 수백번이고 찾았지만, 갑지가 고개를 돌려 바라보니 그 사람은 흐린 등물 아래 있구나.[각주:1]" 에서의 百度에서 왔다. 중국냄새가 풀풀 풍기지 않는가? 그러니 중국기업으로 생각하기 좋다. 그러나 조금만 자세히 살펴보면 중국기업이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Baidu의 역사 2.1. 설립자들
바이두의 창시자는 리엔홍(李彦宏 Robin Yanhong Li)과 쉬용(徐勇 Eric YongXu)이다. 리엔홍은 1991년 북경대학교 데이타관리학과를 나와서 미국 University at Buffalo,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에서 컴퓨터과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8년 동안 미국에 있으면서 Dow Jones &Company나 Infoseek등의 회사에 근무하였다. 쉬용의 경우 1982년 북경대학교 생물학과에 입학하여서 1989년까지 북경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의 장학금을 받고 미국Texas A&M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박사후(포스닥)을 받은 생물학자였다. 그는 미국 10년 생활동안 생물관련 기업인 QIAGEN 과 Stratagene에서 영업을 담당하였다.
2.2. 설립과정 이 둘은 2000년 1월 18일 영국령 Cayman Islands에 Baidu.com,Inc을 설립한다. Cayman Islands은 1978년 영국활실의 명령으로 영원한 면세혜택을 받기때문에 수 많은 회사들이 Cayman Islands에 회사를 설립하고는 한다. 유명한 탈세의 천국중에 하나이다. 그 뿐만이 아니라 또 다른 면세천국 영국령Virgin Islands,BVI에 Baidu HoldingsLimited을 설립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Baidu 자신들의 소개에는 빠져있다. Baidu의 소개에는 중국 베이징 중관촌(中关村)에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Ltd[각주:2].을 설립한다. 그런데 이 회사는 어디까지나 외자기업이었다. 이는 Baidu 자신의 기업소개에도 나온다. 스스로를 外商独资으로 부르고 있다. 한국에서 보통 외자기업(外资企业)이라고 부르는 회사로서 100% 외국계자본으로 이루어진 기업을 말한다. Baidu의 경우 중국의 법률을 준수하며 중국경내에 설립된 회사이지만, 그 자본은 모두가 외국투자자에의해서 만들어졌다. 그리고 보통 외자기업은 외국계기업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Baidu는 스스로를 외자기업이라고 발표했음에도불구하고 일반 사람들에게는 중국기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해당 회사는 처음에는 중국기업에 검색어광고(P4P pay-for-performance)을 제공하는 회사였다. 그러나 중국법율에서 회자기업의 활동을 매우 제약되기에 2001년 6월 5일 중국베이징에서 자회사를 설립하게 된다.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Ltd[각주:3].으로서 중국자본회사였다. 해당 회사는 이엔홍과 쉬용이 각각 75%과 25%의 주식을 가지고 있었고, 중국정부로부터 인터넷기업허가와 온라인광고허가을 받게 된다. 보통 알고 있는 Baidu.com이나 Hao12.com이 모두 이 후자에 속해 있다. 그 뒤 2005년 6월에 다시 중국 상하이에 자회사를 설립한다. Baidu China Co., Ltd[각주:4].으로 중국남부를 책임지게 된다.
2.4. 융자과정 그런데 이 때까지의 Baidu는 3차례의 융자을 받는다. 처음 두번은 1999년과 2000년으로 각각 미국의 벤쳐투자기관인 DraperFisher Jurvetson ePlanet Ventures와 IDG Technology VentureInvestment으로 부터 120만달러와 1000만달러를 받는다. 3차융자는 2004년 6월로서 역시 미국의 8대 기업이 주축이 되어서 융자를 한다. 재미있는 것은 3차 융자자 명단에는 Google도 1000만달러를 투자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 2004년 말에 Baidu의 총자산은 3168만달러이며, 영업액은 1340만달러, 순이익은 145만달러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다. 이러한 성장속도는 멈추지 않아서 2006년에는 순이익만 500만달러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 이익은 어디로 갔을까?
2.5. NASDAQ 2005년 8월 5일 Baidu는 미국 NASDAQ에 상장된다. 그런데 가장 큰 이익을 본 곳은 어디일까? 참고로 상장된 회사는 baidu.com을 책임지는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Ltd이 아닌 영국령 Cayman Islands에 설립된 Baidu.com,Inc였다. 그리고 이곳에 융자를 해주었던 모든 기업은 미국계기업이다. 주식이나 투자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이 정도면 눈치채셨으리라 본다. 바로 미국의 벤쳐투자회사들이다.
2.6. Baidu의 실제 주식보유비율 창시자인 리홍엔은 어디까지나 제 2 주주로서 22.4%을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 Baidu 직원들의 모든 주식보유량을 다 합쳐도 24.8%에 불과하다. 이 둘을 합쳐도 47.2%에 불과한 것이다. 그런데 외국계 기업이나 개인들의 주식 보유를 보면 Draper Fisher Jurvetson ePlanet Ventures L.P.가 25.3%로 Baidu 최대 주주이며 외국계 투자자나 투자기업은 전체의 44.0%을 차지하고 있다. 만약 창업자 주주를 배제한다면 외국계기업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단지 창업자가 중국인일 뿐이다.
3) Baidu는 정말 중국인의 검색인가? - 기술적인 문제. Baidu는 중국인들의 검색이라고 할 수 있을까? 사실 복잡하게 생각할 것도 없다. 바이두의 메인화면을 보면 처음에 떠오르는 것이 바로 Google이다. 한국의 경우 Naver나 Daum을 보면 바이두의 중국현지화에 더욱 큰 의문을 품을 수 있다. Daum의 경우 E-mail 서비스로 시작하여 포털로 전향을 하고 검색이 추가된 형태이다. Naver의 경우는 검색으로 시작했지만 사실상 게임으로 성장한 "포털"이다. 그리고 이들의 검색결과는 기본적으로 Google과는 완전히 다른 "수동으로 최적화된 검색결과"이다. 그러나 Baidu는 Google과 검색엔진이 그리 다르지 않다.
Baidu의 광고 중에서 중국어에 최적화 된 것은 Baidu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 검색을 해보면 Baidu와 Google간의 차이는 거의 없다. 오히려 전문검색으로 가면 Google이 더욱 정확한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Baidu의 현지화전략을 이야기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물론 Baidu는 MP3 검색이나 知道百度와 같은 자체적인 서비스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 정도의 현지화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知道百度는 네이버의 지식인검색을 벤치마킹한 것이고, 해당 서비스가 출현하기 전에 Baidu가 이미 중국검색시장의 패자였던 점을 생각하면 이러한 자체적인 서비스를 가지고 Baidu의 현지화전략이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Google China도 중국어입력법을 개발하는 등의 중국현지화전략을 구사했기 때문이다.
4) Baidu의 성공요인 그리고 한국 기업의 진출.
그럼으로 Baidu의 성공요인을 단순히 중국현지화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본인으로서는 Baidu의 성공요인은 선점을 했다는 점과 중국기업인 척 했다는 것에서 찾고 싶다. 선점의 경우 길게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다만 중국기업인 척했다는 점은 중국 진출에 실패한 Daum이나 진출을 미적미적 미루고 있는 Naver가 명심을 해야될 부분이다. 중국인들은 아직 "애국 마케팅"이 자연스럽고 강력하게 이루어지는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창립자가 중국인이라는 이유로 "중국 기업"이라던지 "중화기업"이라는 거짓말 마케팅이 통하는 것이다.
사실 Naver는 이미 중국시장에서 이러한 교훈을 받아들이고 있다. Naver는 nciku.com이라는 중국시장에서 나름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중영-영중 인터넷 사전싸이트를 운영하면서도 결코 Naver의 자회사라는 것을 밝히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Naver가 nciku.com을 기반으로 확장할 생각이라면 지금 현재 nciku.com의 상층부을 사실상 점령하고 있는 한국인들을 중국인들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 중국시장에 더욱 밀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중국기업인 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중국기업화를 하고, 주식을 잡고서 막후에서 움직이는 것이 진정한 현지화전략인 것이다.
그리고 여러번의 중국진출 실패를 맛보고 현재는 후퇴한 Daum 역시 이 점을 명심하여야 한다. 그 동안 Daum의 중국진출 전략에서 최고사령탑은 언제나 "한국인"이었다. Google이라는 글로벌기업만 하더라도 중국지부의 총 책임은 어디까지나 "중국인"인 것이다. 지금까지 Daum이 실패한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이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령탑은 어디까지나 "중국인"으로 하고 부관으로 "한국인"을 배치하고 한국본부와의 연락과 조율을 맡는 것이 중국시장환경에 더욱 적합하다고 본다.
실제로 중국IT 현장에서 일하셨던 상하이신님이 적어주신 덧글입니다. 덧글까지 안 읽는 분들이 많아서 여기에 추가해놓겠습니다. 이 덧글에 대한 저의 답글은 직접 덧글보기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바로님 오랜만이에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제가 바로님 글에 반론을 한적은 없었는데, 이번 포스팅은 조금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할거 같아서 몇자 남깁니다.
1. 자본의 무국적성 VS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의 차이
바이두는 중국기업입니다. 단지 그 자본이 미국 자본일 뿐입니다. 같은 이유로 SINA, SOHU, QQ 등 대부분의 중국 포털은
미국자본 또는 유럽자본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두가 토종기업으로 포지셔닝한것은 CEO가 중국인이기 때문이 아니라, 창업자가
중국인(유학파) 이었기 때문입니다. 제 중국인 친구가 TUDOU.COM의 CEO인데 그역시 창업자였지만 지금 대주주는 미국
자본입니다. 그럼 TUDOU는 중국 기업이 아닌가요? 중국기업인데 자본이 미국자본이겠지요.
삼성전자는 한국기업인가의 논쟁과 같은것이지요. 자본에는 국적이 의미가 없습니다.
다음과 네이버의 중국진출과는 완전히 유형이 다르단 얘길 하고 싶군요.
2. 네이버의 상층부를 중국 CEO로 교체하라는 주장에 대해
저도 다음차이나의 수장을 해봤고, 말못할 많은 사연이 있었지만, 논리를 너무 한곳으로 몰고가면 일반화의 오류가 나올수 있습니다.
즉, CEO만 중국인으로 교체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처럼 들릴수 있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 LG전자의 중국법인 대표가
중국인인가요? 미국 유럽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했을때 CEO가 중국인인가요? 기업들이 중국인을 CEO로 앉히지 못하는데는 많이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보다는, 현지화를 위한 더 뼈를깎는 노력으로 표현해 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현재 네이버차이나의 수장들이
얼마나 불편하겠습니까^^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이 현지채용으로 주재원을 많이 대체하고 있는거 또한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또한 중국에서의 언론, 통신, 인터넷, 금융 등 규제 산업은 중국 기업들과 공정한 게임을 할수가 없습니다. 지분도 50%이상을
가질수 없구요. 이미 거기서부터 한계는 시작된 것이지요. 아직까지 해외기업으로 포털 비즈니스 분야에서 성공사례가 나오지 않는것
또한 같은 이유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유력한 중국 파트너와의 제휴모델을 선호하는데, 사실 제가 지사장시절 QQ와의 쇼핑부문
조인트벤처를 거의 성사시킬뻔 하다가 본사의 반대로 무산된것이 가장 마음아픈 과거였지요.
각설하고, 실패의 요인을 너무 한곳으로 스팟라이트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두가지 포인트는 바로님과 논쟁을 위한것이 아니라 저의 보조 설명으로 독자들이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새해에도 정진하시고 좋은글 많이 써주세요^^ 서울에서 상하이신
* Daum과 Naver의 중국공략방법에 대해서는 생각해놓은 것이 있는데 정리하기가 귀찮다. 그리고 Daum의 경우 중국시장에서 이미 여러번 고통을 당했고, 현재 국내 검색시장에서의 전쟁이 한참이기에 진출여부가 불투명하기도 하다. Naver의 경우 중국시장에 대해서는 별 흥미를 못 느끼거나 그냥 "얻어 걸리기"를 원하는 수준이라고 본다. 그래서 특별히 공략방법 쓰기 귀찮다. 써도 채택되지 않을 터인데 말이다. 힌트만 말하자면 한국과 중국 모두에서 인기가 있으면서 아직 중국시장에서 발전하지 못한 영역을 공략하면 된다......혹시 더 자세한 것을 원하시는 분이 있으려나...없을거 같아...[각주:5]
* 이 글은 본인으로서는 나름 재미있게 작성하긴 하였다만....중국 증명사진바탕은 왜 빨간색인가요?라던지 중국인은 왜 문에 거울을 붙여놓나요?와 같은 본인으로서는 날로 먹고, 여러분들로서는 중국에 대해서 알 수 있는 내용이 좋다[각주:6]. 이런 질문들 방명록에 해주셔요. 중국에 오래 있다보니 저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일들이어서 오히려 생각이 나지 않는답니다. -_-;;;
* 그나저나 이런 글 올릴때에는 정말 고민이다. 이건 "국제"분류인가? "IT" 분류인가? 어차피 다음뷰에 버림 받은 것 같기도 하지만......흐음......솔직히 고급정보까지는 아니지만, 중급은 될거라고 생각하는데-_-;;; 아닌가....
아래의 번역판은 어디까지나 학술적인 목적으로 작성이 되었으며, 본 보고서에서 나오는 모든 자료의 저작권은 CNNIC(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에 있다. 본 보고서는 상업적인 용도로의 사용은 어디까지나 CNNIC와 협의하여야 한다[각주:1].
아래의 내용은 2009년 9월 21일 발표된 CNNIC의 2009年中国搜索引擎用户行为研究报告(2009년 중국검색사용자행동연구보고서)에서 핵심적인 부분만을 취사선택하여(라도 해도 사실상 전문전체인걸-_) 제 마음대로 이야기를 해 놓은 것이다. 원문 전문을 모두 보고 싶으신 분은 직접 CNNIC로 접속하시기 바란다.
* 구글팬분들은 꼭 보시기 바랍니다. 방금 번역하기 전 대충 보기에서 빵터지고 말았습니다. 구글은 역시.....(같이 빵 터지시라고 미리 말 안하겠습니다. ㅋㅋㅋ)
제 1장. 조사 소개
조사 배경과 조사 표본등에 대한 내용이어서 생략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직접 보시기 바랍니다.
간략 요약 :
1) 새롭게 증가한 5949만명의 검색엔진 사용자중 4340만명이 인터넷 사용기간이 1년이 되지 않은 계층으로서 검색엔진시장 확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 바이두와 구글은 여전히 강력한 충성도를 보였으나 각각 1.2%와 2.7%씩 충성도가 하락.
3) 신문과 전문검색 그리고 기업의 산업 구매정보의 검색이 하락하였다. 검색결과의 신임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4) 사용자들의 검색결과내 광고구별능력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광고로 인식을 하고도 클릭을 한다는 사용자도 증가하였다.
제 2장. 검색엔진 개괄
2.1 전세계 검색엔진 사용현황.
어쩌고 저쩌고 해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라는 뻔한 말. 생략.
2.2 전세계 검색엔진 사용자 검색수
2009년 7월 한달 동안 전세계적으로 1137억회의 검색이 일어나서, 작년보다 41%가 증가.
2.1.1.1.전세계 검색엔진 사용자들이 자주 쓰는 싸이트
2009년 7월 현재 구글이 767억회로 전체 시장의 67.5%을 차지하면서 1위를 달리고 있고, 야후가 89억회로 7.8%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바이두가 80억회로 7.0%을 차지하면서 국내시장만으로 3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네이버도 비중은 많이 떨어지지만 6위를 달리고 있다.
2.1.2. 미국네티즌의 검색엔진사용현황
2009년 6월 미국의 검색엔진 사용자들은 총 136억회의 검색을 하였고, 그 중에서 구글이 89억회로 64.7%로 일위를 달리고 있고, 야후가 26억회, 8.9%로 2등을 달리고 있다. 나머지는 생략.
2.1.3. 일본 네티즌의 검색엔진사용현황
2009년 1월 현재 일본에서는 68억회의 검색이 있었고, 작년에 비해서 9%가 상승하였다. 이것은 역사상 한달내 최고 검색횟수였다. 현재 야후저팬이 35억회로 작년대비 13%가 성장하였다. 그 다음은 구글인데 26억회로 작년에 비해서 5%의 성장에 그쳤다. 그 외에는 도톨이 키재기.
제 3장. 중국검색엔진 사용자들의 구조와 특징
3.1 검색엔진 발전규모 3.1.1. 검색엔진 사용자 전체 규모
2009년 6월말까지 중국검색엔진 사용자의 규모는 이미 2.35억명에 달하여서, 2008년 6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일년동안 5949만명로 34% 증가하였다. 검색엔진은 전체 네티즌의 69.4%가 사용하고 있으며, 2008년 년말보다 1.4% 상승하였다. 2009년 말에는 2.6억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위는 만명. 파란색은 검색엔진사용자규모. 노란색은 검색엔진사용률
2009년 중국검색엔진시장이 빠르게 발전한 이유
1) 중국인터넷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네티즌수도 빠르게 증가.(뻔한 소리를;;)
2) 새로 인터넷에 진입한 네티즌들의 검색사용률이 51.1%에 달한다는 점.
3) 고령층, 저학력층, 저소득층의 검색엔진사용률이 낮은데, 인터넷의 발달로 점차 저연령층, 고학력층, 고소득층이 대량으로 유입됨.
4) 2008-2009년 사이에 각각의 검색엔진의 홍보활동이 강화
5) 검색엔진의 특색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들을 끌어들임.
3.1.2. 도시와 농촌의 검색엔진사용자규모
도시와 농촌의 검색엔진 사용자 비례는 76.6:23.4이며. 도시에서의 검색엔진사용율은 74.1%이고, 농촌에서의 검색엔진사용율은 57.5%이다. 이유야 뻔함으로 생략.
단위는 만명. 파란색은 도시. 노란색은 농촌.
3.1.3. 무선인터넷 검색 사용자의 규모와 잠재력
2009년 6월말까지 중국의 휴대폰네티즌은 1.55억명이다. 그 중에서 휴대폰 검색이 휴대폰관련 서비스중에서 26.2%에 달하며 2위를 차지했다. 현재 중국의 휴대폰 검색사용자는 4074만명으로 추산되며, 전체 검색엔진사용자의 17.4%에 이르고 있다[각주:2].
노란색은 휴대폰검색사용자. 파란색은 비휴대폰검색사용자.
그리고 앞으로 3G시장이 탄력을 받으면 휴대폰검색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현재의 꼬라지로는 3G시장이 제대로 탄력을 받기 어려울듯 하여서 이부분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가장 간략하게 말하면 앞으로 잠재 3G 사용자가 5677만명이고, 그럼으로 3G 휴대폰의 잠재사용자가 2174만명이라는 계산이다.
3.2. 검색 사용자의 구조 3.2.1. 성별구조
2008년에 비해서 여성검색사용자의 비율이 3.6%증가하였다.
왼쪽이 남. 오른쪽이 여. 파란색은 2008년. 노란색은 2009년.
3.2.2. 연령구조
중국의 인터넷 연령 구조는 아직 후진적이다. 기존의 중국인터넷현황 통계보고서(09.06 CNNIC)을 통해서 이야기하였듯이 저연령층이 많은 상황이다. 그러나 검색엔진은 저연령층일수록 접근율이 높기에 중국검색사용자의 대다수가 이 연령계층으로 채워져 있다.
파란색은 연령분포. 노란색은 각 연령대의 검색사용률.
3.2.3. 학력구조
학력이 높을 수록 검색엔진의 사용률이 높다. 그러나 아직 많은 수가 고등학교졸업수준의 네티즌이 41.7%을 차지한 다는 곳에서 중국인터넷의 후진성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이런 비율은 완화되어서 고학력으로 나아간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된다.
3.2.4. 수입구조
현재 중국의 검색사용자중에서 1000위엔(20만원)이하의 사용자가 42.9%에 달하고 있다. 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다싶이 아직 학생층이 전체 사용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중국인터넷현황 통계보고서(09.06 CNNIC)에서도 언급했지만, 점차 고소득층이 증가하고 있다. 이것을 잘 노려야 한다.
파란색은 수입분포. 노란색은 각 수입그룹의 검색사용률
왼쪽부터 무수입, 그 다음은 수입수치.
3.2.5. 직업구조
학생이 여전히 최강이었다. 약 37.1%을 차지하고 있다. 8700만명이 학생네티즌수임을 생각하보면, 전체 학생네티즌의 81.2%가 검색엔진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란색은 전체 네티즌 비율. 파란색은 검색 사용자비율
위에서부터 기타, 무직, 퇴임, 농업-어업-임업, 지유직업, 개인사업자, 서비스직, 농촌공무원, 전물기술자, 기업직원, 기업관리직, 당기관관계자, 학생
3.3 건색엔진 사용자의 인터넷 행동 3.3.1. 인터넷 사용기간 분포
따로 할말도 없음-_-
왼쪽부터 반년이하, 반년-1년, 1-2년, 2-3년, 3-5년, 5년이상
3.3.2. 주요인터넷서비스 사용행동
역시 별 할말 없음. 블로그가 의외로 낮네...흠..
왼쪽부터 : 이메일, 메신져, 신문, 블로그, BBS, 음악, 동영상, 게임, 쇼핑, 인터넷뱅킹, 주식, 예약.
3.4. 검색엔진 사용자의 검색행동특징 3.4.1. 검색빈도
.....난 하루에도 몇 번씩 검색하는데;;; 대체 매주 1회미만은...멀까?;;;
위에서부터 : 매주 1회미만, 대략 매주 1회, 매주 2~3회, 매주 4~5회, 매주 5~6회, 매주 6~7회, 매주 사용횟수 많음.
3.4.2. 검색의존도
라이트 사용자는 매주 1회이하, 미디엄 사용자는 매주 2회정도, 헤비 사용자는 매주 여러번.
위에서부터 라이트사용자, 미디엄사용자, 헤비사용자.
그 아래는 도시급이나 주요 도시별 검색의존도를 나타낸 표이지만, 이것을 볼 정도면 중국인터넷에 깊게 개입되어 있고, 그런 정도의 사람이면...직접 보셔욧!...사실은 귀찮음. 별 다른 내용도 없고...
재미있는 부분만 간략하게 미야기하면, 헤비 사용자층은 인터넷 사용기간이 오래될 수록 검색의존도가 높아지고, 중등급은 거의 비슷한데, 라이트 사용자층은 사용기간이 오래될 수록 검색사용률이 급격하게 감소해서 8.3%로 추락. 맨날 가는 곳만 간다는건가;;
제 4장 검색사용자의 검색서비스 사용행동
4.1. 주요 검색서비스의 침투율
딱 한마디만 하고 싶습니다. 바이두의 저 무식함이란;;;;;;;;;;;;;;;;
어차피 영어로도 적혀 있으니 번역 없습니다.
4.2. 주요 검색서비스의 시장점유 모습 4.2.1. 사용자의 1순위 검색서비스
百度(바이두)(77.2%)> 谷歌(구글)(12.7%)> 搜搜(소우소우)(3.1%)>搜狗(소우고우)(2.4%)> 雅虎(야후)(1.6%)딱 봐도 알 수 있듯이 바이두천하에 구글이 따라가는 형세. 나머지는 어찌어찌 유지만....
바이두는 시장점유율을 0.3%늘리며 77.2%에 달하였고, 구글은 3.9%가 떨어졌다. 소소는 원래 구글과 협력하고 있었으나 자체 기술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텅쉰(QQ)와 연합을 했기에 앞으로 구글의 자리를 위협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구글의 아성은 쉽게 무너지지 않고, 다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떨어진 것은 쓸데 없는 정치적요소가 있어보이는 공격으로 인한 것이고, 아래에서 어떤 표를 보게 되면 구글은 구글이고, 앞으로 얼마든지 미래가 있어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4.2.2.부터 4.2.4는 한국인들에게 별 의미는 없는 지역별 현황이다. 직접 원문을 보도록.
4.2.5는 헤비-미디엄-라이트 사용자층의 바이두와 구글 점유율이다. 헤비층으로 갈 수록 구글이 강세를 보인다. 그러나 그래봤자 74.8% : 16:0%일 뿐이다.
4.2.6. 검색서비스에 로그인하고 검색하는 사용자층의 1순위 검색서비스
바이두와 구글이 충성도가 비교적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별 큰 차이는 없다.
4.2.7. VIP 사용자의 1순위 검색서비스
CNNIC의 VIP사용자란 25세이상의 대학교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고, 월 소득 3000위엔(한국돈 60만원)인 학생이 아닌 그룹을 이야기 한다. 이런 그룹은 전체 사용자층의 8.5%였다. 재미있는 건 이곳에서 바이두의 점유율이 떨어지고, 구글의 점유율이 상승하였다. 앞으로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면서 이런 계층이 늘것이고, 실구매계층에 이런 VIP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구글은 아직 칼을 갈고 있을 뿐이다.
4.3. 주요 검색서비스 2순위 시장 4.3.1. 사용자의 2순위 검색서비스
노란색은 2순위 검색서비스가 없다. 파란색은 2순위 검색서비스가 있다.
2순위 검색서비스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1순위 검색서비스분포
2순위 검색서비스에서는 재미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예상대로 구글이 확 치고 올라오는 못브을 보여준다. 그러나 바이두도 3위를 유지하며 체면치례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두의 검색서비스를 그리 신임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아래의 분석표를 보면 1순위가 바이두였을 경우 구글로 유입되는 것이 42.4%에 불과하고, 반대로 구글이 1순위였을 경우 바이두로 유입되는 경우가 77.4%였다. 이는 구글의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본다.
4.4. 사용자의 1순위와 2순위 싸이트의 활용 4.4.1. 사용자의 1순위와 2순위 사용비중
노란색은 하나읙 검색엔진만 사용한다. 빨간색은 둘다 사용하고 편중은 있으나 사용빈도는 비슷하다. 파란색은 우선적으로 1순위를 사용하고 가끔 2순위를 사용한다.
4.4.2. 검색 서비스별 1순위와 2순위 사용비중
이 도표는 바이두에 대한 사용자층의 충성도가 높다는 말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본인의 경우 이는 어디까지나 "바이두 밖에 모르는 사용자층"으로 인하여 벌어진 일이며, 앞으로 바이두의 점유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반대로 구글은 이미 다양한 검색엔진을 사용할 줄 아는 사람들이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파란색은 1순위만 사용하고 2순위는 가끔 사용한다. 노란색은 동시에 둘 다 사용한다.
4.5. 검색사용자의 사용습관 4.5.1. 검색사용자의 검색 내용분석
검색사용자들은 기본적으로 음악-영상-동영상-사진등의 사용율이 높아졌다. 주의깊게 보아야될 것은 전문자료에 대한 검색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에 몇몇 "아는 사람들 끼리만"사용하던 검색이 점차 대중에 개방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상징이라고 보인다.
노란색은 2008년. 파란색은 2009년; 위에서부터 음악, 영상, 신문, 전문자료, 사진, 게임, 동영상, 기타생활정보, 인터넷사이트, 외출관련정보, 기업산업정보 및 구매정보, 소프트웨어, 외국어정보, 블로그, 지역서비스, 기타.
4.5.2.-4.5.3 도시별 검색차이.
의미가 없음으로 넘기겠음.
4.5.3. 검색 서비스별 검색내용차이 바이두는 기본적으로 중국네티즌의 특성과 매우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구글은 전문자료라던지 기타생활자료, 특히 기업상품정보와 구매정보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구글의 잠재력을 말해주는 것으로서 앞으로 중국검색시장이 성숙해지면 구글의 파워가 들어날 것으로 보인다.
百度(baidu)
谷歌(google)
其他
음악
40.5%
32.7%
38.9%
영상
31.0%
25.3%
29.6%
전문자료
28.5%
30.2%
19.9%
신문
27.4%
29.1%
32.4%
사진
19.4%
18.3%
24.1%
게임
18.0%
8.7%
12.2%
UCC
13.7%
11.9%
16.1%
기타생활자료
11.7%
12.5%
9.8%
인터넷싸이트
7.9%
5.5%
8.5%
외출관련자료
6.6%
11.2%
3.6%
기업상품정보 및 구매정보
6.3%
7.4%
3.7%
소프트웨어
3.8%
4.2%
3.7%
외국어 정보
1.2%
3.9%
0.4%
블로그
0.8%
0.7%
0.3%
지역 정보
0.5%
0.4%
0.5%
기타
32.7%
33.3%
29.5%
합계
250.0%
235.3%
233.2%
4.5.5. 검색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검색기능 분석 4.5.5.1 바이두 1순위 사용자들의 검색기능사용분석
바이두의 검색기능중에서 기본적인 인터넷싸이트 검색기능이 가장 많이 쓰였고, 그 다음으로 음악검색기능이 바짝 뒤쫒고 있다. 역시 바이두의 음악검색능력은 무시무시하다. 내재된 저작권 문제도 역시 무시무시하지만 말이다.
그리고 hao123은 인터넷 싸이트 모음집같은 것이다. 이것의 사용율이 높은 이유는 불법소프트나 여러 소프트에서 이곳을 강제로 홈페이지로 바꾸어버리기 때문이다. 실제 사용율을 그리 높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4.5.5.2 구글 1순위 사용자들의 검색기능사용분석
구글은 인터넷싸이트 검색이 앞도적으로 많고, 그 뒤를 사진과 지도 검색등이 평균적으로 뒤따르고 있다. 중국어와 영어의 경우 상호비교소스가 많기에 비교적 정확하게 번역이 된다. 그래서 번역기능의 사용율이 높으며, 구글입력법도 나름 잘되고 있다. 의외로 gmail의 사용량이 없다. 중국에서는 아직 163이나 sina의 것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4.5.6. 검색사용자들이 이상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을때 4.5.6.1. 검색사용자들이 이상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을 때 행동선택
위로부터 다른 검색어로 검색; 검색어를 추가하거나 줄여서 검색; 다른 검색엔진을 이용; 검색결과중 다시 검색; 포기
4.5.6.2.각 검색엔진별 이상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을 때의 행동
바이두의 경우 다른 키워드로 재검색을 하기 보다는 아예 다른 검색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그에 대비되는 구글의 모습을 보면서 신임도가 어느쪽에 있는지 쉽게 알수 있다고 본다.
짙은파랑색은 키워드을 줄이거나 늘려서 재검색; 노란색은 다른 키워드로 검색; 연두색은 검색결과내에서 재검색; 보라색은 다른 검색엔진으로 검색;
제 5장. 각 주요 검색엔진 사용자 구조 분석
5.1. 주요 검색엔진 사용자들의 기본속성수조 5.1.1.1 각각의 검색엔진 사용자의 성별분포
5.1.2. 각기 다른 검색엔진의 사용자 연령분포
5.1.3. 각기 다른 검색엔진 사용자들의 학력분포 딱 봐도 보이는 구글의 고학력층 사용 -_;;
파란색은 중학교이하; 노란색은 고등학교이하; 연두색은 전문대이하; 보라색은
5.1.4. 각기 다른 검색엔진 사용자의 수입분포
역시 다른 곳보다 높은 구글의 고수입자들. -_;;
5.1.5. 각기 다른 검색엔진 사용자의 직업분포. 별 유의미한 것이 없어서 패스. 5.1.6. 도시와 농촌의 검색엔진 선택인데 유의미하지 않아 보여 패스.
5.2. 각각의 1순위 검색엔진 사용자간의 비교 5.2.1. 각각의 1순위 검색엔진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기간
이거 진정 코메디다....구글 어쩔거야..ㅋㅋㅋㅋ 이른바 구글 사용자의 대다수가 인터넷에서 오래 구른 사람인 것이다. 문제는 신입들의 유입이 필요한데 그것이 제대로 안되고 있다. 구글....힘내! -0- ㅋㅋㅋ
파란색 1년이하; 노란색 1-2년; 연두색 2-3년; 보라색 3-5년; 파란색 5년이상.
제 6장. 1순위 검색엔진시장에 대해서
6.1. 사용자가 1순위 검색엔진을 고르는 원인 분석.
뻔한 말이지만, 1) 부과기능 2) 광고 3) 습관 4) 검색경험 습관이 제일 높다니;; 무섭다;;;
위로부터 추천, 검색엔진을 하나만 사용, 상관없음(그게그거),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제공, 어떤 특정내용이 좋음, 습관임, 자주 방문하는 곳의 검색, 예쁨, 깨끗함, 간결함, 검색도구 사용이 편함, 검색도구 위치가 명확함, 검색결과에 광고가 적음, 반복연결이 적음, 죽은 연결이 적음, 빠르게 정보를 찾을 수 있음, 검색결과와 접속이 빠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검색결과가 믿을 수 있음, 검색결과가 필요한 정보와 같음.
6.3. 반년내 1순위 싸이트간의 전쟁 6.3.1. 각 검색엔진별 1순위 사용자 충성도
개인적으로 바이두는 충성도가 높은것이 아니라. 그것밖에 모르는 것에 가깝다고 봄.
6.3.2. 각 검색엔진별 1순위 사용자 증가 및 유실비율
구글은 이번에 수 많은 악재가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비교적 선방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음. 그나저나 소우고우는 한자입력법으로 좀 뜨나 했지만, 기본적인 검색이 안 좋으니 다 떠나버리는;;
제 7장. 검색 사용자들의 검색키워드 광고에 대한 인지도
7.1. 검색 사용자들의 검색키워드 배치 법칙에 대한 인지도
처참했다.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은 2.1%에 불과하였다. 굳이 클릭량까지 합쳐도 13.6%이다. 개인적으로 한국사용자들쪽도 보고 싶다. 별로 다르지 않을 듯 하다. 이걸 알면 바이두나 네이버를 안 쓸 터인데...
짙은파란색은 모른다. 빨간색은 기업이 검색기업에 돈을 주는 만큼 올라간다. 연두색은 생각해보지 않았고, 관심없다. 주황색은 많이 클릭된 대로 배치되는 것이다. 하늘색은 싸이트가 만들어진 시간대로 배치되는 것이다. 노란색 기타.
7.2. 검색 사용자의 광고 구별능력
이건 어디까지나 본인이 이야기하는 구별능력일 뿐이라고 본다. 실제로는 더욱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또한 해당 조사는 클릭 후 싸이트에 접속을 해서 아는 것인지 그 전에 아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없다고 본다. 원문에서는 검색결과내에서 광고 구별이라고 하는데, 본인으로서는 그것을 도통 믿을 수가 없다. 검색만 죽어라 많이 하는 본인도 가끔 광고에 낚이는데...이게 정말 구별이 된다고? 검색결과창에서의 짦은 문장 만으로?
노란색은 완전히 구별할 수 있다. 파란색은 거의 구별할 수 있다. 녹색은 거의 구별할 수 없다. 아이보리색은 구별하지 못한다.
7.3. 검색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클릭 행동 7.3.1. 전국 사용자들의 광고 평균 클릭 상황
위에서부터 절대 누르지 않는다. 가끔 누른다. 자주 누른다. 모른다.
7.3.2.는 도시별 클릭상황이어서 의미가 없다고 판단 넘어간다.
7.3.3. 각기 다른 검색엔진에서의 1순위 사용자들의 광고클릭상황
야후는 대체 먼 짓?!을 했길래 저리도 높은걸까?;;;
파란색은 자주 클릭한다. 노란색은 가끔 클릭한다. 연두색은 절대 클릭하지 않는다.
제 8장 2009-2010년 중국검색엔진 발전추세 예측
8.1. 추세예측
1. 사용자 규모가 증가해서 2009년 말에는 검색엔진 사용자가 2.6억명이 될 것으로 예상.
2. 중국경제가 발전하면서 검색광고 시장도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
3. 기본적으로 바이두의 패권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 변수: MS의 빙, 텅쉰(QQ)의 구글과 작별
4.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 개인화될 전망
5. 서비스도 그에 맞추어서 다양화 개인화될 전망.
6. 동영상 검색의 급격한 증가로 관련된 기술발전 가능성 높음.
7. 휴대폰 검색시장의 패권을 누가 차지할 것인가의 문제
8. 정부의 감독시스템이 완성될 것으로 봄.
8.2. 문제와 건의
1. 검색결과의 공신력을 올릴 필요가 있음.
2. 생활검색, 전문검색, 지식검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3. 검색외의 사업과의 연계를 생각해야 함.
4. 검색광고시장에 관련된 연구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져서 검색광고에 대한 정확한 가치 평가가 필요한 시점임.
오늘 보고서의 가장 웃긴 부분은 이거였습니다. 구글 진짜..ㅋㅋㅋㅋ 각각의 1순위 검색엔진 사용자간의 인터넷 사용기간 비교
파란색 1년이하; 노란색 1-2년; 연두색 2-3년; 보라색 3-5년; 파란색 5년이상.
다시 말씀드리지만, 전 덧글로 먹고 삽니다. -_-!
이렇게나 인기가 없다니;;; 나름 유용한 자료라고 생각해서 거의 전문번역한건데....
이제부터는 전문번역 안하고, 재미있는 부분만 소개할가보다.
.........................이런저런 일로 바쁜데 시간 나는대로 틈틈히 한건데...흑...ㅠㅠ
베이징 시간 21시 40분을 지나고 난뒤 중국에서 모든 구글 서비스에 대한 접속이 차단된 상태이다. 구글검색은 물론이고 gmail, docs, 다이어리, picasa 역시 접속이 안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갑자기 접속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트위터와 같은 곳에서는 긴급하게 서로의 접속상황을 체크하고 있다.
[중국이야기/중국 IT] - 구글차이나 중국정부에 굴복하나? 을 통해서 언급했다시피 중국정부는 작년의 바이두 길들이기에 이어서 구글차이나에 대한 공세를 계속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구글차이나는 과거에도 중국정부의 의도에 따라서 결국 "검색어 차단"을 진행했고, 이번에도 사과를 통해서 "성인-음란물"에 대해서 수정을 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완전 차단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는 바이두 살리기 수준의 것도 아니며, 구글 길들이기을 넘어선 무엇인가가 있어 보인다. 이렇게 강도높은 실력행사를 하는 중국 정부의 의도는 과연 무엇인가? 단순한 정보검열과 통제라기에는 너무나 무식하고 강력하다.
베이징시간 23시 : 현재 구글 서비스에 대한 접속이 "일단"은 가능하다..
해당 사태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 :
http://www.williamlong.info/archives/1841.html
이번것은 누가보아도 강도높은 협박이다. 그리고 구글은 과거와 같이 결국 중국정부에 항복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이메일공개때문에 Gmail로 온다는데, 중국에서는 Gmail 접속 안될까 무서워서리..에휴에휴....
베이징 시간 24시 : 현재 教育网은 아직 안 풀렸습니다. -_-;;
친구가 멜 확인해야되는데!! 라고 외치는군요.
이 글은 제가 전자신문에 2008-09-01 기고했던, 中 인터넷 검색서비스 시장은?에 추가로 말을 늘어놓은 것입니다. 신문기고여서 편히 못했던 말 좀 하려고 합니다.
현재 중국의 검색 서비스 시장은 ‘바이두(baidu.com)’와 구글차이나(google.cn, 이하 구글)의 소리 없는 포성으로 가득 차 있다.
이
미 지난 2년간 점유율 60%로 수성을 하고 있는 바이두의 높은 성벽을 구글이 온갖 책략으로 무너뜨리려 하고 있다. 한국과 달리
모든 것이 포털로 집중되지 않는 중국 시장에서 검색 시장을 장악한다는 것은 인터넷의 나침판을 손에 넣는 것과 같다.
◇구글의 1차 공격= 2004년 4월 12일 구글은 ‘풍작의 노래’라는 뜻의 ‘구거(谷歌)’란 이름으로 중국 시장 진출을 선언한다.
이
시기 ‘중국의 구글’을 자처하던 바이두는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한국의 검색 시장을 포털이 모두 갖고 있는 것에 비해 중국은
분야마다 전문적인 사이트가 있다. 바이두의 UI가 구글과 별 차이가 없어 중국의 IT계에서는 구글이 단숨에 중국 시장의 제왕으로
등극하리라고 예상했다.
(중국도 만만치 않게 구글빠들이 많다. 그들은 만세 삼창을 불렀다. 장난 아닐정도로--)
실제로 2007년 4월 25일 구글은 충격적인 발표를 했다. 구글광고연맹이라고 불리는 구글연맹을 발족한 것.
이
는 구글 애드센스와 애드워드를 활용해 중국의 수많은 유명 싸이트들을 포진시킨다. 중국 최대의 포털이라는
SINA왕(sina.com.cn), 다운로드시장의 강자 온라인다운로드(onlinedown.net), 중국SNS의 전통강호
56(56.com), 중국 최대의 신문 사이트 신화왕(xinhuanet.com), 중국 최대의 논객사이트
티엔야(www.tianya.cn) 등을 망라하고 있다. 이들의 합류로 인해 야후 차이나를 가볍게 따돌리고 순식간에 20%대를
차지하게 된다.
(사실 이로 인하여 상당한 양의 트래픽과 광고수익은 보장이 되었다.)
하지만 바이두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2008년 9월 11일 돈을 많이 내면 광고를 위로 올려주는 경매형
검색광고시스템(jingjia.baidu.com)을 대폭 개혁했다. 이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소규모 광고주에게도 큰 호응을 얻으면서
오히려 바이두의 지위를 확고히 만들었다. 또 구글광고연맹에 대항하는 바이두연맹을 결성해 중국의 IT 중소기업을 아우르는 연맹체로
재탄생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구글 스스로 구설수를 만드는 악수를 둔다. 구글이 공개한 중국어 입력기 소프트웨어의
코드에 경쟁 회사인 소우고우(搜狗)의 중국어입력기 코드를 무단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발각됐다. 이 사건으로 인해 중국에서 구글의
이미지는 상당히 타격을 입었다.
(그런데 중국에는 한국과는 다르게 바이두빠들도 많다.-_-;; 그리고 이 기회에 바이두빠들이 무지막지하게 구글빠들을 공격했다. 구글빠들;;; 완전히 처참하게 당했다. )
무엇보다 구글은 여전히 중국 정부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었다. 문제의 핵심은 중국 정부의 의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조정할 수 있는지다. 구글 차이나는 이를 거부했고 ‘간지왕’이라는 곳을 대리로 위장하고 서비스를 해 왔다.
하지만 이는 중국 정부에 의해 차단당하고, 구글은 인터넷콘텐츠프로바이더(ICP) 허가를 얻지 못한 상태에 처하게 된다. 심지어
중국에서의 접속 자체가 차단되기도 한다. 중국 정부에 굴복할지, 아니면 구글의 ‘악에 물들지 말라’는 정신을 이어갈지 구글은
중국 시장에서 갈림길에 접어들었다.
◇바이두의 막강한 방어=구글은 과감하게 타락의 길을 선택한다. 중국 정부와 타협해 ICP를 얻게 되고, 이로써 은밀히 진행돼온 구글에 대한 중국 정부의 압력은 대폭 줄어들었다고 전해진다.
하
지만 중국은 여전히 바이두의 안마당이었다. 바이두는 8월 ‘바이두가 중국어를 더 잘 안다’는 표어를 내세우며, 구글을 공격한다.
11월에는 인터넷 주소와 페이지를 전문적으로 소장 및 검색 그리고 공유하는 ‘바이두디스크(百度搜藏)’를 공개하고 12월에는
블로그 전문 검색을 발표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2007년 2월에는 중국 최대의 안티바이러스 회사인 ‘진샨두빠’와 연합해 바이두안전센타(an.baidu.com)를 통해 무료로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을 보급하기 시작했다. 또 MSN이라는 강력한 파트너를 무기로 구글을 압박했다.
심지어 일본 진출까지 선언했다. 2007년 3월 20일 ‘바이두 일본’이 공개됐다. 이는 바이두의 국제화 전략의 시작으로 평가할
수 있다. 중국 시장을 지킬 뿐만 아니라 오히려 성문을 열고 앞마당인 일본 시장을 공격해 들어가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이것은 거의 실패했다고 말해진다. 오히려 일본쪽 서버들의 비판만 받고 있다. 왜냐하면 무작위로 스크롤링을 해서 쓸데 없는 트래픽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이두는 일본웹싸이트들에게 심히 안 좋은 인상을 남겨버렸다)
◇구글의 초라한 반격=이에 비해 구글의 공격은 비참하기 그지없다. 구글의 반격 포문은 바이두의 윤리적 문제를 거론하는 것이었다.
바
이두의 검색광고방식은 윤리적으로 큰 문제를 드러냈다. 광고와 일반적인 검색 결과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로
하여금 이른바 ‘낚이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중국 정부의 바이두 감싸주기로 인해 흐지부지 넘어갔다.
한쪽
으로는 상대의 비윤리성을 공격하면서 자기 자신은 바이두가 2003년에 공개, 현재까지 재미를 보고 있는 MP3 검색을 시도하게
된다. MP3는 도덕적 문제뿐만 아니라 저작권 문제가 민감하게 걸려 있다. 그런데 구글이 비록 중국 내부에 한정해서지만 MP3
검색을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이 비윤리성에 대한 공격은 결국 성공하게 되는데...아래쪽에 자세한 이야기가~~)
또 바이두가 이번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다양한 각도로 대비를 하고 홍보했던 것에 비해 구글은 단지 로고만 바꾸었을 뿐이다. 가장 큰 문제는 애드센스를 장착한 사이트가 그리 많이 늘지 않았다는 점이다.
결국 바이두는 잠시 60% 아래로 떨어졌던 점유율을 6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구글은 마의 30% 장벽을 뚫지 못하고 좌절해 있다.
◇‘한방’이 필요한 구글=구글은 신임 대표로 임명된 리우윈의 지휘 아래 기존 대기업 중심의 광고검색시장공략을 포기하고 베이징·상하이·광저우·홍콩·대만 등지의 IT 중소기업을 핵심 타깃으로 하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
로 인해 기존의 바이두광고연맹이 강력하게 장악하고 있던 중소기업 시장에 파문을 던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기존에 불만이
많았던 대기업 광고특혜를 줄이고 중소기업에도 이익을 나눠준다는 방침이어서 더욱 큰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무
엇보다 ‘모든 길은 휴대폰으로 통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휴대폰 전성시기인 지금, 구글은 안드로이드라는 비장의 무기를
준비했다. 차이나모바일이라는 중국 통신시장의 최강자와 손을 잡았고, 이번 올림픽 기간에도 문자메시지 서비스와 검색서비스를
제공했다.
바이두 역시 이미 CNC와 손을 잡고 문자메시지 검색서비스를 출시했다. 그러나 조만간 안드로이드를 실제로 적용한 구글폰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하니 바이두의 튼튼한 만리장성이 언제 무너질지 모를 일이다.
바로 : 이 이후, 바이두는 비리검색결과 추출이 공개됨에 따라서 무지막지한 피해를 받게 된다. ([중국이야기/중국 IT] - 바이두 중국정부에 버림받나?) 또한 현재 구글은 baobei.com이라는 도메인을 약 한국돈 14억원(중국돈 680만위엔)으로 구매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그래서 본격적으로 C2C 시장에 진입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흐음-0-
중국중앙방송국인 CCTV에서 바이두의 검색결과 조작비리에 대해서 대대적으로 보도를 했다. 그리고 이미 IT 계열에서는 유명한 바이두의 검색조작이 전 중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에 대한 내용은 JACK님의 中 Baidu는 왜 욕을 먹는가? 을 참고하시면 된다. 이에 대해서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겠으나, 본인의 경우 이 생각이 제일 먼저 떠올랐다.
중국정부는 바이두를 버릴 생각인가???
바이두의 검색조작은 이미 예전부터 유명한 행동이다. 이미 알 사람은 다 아는 행동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도덕적으로 문제가 된다고 구글이 계속 공격하는 키워드경매(네이버에서 하는 것과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도 이미 다 아는 내용들이었다. 문제의 핵심은 중국중앙방송국인 CCTV가 해당 뉴스를 보도했고, 이는 중국정부의 허가가 없이는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전에 바이두와 구글의 싸움을 말하면서 언급한 것처럼 바이두는 중국정부의 비호를 받아오고 있었다. 그리고 그런 이유로 구글의 중국 점유율 향상에 어느 정도 회의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게 왠일인가?! 중국 정부가 바이두의 뒷통수를 가격해버렸다.
이유가 무엇일까? 바이두는 충실하게 중국정부의 말을 들으며 검색 조작을 해오고 있었다. 물론 구글과의 싸움과 최근 벌어진 알리바바와의 힘겨루기등 점차 적을 만들어온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이렇게 내칠만한 이유가 되기는 힘들어 보인다. 중국정부에게 구글이라는 말 잘 듣는 대안적인 검색서비스가 있어서? 그건 아니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평소에 잘하던 바이두에게 굳이 이런 충격을 가할 필요는 없어보인다.
혹시 구글이 해외 국가원수들을 통해서 간접적인 압박을 가한 것일까? 그리고 음반협회을 통해서 바이두의 MP3 검색에 대해서도 압력을 가해서 중국 정부가 서비스?! 혹은 보여주기 차원에서 휘갈긴 것일까? 모르겠다.
어찌되었든 이번 사건으로 인하여 IT 에 관심 없는 사람도 바이두의 조작을 알았고, 신용도를 잃어버린 검색서비스가 그렇듯이 급격하게 몰락할 가능성도 농후해 보인다. 그리고 그 뒤를 잇는 것은 현재 시장 2위인 구글이 될 가능성도 높아보인다. 물론 바이두가 잘 버틸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많은 수가 구글로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2008년 하반기의 최대 이슈는 [중국이야기/중국 IT] - 바이두 C2C시장으로 진격 - 중국IT 최대의 감자 와 [중국이야기/중국 IT] - 바이두-타오바오왕 2차전 돌입일줄 알았는데 바이두의 검색조작이 되다니.....--;;
첫 포문은 29일 타오바오왕이 시작합니다. 타오바오왕은 바이두에 광고를 내지 않겠다고 선언합니다. 그 이유는 바이두를 통해서 들어오는 고객들의 질량이 의심된다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바이두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실제 구입고객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광고가 실효성이 없었다는 소리이지요.
그러자 30일 바이두는 3년내로 타오바오왕을 따라잡겠다고 선언을 합니다. 타오바오가 친고객적이지 않다고 말하면서 우리는 그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타오바오 서비스가 구리니 우리가 3년내로 따라잡을 수 있다라고 말하는 것이지요.
같은 밥그릇 가지고 싸우게 되었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이긴 합니다만......보는 입장에서는 정말.....재미있습니다!! 음하하하;;; 싸워라. 싸워라. 이기는 편 우리편! -0-!
youa.com(요우아닷컴)은 바이두가 만들어낸 C2C 싸이트입니다. 사실 바이두는 10월 8일 C2C싸이트인 바이두요우아(百度有啊)을 만든다고 공표를 했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클로징 베타서비스를 하다가 이번에 정식적으로 공개를 한 것이지요.
이번 바이두의 C2C 진출로 인하여 중국의 인터넷마켓시장이 어떻게 변화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사실 9월 8일부터 현재 중국 최대의 인터넷마켓인 타오바오(淘宝网)과 바이두간의 전쟁이 시작되어있었습니다. 당시 타오바오는 자사 고객의 정보보호와 바이두 검색의 맹점을 이용하여 소비자를 속이는 악덕업주들을 처단한다는 이유로 바이두의 검색로봇을 차단했습니다. 그리고 이 일로 서로간에 우리는 손해가 없다라면서 근 한달을 외쳐대더군요.
타오바오를 잘 모르시는 분을 위해서 잠시 설명을 드리자면, 타오바오왕은 IT계에서 유명한 일본교포 손정의씨가 투자를 한 알리바바(阿里巴巴)의 핵심 기업으로서, 2003년 5월 0일 4.5억원(인민폐)로 창업을 했습니다. 과거에는 B2B에만 중심을 두었으나 지금은 C2C도 포괄하는 중국 최대의 인터넷마켓입니다. 2008년 일분기에 등록된 사용자수가 6200만명이 넘어서 중국 내부의 대부분의 인터넷쇼핑 사용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008년 1분기에 거래량이 188억을 넘어섰습니다. 2007년 관련 연구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타오바오왕은 현재 중국 인터넷마켓시장의 70%을 점유하고 있고, C2C시장의 80%을 점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비록 타오바오의 아성은 공고해보이지만, 바이두라는 검색계의 절대 강자의 도전은 분명히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듯합니다.(아니면 우린 괜찮아를 계속 외칠리가 없죠-_) 바이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중국이야기/중국 IT] - 바이두의 역사 정리.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바이두의 입장에서도 구글의 도전 앞에서 기존의 검색관련 수입말고도, 다양한 수입루트를 만들어야되는 압박감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크로징베타기간의 사용자만 6만명(1만명의 우선입주한 상인들과 5만명의 바이두열혈사용자) 이니 앞으로 얼마나 성장할지 아무도 예측하기 힘든것이 사실입니다. 당분간은 바이두의 새로운 인터넷마켓 서비스가 중국 IT계의 뜨거운 감자가 될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개인적으로 검색, 인터넷마켓, SNS에서 모두 서로 다른 서비스가 절대 강자인 상황이 참 마음에 듭니다. 시대의 추세에 맞추어서 서로간의 영역을 침범하면서 힘 겨루기 하는 것이 즐겁기 때문입니다. 한국처럼 한 곳으로 다 몰려버리는 일이 별로 없으니까 말이죠.
중국 최대의 검색 싸이트인 바이두가 플레쉬 메모리(Flash Memory)기술로 기존의 하드디스크 저장방식에서 전면적으로 탈피한다고 합니다. 바이두는 이미 전세계 검색 및 검색저장 계산 서버중의 하드디스크를 이미 교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하여 바이두는 더욱 빠른 검색과 서비스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저도 IT 전문가가 아니기에 정확하게 플레쉬 메모리를 설명할 자신은 없습니다. 저의 IT 팬으로서의 눈 높이로 설명을 하는 것이 여러분들에게도 좋을듯 합니다.
'SSD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차세대 저장 장치 기술'로서, 기존의 하드디스크는 펜이 돌아가는 방식이어서 어쩔 수 없는 소음과 열이 발산되었던 것에 반하여, SSD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USB 저장장치처럼 소음도 없고, 전기도 훨씬 조금 잡아 먹는다고 합니다.
특히 한국의 삼성은 반도체 최강답게?! 계속적으로 플레쉬 메모리 기술을 활용한 하드디드크 계발에 박차를 가해오고 있고, 노트북 시대와 비스타 시대로 접어들면서 더욱더 SS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SSD가 기존 노트북의 단점인 짦은 사용시간과 소음 및 발열을 해결해 줄 강력한 대안으로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뿐만이 아니라 SSD는 더욱 빠른 처리속도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특히 서버와 같이 동시에 여러명이 접속해서 서로 다른 정보를 처리하는 곳에서는 막강한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이렇게 좋은 것을 그 동안 왜 사용하지 않았을까요?
문제는 가격이었습니다. 기존의 하드디스크에 비하여 대략 100배의 차이가 났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 파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SSD의 가격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급속도로 떨어지기 시작하였고, 실제로 많은 노트북에 장착되어서 실질적인 상용화를 이루어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바이두의 이번 발표는 아직도 기존의 하드디스크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는 구글에 대한 대항마라는 의미가 강하게 풍겨져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SSD 가격이 비록 많이 떨어졌다고 해도 아직은 높은 상황에서 이런 선택은 큰 모험일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바이두의 이런 선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한국의 다음과 네이버을 비롯한 대형싸이트들이 언제쯤 SSD 체계로 전환을 할까요?
중얼중얼 : 중국네티즌들은 한국하고 조금 다른 것이...한국은 IT 팬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구글빠에 점점 가까이 가는 것에 반하여 중국은 바이두 팬들과 구글 팬으로 양분되어있습니다.(그래도 구글팬쪽이 좀 더 많은듯한...) 구글팬쪽에서는 "어차피 바이두는 SSD로 전환해도 기본적인 기술이 떨어져서 안돼"라는 쪽으로 가고 있는 분위기이고, 바이두 팬들도 "이거 바꾸어도 효과적일까? 비용대비 성능에서 떨어지지 않을까?"라는 의문을 품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바이두가 한 발 빨리 움직였는데, 이 도박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군요.
바이두 지식의 강력한 데이타 베이스와 인기를 바탕으로 여러 IT 업체와 같이 협업을 하는 방식입니다. 바이두 지식에 데이타 베이스를 공유하고, 해당 업체는 일정한 광고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간단하지만, 위키가 곧 개방되는 분위기의 중국에서는 조그마하지만 재미있는 행동이군요. 구글-위키 연맹을 막으려는 바이두의 사투라...
바이두는 중국 최대의 검색싸이트이다. 그 중에서 매 달의 인물을 뽑는 코너가 있고, 이 코너의 영향력은 인터넷에서는 거의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5월의 인물로 진찡(金晶 jin jing)이 뽑혔다. 그녀는 베이징 장애인 올림픽에 나가는 선수로서, 파리부분의 성화봉송을
맡았다가 티베트 독립을 지지하는 사람에게 성화가 꺼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 중국인들 사이에서 강력한 반향을 일으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격해진 성화봉송 보호운동은 중국의 MSN을 이용한
애국운동 - 하트를 달자! 으로 전해지고, 중국의 까르푸 불매운동은
성공했다. 으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그 중간에 한국인들이 잘 알고 있는 서울에서의 중국시위대 폭력사태도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운동의 사실상의
시발점으로서의 진찡의 존재를 우리는 염두해 두어야하고, 바이두도 이러한 면을 생각해서 그녀를 5월의 인물로 선정하였다.
어떻게 보아도 약한 장애인에 대해서도 성화봉송 방해를 한 것은 분명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강자의 약자에 대한 폭력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인들도 생각해야되는 것이 있다. 지금 현재 중국정부가 티베트인들에게 하는 행동도 위의 행동과 완전히 똑같은
강자의 약자에 대한 폭력이라는 점이다.
현재 중국인들은 이러한 성화봉송으로 인하여 중국인들의 위상을 높였다고 말해지고 있다. 성공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번 일로 올라간 것은
중국 젊은이들의 "언제든지 파시즘으로 치달을 수 있는" 민족주의(혹은 국가주의) 정신일 뿐이다. 프랑스는 까르푸 사태로 저자세로 나왔지만,
실제로 대다수의 세계인들은 중국의 이번 행동에 대해서 "한심하고" "미련하게" 생각했을 뿐이다. 그리고 중국이라는 누구나 인정하는 거대한
정치체가 브레이크 없이 폭주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알게 되었다. 높아진 것은 중국의 위상이 아닌 중국 위험론일뿐이다.
이런 중국의 일련적인 모습에서 한국은 민족주의의 본모습을 보아야된다고 생각한다. 그 영향력의 차이로 인하여 한국과 중국의 민족주의의
표면적인 모습은 조금 다를지 모르지만, 그 본질은 언제든지 파시즘으로 나갈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자신보다 약한 타자를 누르려는 본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민족주의이다. 그래서 한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버려야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개척지는 누가 먼저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의
허울을 벗느냐로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이 말은 고유의 전통문화 자체를 버리자는 소리가 아니다. 단지 지금까지의 "우리 나라"
"우리 민족"을 "우리 세계"로 확장하자는 의미이다.
현재 구글은 중국의 모 온라인 음악 회사와 합작관계를 맺고, 중국 시장을 위하여 무료로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다운 받을 수 있는 계획을 기획중이며, 몇 주내로 공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비록 중국진출을 위하여 ICP을 얻는 와중에 (공개되지는 않았지만-_-) 천안문이나 기타 중국정부에서 지정하는 검색어에 따른 문제 싸이트를 막는 정의롭지 못한 행동을 하였지만, 중국시장에 진출한 뒤에도 바이두와는 다르게 무료 mp3 검색을 (최소한 정면으로는) 지원하지 않았었습니다.
이번 일은 해당 판권을 무료라 구매한 뒤 구글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방식입니다. 대체 어떻게 수익모델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단순히 무료로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저작권 개념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수익모델도 창출하겠다고 합니다. 대체 어떻게 할 생각인지 모르겠습니다. 몇 개의 에드센스를 달아서 수익을 창출할 생각인가? 그런것이 아닐지언데 어떻게 모든 음악 판권을 합법적으로 무료로 배포하겠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하긴 생각해보면 어글 어쓰와 같은 것도 무료로 제공하기에는 좀 무엇하군요.
그렇다면 무료로 다운 받을 사람들은 다운 받고, 돈을 내고 싶은 사람들은 내는 기부제도 비슷한 것일까요? 그렇다면 구글은 인간의 선함을 믿는 천사들이거나 바보이겠지요. 모르겠습니다.
몇 주내로 정식버젼이 공개된다고 하니 기대해보아야겠지만, 예감이 조금 불안하기만 합니다. 단순히 바이두를 아직 따라잡지 못한 구글의 광기일까요? 아니면 저로서는 도저히 생각해낼 수 없는 수익 모델이 있는 것일까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다운 받아봤자 위의 사진처럼 실제로 사용은 안됩니다. 능력되는 분은 소스코드를 해킹?! -0-!
현재까지 나온 정보로는 기존의 메신져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미 QQ가 장악하고 있고, MSN이 맹렬히 성장하고 있으며, 그 사이를 SKYPE가 잡고 있는 상황에서 별로 성공할 것 같지 않습니다. 다음메신져나 코리아닷컴메신져와 같은 운명을 맞게 될것이라고 생각되는군요.
바이두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큰 검색싸이트입니다. 한국의 네이버나 다음처럼 포털이 아니라 구글과 같이 기본적으로 검색에 중점을 두고 부과 서비스를 서브로 지원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진샨두빠(金山毒霸)는 한국으로 비유하면 안철수연구소와 비슷한 존재입니다. 이 둘이 안티바이러스를 위해서 뭉쳤습니다.
한국에서도 얼마 전에 네이버와 안철수연구소간의 안티바이러스의 인터넷을 통한 무료보급을 위한 협약이 이루어졌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안철수 연구소의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을 네이버에서 무료로 제공한다는 것이었죠. 물론 이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이런 무료 프로그램의 배포는 결국 안티바이러스 연구소의 힘을 줄어들게 할 수 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중국과 같은 경우 바이두는 구글이라는 세계기업에 추적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바이두가 50%의 점유율을 넘고 있으나 구글도 20%을 넘기면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샨두빠의 경우 상황은 더욱 안 좋습니다. 러시아의 카빈스키을 선두로 하여 다양한 후발주자들이 그 아성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네이버-안철수의 상황과는 조금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비슷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런 그들이 뭉쳐서 무료로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을 보급하기로 하였습니다. 물론 해당 행동은 조금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완전한 무료는 아닙니다. 인터넷에서 바이러스를 검사하고 처리하는 것은 무료로 지급됩니다. 하지만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식의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은 초기 37일동안 무료로 보급되며, 그 이후에는 매달 10원(한국돈으로 1200원가량)으로 중국의 물가를 생각해도 그리 높지 않은 가격에 보급을 합니다. 물론 바이두에서도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서 열심히 활동하는 바이두 회원에게 무료 서비스를 연장할 듯 보입니다.
결국 안티바이러스와 포털과의 만남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고 인터넷 시장의 대세입니다. 문제는 이런 만남의 와중에 얼마나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는가하는 문제입니다. 한국의 네이버와 안철수의 연합은 그런 의미에서 서로간의 잡음이 매우 많았습니다. 하지만 안철수의 불안한 현실을 생각하면 이것을 기회로 삼아서 보다 괜찮은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지원해주셨으면 좋겠군요. 애국심만으로 구매욕을 자극하기에는 안철수연구소표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은 너무나 문제가 심각합니다.
바이두는 중국에가 가장 강력한 검색 싸이트입니다. 바이두 자체가 검색을 중심으로 운영이 되니 한국의 네이버와 비교하기는 곤란하지만, 그의 실제 영향력은 네이버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실제 중국 인구를 생각하면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가지고 있죠. 그 바이두가 말하는 1월의 중국은 무엇일까요?
(2월 3일날 작성한 글인데, 그동안 써 놓았던 것을 까먹어서 지금에서야 올립니다. 끙..이건 제때 올렸어야되는 글인데 말이죠. 전 바보일까요? ㅠㅠ)
현재 바이두의 메인 로고 모습입니다. 눈이 쌓여있지만 한 가족이 손을 굳게 잡고 어디론가 향하고 있군요. 당연히 생각만 하여도 따뜻한 고향이지요. 1월에 바이두에서 찾은 최고의 단어는 무엇일까요? 바로 回家입니다. 직역하면 "집에 돌아감"이고 의역하면 귀향이겠지요. 중국도 긴 구정을 지냅니다. 중국어로는 春节(chun jie)이지요. 현재 "귀향"으로 검색을 하면 약 60,600,000편의 인터넷 페이지와 약 3,150,000편의 신문기사가 있습니다.
(그래프 깨졌습니다. 죄송--)
위의자료는 현재 "귀향"에 대한 바이두 사용자의 관심 수치를 표현한 것입니다. 아래쪽은 매체의 보도 기사를 바탕으로 한 통계 자료입니다. 중국인들이 요즘 전통명절을 잊어 간다고 하는데, 이런 수치로 강력한 반박 증거를 제시할 수 있겠군요. 사실 중국인들이 귀향을 하는 이유도 간단합니다. 가족들과 같이 새해를 맞이하려는 것이죠^^
그래서 "回家过年"가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집에 돌아가서 새해를 맞이한다라는 의미의 단어입니다. 현재 관련 인터넷 페이지가 약 5,860,000편이며, 관련 신문이 135,000편입니다.
하지만 올해 중국의 새해는 그렇게 아름답지만은 않습니다. 10년만의 최악의 폭설이 중국 그 넓은 땅에서 전국적으로 내리는 바람에 세계 경제가 흔들릴 정도입니다. 특히 일반 백성에게는 폭설로 인한 교통대란이 매우 심각하였지요.
그래서 폭설이 3위로 뽑혔습니다. 현재 폭설과 관련된 인터넷 페이지는 18,500,000편이며, 관련 기사는 133,000편입니다. 그외에도 폭설과 관련된 暴风雪,雪灾,冻雨등도 상당히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천재지변 수준의 폭설에서 많은 사람들이 계속 기상예보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교통 수단이 기상악화로 연착 혹은 운행중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 삶의 실질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1월 15일부터 급속도로 "기상예보" "열차시간표" "열차와 같은 키워드들의 매일 검색량이 10000을 넘어가고 있으며, 더욱 증가중에 있습니다.
기상 예보에 대한 사용자와 매체의 관심도
사실 해당 수치는 바이두 인물에서 발표했습니다. 왜 인물에서 이런 분석을 발표했냐고요? 괜히 그러는게 아니랍니다. 행복한 구정과 걱정스러운 폭설. 그래서 바이두 인물에서 "당신"을 2월달의 인물로 발표했습니다. 해당 내용은 일부러라도 번역 안 하겠습니다. 아니 못하겠습니다. 제가 번역하기에는 미천한 실력으로 원래 아름다운 글 내용을 망칠것 같군요. 그래도 아예 안하면 무책임 해보니 간략한 내용만을 말하면....
2월의 인물로 당신을 선택했습니다. 어머니를 그리며 귀향중인 당신, 열심히 재해 현장에서 복구작업에 한창인 당신, 고향에 돌아오는 친구를 걱정하고 있는 당신, 열차가 멈추어서 오도가도 못하고 있는 당신, 피해 지역에 구호 물품을 보내고 있는 당신, 고향에 가지 못하고 열심히 일하고 있는 당신들이 모두 2월의 인물입니다. 언젠가 이 폭설이 지나고 따뜻한 햇빛이 우리를 비추어주리라 믿습니다.
바이두에서는 지금까지 자신들의 검색 데이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면의 정보들을 분석-공개해 왔습니다. 게임, 증권, 사업, 연애 등등이었죠. 이번에는 핸드폰에 관한 사항이 나왔습니다. <2007년 바이두 순위 - 핸드폰 부문 보고서> 안에는 실제 바이두 검색을 통해서 핸드폰 산업을 분석해 내고 있습니다. 핸드폰을 인터넷에서 어떻게 구매하고 있는지, 핸드폰 사용자의 특징은 무엇인지, 인기있는 핸드폰은 무엇인지와 같은 다양한 연구결과를 내어놓았습니다. 앞으로 중국 핸드폰 시장에 진출하시려는 분이나 관심이 있는 분에게는 좋은 정보가 될 듯 하군요.
단! 중국어가 되야 된다는 사실! -0-;;
재미있는 것은 인기있는 핸드폰 회사는 노키아가 1위 먹고 있고, 삼성이 그 뒤를 따라가고 있군요. SK과 같은 경우 중국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10위 권안에 있지도 않습니다. SK 분들이 요즘 에너지쪽으로 집중하는 것 같기도 한데, 핸드폰 시장에서 10위권에도 안 드는건 너무하지 않습니까!
바이두가 知识掌门人(직역 : 지식장문인 의역 : 지식마스터) 서비스를 조용히 시작하였습니다. 우선 사전 지식이 있어야 하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추가하자면, 바이두는 자체적으로 百度知道(바이두 지식)이라고 하는 네이버의 지식인과 비슷한 서비스를 예전부터 운영중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해당 지식마스터는 이런 바이두 지식을 더욱 체계적으로 구현해내기 위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지식 마스터는 사용자에게 자신이 만든 지식센터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한가지 주제를 가지고, 예를 들어서 "달탐사","해저세계","주성치","동방신기"등과 같은 주제를 가지고 "지식"서비스에 있는 관련 문제들을 한 곳에 모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림이나 동영상 같이 설명을 더욱 쉽게 하는 정보들을 추가할 수 있게 한 것이죠. 이렇게 함으로서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모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해당 기능은 wiki와 같이 집단지성의 힘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wiki가 집단지성을 한 곳으로 모으는 것에 비하여, 지식마스터는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분배를 하고, 바이두는 그들을 검색을 통해서 접근하게 해 놓은 것입니다.
바이두는 일주일에 한번정도는 새로운 서비스나 기존의 서비스에 변동을 주고 있군요. 물론 거대 기업이니 이런 시도들을 할 자금과 인력이 되겠지만, 똑같은 거대 서비스인 네이버는 새로운 시도를 했던 기억이 언제였던가라는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IT 기업에게 도전은 숙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