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学集刊 2008年 第5期

《意象与本真:明清“义婢”现象解析》王雪萍

义婢가 무엇인지 몰라서 대충 살펴보았다. 의첩이란 명청시대에 주인에게 충성하고 자기 희생을 하는 첩들을 말한다. 여기까지는 대충 추측한 것과 맞았고, 다른 내용이야 전공시대도 아니고 전공과목도 아니어서 설렁설렁 보았다. 그런데 조금 걸리는 내용이 떠올랐다.

 

흔히 여성사 논문을 보면 자주 나오는 말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인 면에 대한 강조이다. 위의 의첩도 국가에 의한 여론형성으로 인한 부분만 강조하고, 의첩 자신들의 주동성과 자발성을 무시하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의첩들이 구관적인 방면에서 발휘한 자아인식과 자아변이 및 자아만족을 이야기 한다.

개인적으로 이런 모습을 보면 왠지 안타까울 뿐이다. 우리는 우민정치라는 말을 알고 있다. (어느 분은 요즘도 이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하시지만) 과거의 통치술의 기본은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착각하게 하며 고위층만을 위한 정책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의첩들이 스스로 자랑스럽게 여겼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매우 불쌍한 모습에 하나로 비추어지는 것이다. 물론 당시의 그녀들은 그런 자신들의 모습에서 나름대로의 만족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점은 결코 무시하여서는 안된다.

하지만 역사를 공부하면서 해당 시대나 배경에 빠져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이나 해당 시대와 배경에서 객관화가 되는 것도 중요한 것이 아닐까? 역사가 단지 과거를 고증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욕나오지만) 나침판이 되려면 필요한 것이 "현재"와의 만남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의첩들의 "자발성"은 어디까지나 시대의 상황에 휘말린 불쌍한 여인들이라고 판단을 해야되지 않을까?

본인은 그녀들의 자발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마초주의자들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한다.(물론 이건 말도 안되는 소리일 것이다.) 그만큼 자발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에 대한 문제성이 느껴진다. 그들의 말을 그대로 현재에 도입을 하게 되면 "여성이여! 국가의 정책에 대해서 그것이 어떤 문제가 있던 말건 당당하게 자발적으로 그들의 말에 따르자!" 라고 본인 맘대로 극단적으로 느껴버리기 때문일듯 한다.

요즘 막장이 인기다. 아내의 유혹이라는 막장 드라마를 제외하고도, 사실 역사학도 뿐만이 아니라 역사 애호가들 사이에서 태왕사신기나 대장금을 비롯하여 최근의 천추태후와 같은 드라마는 막장 중의 막장으로 불리고 있다. 대체 무슨 생각으로 써 내려간지 모를 내용과 과연 고증을 제대로 했는지 의심스러운 다양한 대사와 복장들이 문제이다.

기왕 막장으로 갈 것. 왜 막장의 끝을 보려 하지 않는가?!
본인 이 기회에 막장 역사 드라마 하나를 대충 써보려 한다.

시대 배경은 춘추시대. 주인공은 가볍게 나라 몇 개 말아먹은 절정 미인 식규.

식규는 원래 진나라의 유명한 미녀자매 중에 둘째였다. 그녀의 언니는 이미 채애후에게 시집가서 띵가 띵가 잘 놀고 있었다. 그녀도 이제 식나라에 시집가게 되었다. 가는 길에 언니를 보려고 들린 채나라. 그런데 형부는 개새끼였다. 그는 "처재~ 죽이는데~"라면서 그녀를 덥친다. 아~~ 이를 어찌할 것인가?! 비록 겁탈을 당했지만 마음은 그에게 이미 향해버린 것을....하지만 그녀는 시집을 가야될 몸. 채애후와 여러 날의 섹스로 아쉬움을 달래며 식나라로 갔다. 그런데 식나라 주군은 처녀을 기대하면서 몸을 달구고 있었는데, 그녀와의 첫날감은 무엇인가 꺼림직하다. 그래서 뒷조사를 시작한다. 얼마 조사할 것도 없었다. 결국 채애후와 그녀사이에 벌어진 일을 알게 된다......기대하시라 남자의 복수를!

친구에게 배신당하고, 부인에게도 배신당하여 열받은 식나라 군주는 초나라 왕과 밀약을 맺는다. 초나라가 쳐들어오는 것처럼 한다. 아직 자신의 일이 발각된지 모르는 채애후는 식나라 주군이 부르자, 이 기회에 식규랑 쌰바쌰바를 하러 도와달라는 말에 단번에 콜을 외친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음모였다. 채애후는 이미 채나라 군사의 모든 상황을 식나라 주군을 통해서 알고 있던 초나라에게 처참하게 배패하게 된다. 그리고 채애후는 초나라로 잡혀 가게 되는데......기대하시라 진정한 야비함의 지존을!

초나라에 잡혀간 채애후. 초문왕은 그를 장난감 가지고 놀듯이 그의 목숨을 가지고 온갖 내기를 한다. 채애후 어떻게든 초문왕에게 이쁨을 받아야된다. 그리고 모든 남자들이 좋아하는 미녀를 그는 알고 있었다. "초문왕님아~ 식나라의 식규가 끝내줘요. 고년이랑 쌰바쌰바할 때 천국가는 줄 알았다니까요. 그 쫄깃졸깃함은 이루 말할 수 없사와요. 아~ 다시 한번만 할 수 있다면 허벌나게 기쁠터인데..." 원래 밝히는데는 둘째가라면 서러운 초문왕은 식나라에게 채애후를 죽이는 파티를 식나라에서 하자고 한다. 식나라 좋다고 했다가 뒷통수 쳐맞고 멸망당한다. 그리고 식규는 이제 초문왕의 손으로 넘어간다........훗! 이제 나라 하나 말아먹었을 뿐이다. 식규~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셔요~~~

초나라에 들어간 식규는 초문왕과 채애후와의 쓰리썸으로 매일 매일이 힘들다. 아...인생 참 지랄 같다. 그래도 날이 갈 수록 점차 적응되어가는 몸을 어쩌란 말인가?! 그런데 그녀는 역시 명기 중의 명기였다. 외모뿐만이 아니라 그곳도 베리베리 굿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녀의 배가 불러온다. 아 띠벌...아무리 막장 그라도 임신부하고 하고 싶지는 않다. 채애후가 이 때 채나라에서 괜찮은 미인 찾아보겠다면서 떠나게 해달라고 한다. 나름 이런 여자 소개시켜준 채애후가 고맙기도 하여서 꺼지라고 한다. 그리고 그녀에게서 독오가 태어난다. 그런데 독오가 자기 애인지 채애후 애인지 몰라서 쳐박아 둔다..........근데 이 독오는 과연 누구 아들일까? 채애후? 초문왕? 혹시 식군주??

혼자 그녀를 먹는 맛은 역시 더 좋았다. 금방 또 임신을 시켜버려서 애새끼 한명 내놓았다. 이녀석은 분명히 내 자식이다. 아싸라비여! 그녀석 나중에 초성왕이 된다. 이렇게 식규가 좋지만, 한가지 불만이 있었다. 섹스를 할 때, 도무지 교성을 내지 않는 것이다. 알사람은 안다. 섹스는 쫀듯한 그곳도 중요하지만, 감창도 만만치 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그래서 대체 왜 이렇게 소리를 안 내냐고 하니까~ 한 여자로써! 쓰리썸을 했다는 것은 두 지아비가 있다는 것인데, 당신하고 할 때도 그 사람이 생각나서 소리를 내지 못하겠습니다라는 막말 작렬!!!! 초문왕 질투심에 채나라를 멸망시켜 버린다. 씨부럴-- 쓰리썸은 역시 하는게 아니여~~ .........나라 하나 더 말아먹어 주셨사옵나이다~~~ 아직 끝날 식규가 아냐~~

이제 조용히 좀 살까 했는데, 뒤져버리는 초문왕. 다양한 섹스로 단련되어 익어가기 시작하는 그녀였다. 그런데 자원이라는 문왕의 동생넘이 유혹을 하네? 아싸리 좋구나. 맨날 자원이와 하악하악~ 아 근데 이녀석 별로다. 왜이리 비실비실하누....그런데 투렴이라는 아찌는 나이 좀 있는데 괜찮아 보이네. 헉!! 이거 물건이다. 그렇게 그녀는 두 남자를 꽤 차고 자기 아들을 초왕의 자리에 올려놓는다. .................슬슬 망쪼가 들어가는 초나라라고 할까? 기다려봐.

자원이라는 녀석 초문왕의 동생이어서 권력은 있지만, 하는 짓은 변태스럽고 물건도 비실비실하고, 그래서 그녀는 그녀석에게 "너 싸움이나 할 줄 아냐? 븅신~~~" 이라고 했다. 자원 열받아서 정나라를 치러 나가는데, 개떡되어서 돌아온다. 투렴이 그 모습을 보고서 "니가 그럼 그렇지. 븅신~ 식규는 이제 너 안 좋아해. 남자 같지도 않은것이~~" 라고 했다가 아직 권력이 살아있는 자원의 모략에 옥사해버린다. 이에 열받은 식규는 튜렴의 일가 남자들에게 몸을 주면서 자원쉡 죽여뻐리라고 한다. 그리고 아들이 어머니를 사랑하는 오이디푸스 컬플렉스의 지 아들 초성왕에게도 은근슬쩍 이야기한다. 그래서 자원은 결국 쳐 맞아 죽게 된다....

여기까지나 역사서에 남아있는 이야기일뿐....이제 농염해진 30대의 그녀가 대체 어떤 일을 벌였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단지 이 시기에 초나라는 힘이 좀 약해진듯 보인다는 말을 본인 맘대로 해본다~~


참고로 원문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막장이라고는 했다만, 본인의 말이 사실일수도 있다. 왜냐하면 최소한 현재 내려오는 사실에서 벗어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킥킥...막장을 갈려면 이렇게 하라고~~~ 그나저나 진짜 식규는 얼마나 예뻤길래...저 지랄들이래-_-;;;

莊公十年

蔡哀侯娶于陳,息侯亦娶焉。息媯將歸,過蔡。蔡侯曰:「吾姨也。」止而見之,弗賓。息侯聞之,怒,使謂楚文王曰:「伐我,吾求救於蔡而伐之。」楚子從之。秋,九月,楚敗蔡師于莘,以蔡侯獻舞歸。


莊公十有四年

蔡哀侯為莘故,繩息媯以語楚子。楚子如息,以食入享,遂滅息。以息媯歸,生堵敖及成王焉。未言。楚子問之。對曰:「吾一婦人,而事二夫,縱弗能死,其又奚言?」楚子以蔡侯滅息,遂伐蔡。秋,七月,楚入蔡。君子曰:「商書所謂『惡之易也,如火之燎于原,不可鄉邇,其猶可撲滅』者,其如蔡哀侯乎!」


莊公二十有八年

楚令尹子元欲蠱文夫人,為館於其宮側,而振萬焉。夫人聞之,泣曰:「先君以是舞也習戎備也。今令尹不尋諸仇讎,而於未亡人之側,不亦異乎!」御人以告子元。子元曰:「婦人不忘襲讎,我反忘之!」秋,子元以車六百乘伐鄭,入于桔柣之門。子元、斗御強、斗梧、耿之不比為旆,斗班、王孫游、王孫喜殿。眾車入自純門,及逵市。縣門不發。楚言而出。子元曰:「鄭有人焉。」諸侯救鄭。楚師夜遁。鄭人將奔桐丘,諜告曰:「楚幕有烏。」乃止。


莊公三十年

楚公子元歸自伐鄭,而處王宮。斗射師諫,則執而梏之。秋,申公斗班殺子元。斗穀於菟為令尹,自毀其家,以紓楚國之難。


지금 현재 법이 무엇인지? 과연 어떤 역할을 하는지 혼란스럽다. 원래 뜻을 다시 되새김질 해보는것은 어떨까? 법이라는 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도록 하자. (이 글은 동아대학교 이종길 교수님의 강의의 첫부분을 듣고 본인 식으로 바꾼 것이다.)

  요즘은 서양법의 영향으로 법의 여신인 미켈에서 법의 정신을 찾는 경우가 많다. 두 눈을 가리고, 저울과 칼을 들고 있는 미켈의 이미지를 우리는 쉽게 떠올린다. 하지만 법이라는 자는 원래 동양에도 있었던 개념이다.  왜 굳이 서방에서만 법의 정신을 찾는가? 우리 한번 동양에서의 법이란 무엇이었는지 생각해보도록 하자.

정의의 여신님은 잠시 냅두자고요^^


설문해자(说文解字)에 따르면 : ",刑也。平之如水。从水,廌所以触不直者去之,从去,会意. "이라고 했다. 이는 무슨 뜻인가?
廌은 해태이다. 해태(獬豸)는 동아시아에 동아시아 고대 전설 속의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로, 원래 해치가 원말이다. 사자와 비슷하나 기린처럼 머리에 뿔이 있다고 정의되어 있는 ‘해태’는 그 형태적 특징이 목에 방울을 달고 있으며, 몸 전체는 비늘로 덮여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겨드랑이에는 날개를 닮은 깃털이 나 있고, 여름에는 늪가에 살며 겨울에는 소나무 숲에 산다고 알려져 있다.

한자로는 해(獬)가 부정한 사람을 보면 뿔로 받는다는 신수(神獸), 신통한 양 등을 뜻하고, 치(豸)는 웅크리고 노려보다, 풀리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어로는 ‘the unicorn-lion(외뿔 달린 사자)’ 또는 ‘an omniscient mythical beast(모든 것을 다 꿰뚫어보는 능력을 가진 상상의 짐승)’이라고 풀이된다.(위키)



하지만 그것만큼 중요한게 앞에 있는 물 수(水)변이다. 특히 설문해자에 나오듯이 마치 물처럼 평평해야되며, 물처럼 스스로 깨끗해져야 된다는 의미이다. 법(
灋)은 원래  물처럼 평평하고 깨끗하게 정의를 확실히 구현해낸다는 뜻이다. 냉정함을 위해서 눈을 가렸다는 미켈보다, 스스로의 노력으로 마음을 편히 하려고 노력하는 법의 원래 뜻을 다시 생각해보아야 되지 않을까?

법이 점차 망가져가는 지금. 특히 법을 제정하고, 판단하고, 집행하는 곳들의 도덕성 문제를 넘어선 법적 문제가 심각해지는 지금! 다시 한번 원래의 뜻을 생각해보자. 제발...



그냥 중얼중얼인데...중국의 신법가라는 법학자들의 싸이트의 메인에 이 해태가 서 있다. (해당 싸이트 주소는 http://www.xinfajia.net/ ) 한국에서는 중국의 법을 무시하고는 하는데, 사실 노동법이나 물권법은 오히려 한국보다 훨씬 더 발달했다고 한다.



소하님이 제대로 생각을 말해주시거나 혹은 실수한 것이라고 하실 줄 알았는데, 군서치요를 기준으로 해석한 것이라고 하시는군요. 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안타깝군요. 

1) 군서치요 자체의 문제
일단 군서치요 자체의 해석문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언급하신 군서치요를 직접 찾아보았습니다.

<治要>作“還自遗咎”
그런데 소하님은 해석을 해석을 "나에게自 재앙으로咎 돌아오네遺. "라고 하셨습니다. 만약 잘못 쓰신 것이라고 하여서, "나에게自 재앙으로咎 돌아오네还." 라고 하여도 遗 자체가 해석이 없는 것은 동일합니다. 물론 의역이라시니 그럴 수 있다고 넘겨봅시다.

그런데 군서치요를 따를 생각이셨으면, 당연히 군서치요에 대한 언급을 해주셨어야 된다고 봅니다. 한글자...한 획을 가지고 목숨거는 것이 고문작업인데, 글자 하나가 빠지고, 다른 글자가 들어오는 상당히 큰 변동임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언급이 없었던 점은 고문작업에서 기본적인 일을 빼놓으신 것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습니다.


2) 군서치요의 판본적합성 문제
군서치요는 중국 당나라 정관(貞觀) 5년(631)에 만들어졌습니다. 이것이 무엇이 문제냐? 보통 고문의 고증이나 해석할 때 가장 큰 문제가 판본문제이고, 조금이라도 과거에 가까운 것을 찾기 마련입니다. 물론 이후 학자들의 주석들도 중요하긴 합니다만...군서치요의 해석은 어디까지나 예외 중에 예외라고 생각됩니다.

일단 다른 판본을 보도록 하죠.

《老子》郭店楚簡甲本 : [ㄓ/木]而浧之,不不若已。湍而群之,不可長保也。金玉浧室,莫能獸也。貴福喬,自遺咎也。攻述身退,天之道也。

《老子》甲本 : [才直]而盈之,不●●●。●●●●,不可長葆(保)之。金玉盈室,莫之守也。貴富而〔馬高〕(驕),自遺咎也。功述(遂)身芮(退),天●●●。

《老子》乙本 : [才直]而盈之,不若亓已。[才短](揣)而兌(銳)之,不可長葆(保)也。金玉●室,莫之能守也。貴富而驕,自遺咎也。功遂身退,天之道也。

《老子想爾注》 : 持而滿之,不若其已;揣(ㄔㄨㄞˇ)而悅之,不可長寶。金玉滿室,莫之能守;富貴而驕,自遺咎。名成功遂身退,天之道。

기본적으로 "還"자체가 없습니다. 그런데 굳이 군서치요가 정확하다고 하신다면, 그것에 대해서는 별 할말은 없습니다만(그것 자체야 개인의 해석문제이니..) 기본적인 주류의 생각 자체를 명기하지 않은 것은 기본적인 고문해석 원칙과 그리 부합한다고 보기는 힘들듯 합니다. 특히 해당 글이 고문해석의 원칙을 강조하고 제대로 원칙을 지키지 않는 글을 비판하는 글인데도 불구하고, 이런식의 해석과 설명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글루스에 로그인하여 덧글을 적을 수 없기에...이렇게 계속 트랙백으로 보냅니다.


自遺咎也. 자유구야. - 노자 9장.
스스로自 허물을咎 남기게遺 되니,  (임채우)
스스로自 허물을咎 남긴다遺.         (이현주)
스스로自 허물을咎 남길遺 뿐이다.  (김용옥)
스스로自 허물이咎 될 뿐이니(遺?), (이경숙)

  “咎(허물 구)”자를 모두 현대의 대표적인 훈(의미)인 “허물”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번역이 틀렸다고 크게외치던 사람들의 번역들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대표적인 오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렇게 번역되어야만 합니다.

나에게自 재앙으로咎 돌아오네遺. 

   허신의 《설문해자》를 보면 “咎, 災也.- 구咎는 재앙災이라는 뜻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구咎”자를 후대에 파생된 의미(현재의 의미)인 “허물”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뜻이 통하지 않게 되는것입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사어(어휘)”의 변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현대의 의미로 잘못 번역한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소하님의 고대한어1 사어詞語(어휘)의 개념.라는 글. 중의 일부이다.

개인적으로 그렇지! 이러다가... 마지막에 헉! 했다. 돌아오네遺라니??!!

遺:《說文》亡也。《集韻》餘也。《正韻》失也。 소하님이 언급한 설문은 亡이라고 하고 있다. 그럼 亡은 무엇인가? 우리도 잘 아는 없앨 망자이다. 기본적인 뜻은 "없다" "도망가다" "잃어버리다" "죽다" "멸망하다"등이며, 망자는 같은 설문에서는  逃也。라고 하여 "도망친다"는 의미가 강하다. 참고로 후대의 뜻인 집운은 "남음"이다. 정운은 "잃어버림" 대체 遺의 어디에 "돌아오네"라는 뜻이 있는지 의문이다.


또한 고문의 해석은 앞뒤도 보아야 할 것이다. 원래 문장의 앞부분은 貴富而驕 "부귀로 교만해지면"으로 해석이 된다. 그 뒷문장을 보면, 功述身芮,天之道也 (솔직히 여러가지 이유로;; 해석하기 곤란하지만, 억지로 해석을 하면) "지속적으로 수련을 하여서 몸에 양의 기운(芮)을 늘리는 것이 곧 하늘의 도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인의 경우 아래와 같이 해석할 것이다.

자신으로부터 도망치면 재앙이니

스스로를 잃으면 재앙이니

혹 융통성있게 한다면 :

스스로 길을 잃어 재앙이 될지어니

이 문장 자체는 "포기하지 말라는 경고이다."전체문맥으로 연결을 해보면, "귀하고 부자가 되었다고 교만하게 되어서, 스스로 길을 잃으면 재앙이 있을지니. 열심히 계속 수련을 하여 양의 기운을 쌓는 것이 천하의 도이다." 물론 이런 해석은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소하님이 지적하신대로, 가치관의 문제가 아닌 해석 자체의 문제로 생각해보면 "遺"을 돌아오네라고 하는 것은 역시 문제가 있어 보인다.

아는 분의 제보에 따르면, 혹시 遺을 還과 혼동하신것은 아닌지....

티스토리여서 덧글을 못달고, 트랙백도 못 거니 그냥 이렇게 간단하게 풀어야겠군요. 최근 고구려가 중국역사가 아닌 세가지 이유이라는 글을 올렸다. 해당 논지는 현재 국토를 중심으로 역사서술을 하는 원칙론에 대한 나름 괜찮은 반박이기는 하다. 국토중심의 서술은 과거의 개념을 억지로 끼워넣는 개념이 강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하지만!!

귀찮은 분을 위해서 결론부터 말하면 :
한국도 똑같다. 고구려가 왜 한국사인가? 그 주장도 억지이긴 마찬가지이다. 한국도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서 억지로 "만들어낸 민족의 개념"에 고구려를 때려 넣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몇 가지 오류를 지적하면 :
1) 해동삼국(海東三國:고구려, 백제, 신라)이라고 묶어서 불렀다고 같은 나라라고??;;; 그럼 동남아국가라고 몰아서 부르는 말레이시아나 태국 및 인도네시아들은 같은 민족이고 같은 역사인가? 지역적인 개념으로서의 이야기와 실제 역사적 관계를 동일시 하는 것은 대체 어떤 논리에서 나오는 것인가? 개념 정리부터 하시기를 ^^

2) 발해의 민족이 발해족이라;;;; 발해의 상층은 고구려유민이고 중하층은 말갈이다. 이것부터 명확하게 하고! 이 다음부터 문제가 된다. 상층 지배민족을 기준으로 그 국가를 정의하느냐? 아니면 중하층을 기본으로 지배하느냐의 문제이다. 보통 현재까지의 논리는 지배민족에 무게를 두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식이면 몽골점령시기나 일본제국시기는 한국 역사가 아닌가? 만약 발해의 상층이 고구려유민이라고 같은 전통성이 있다고 말한다면 전체 한국사로는 모순적이 상황이 되게 된다. (본인 개인적으로는 당시에는 제대로 된 민족 개념자체가 없었다고 본다.)

3) 독자적인 연호와 천자의 개념은 상당히 중요하긴 하다. 하지만 그리 뛰어난 반박이론이 될 수는 없다. 중국에 얼마나 많은 자칭 천자와 연호가 있었을까? ^^::: 예를 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삼국지의 위촉오는 각기 다른 민족인가? 연호와 천자의 개념은 분명히 실질적인 독립국이라는 의미로는 중요하다. 그리고 분명히 당시에는 조공-책봉관계라는 하나의 외교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역사관에서 이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역사관에서는 "정통"이라는 개념과 "반란"이라는 개념이 있다는 점을 명심해주셨으면 좋겠다. (이것이 역사적 사실이냐 아니냐의 문제는 아니다. 단순히 해당 일을 가지고 반박을 하기는 ^^::::)


왜 고구려가 한국사인가?
반대로 고구려를 한국사에 넣을려고 삽질하는 것은 왜 생각하지 못하는가? 정말 묻고 싶다. 왜 고구려가 한국사인가? 위의 글에서는 어설프게 넘어가는 질문이 있다. "3. 고구려가 멸망한 뒤 고구려인은 대부분 중국에 속하게 되었다?" 여기서의 중국은 현재의 중국을 말한다. 실제 고구려 멸망이 후, 통일신라로 귀속되는 인구보다 현지에 남은 인구가 더 많다. 이거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하다 못해서 아직 확실한 설은 아니지만, 통일 신라로 귀속된 인구만큼이나 중국대륙 내부로 들어간 인구가 있다. 이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한국의 민족주의적 역사관으로는 설명하기 곤란한 지점이 아닐 수 없다. 발해사 역시 한국사로 인정된 것이 그리 오래 되지 않았으며, 고구려를 이었다는 거란이나 만주족들도 한국에서는 한민족만 역사에 넣는지라 무시한다. 차라리 중국의 다민족사가 이쪽에서는 더 설득력을 가진다.(물론 이것도 나름의 문제가 있다. 하지만 최소한 이런 사실에 대한 해석에서는 더 설득력을 가진다는 말이다.)

혹자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말할 지 모른다. 이 책을 보면 같은 민족이라는 정체성이 있지 않냐고? 고대사서도 어디까지나 당시의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서 쓰여진 것이어서 신중하게 해석해야된다는 것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안다. 그리고 해당 사료는 엄밀하게 말해서 1차 사료도 아니다. 참고로 고구려 관련 논문에서 빠질 수 없는 위지동이전은 중국쪽 사료이다. 중국쪽 사료에 고구려 역사를 적었으니 그럼 고구려도 중국사겠네? ^^::

무엇보다 어디까지나 한국의 잣대인 "한족"에 의한 통치로 중국사를 보는 것은 웃기기까지 하다. 중국의 역사관은 어디까지나 다민족사이다. 결코 한족만의 중국사가 아니다. 그리고 한족만의 역사를 죽어도 할 수 없다.

솔직히 고구려사는 고구려사이다. 이것을 현재의 국사 개념에 억지로 넣을려고 하니까 서로 다른 역사관으로 인하여 충돌을 하는 것이다. 물론 개인의 역사관으로 스스로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개인의 자유이다. 하지만 자신의 역사관만큼 상대방의 역사관도 존중을 해주어야할 것이다. (물론 역사관 존중과 역사적 사실이 다름은 전혀 다른 개념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에서 배워서 고구려가 한국사이다라는 말이 아니라, 왜 한국사인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불타오르던지 했으면 좋겠다. 20대 이상의 성인이면 다들 알겠지만, 초중고교과서는 어디까지나 기초교육이며, 현재 학계의 정설에 한참을 뒤떨어지거나 왜곡되는 내용이 있기 마련이다.

반드시 오해할 사람이 있었던지라 다시 말하지만 : 본인이 한국의 역사관에 찬성하지 않는다고, 중국의 역사관에 찬성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런 이분법적인 사고를 좀 없애시기를 바란다. 본인은 둘 다 국사개념에 매몰되어 민족주의라는 통치기술에 훌륭하게 활용되는 아름다운! 역사관이라고 생각한다.


사융론이라는 것이 있다. 서진(西晋)때 사람인 강통이 쓴것인데, 그는 지금 현재 중국경내로 들어와 있는 이민족을 다 몰아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잔인하고 황폭하고 교화되지 않으니 난리를 일으킬 것이라고 하였다. (혹시나 원문 보고 싶은 분은 여기로  江統《徙戎論》) 그리고 실제로 남북국시대가 전개가 되면서, 북쪽은 이민족들의 정권들이 세워지게 된다. 우린 이것을 보면서 "역시 외국인 노동자를 내쫒아야돼!"라고 생각해야될까?

우리는 이 점을 반드시 생각해야된다. 강통의 사융론은 당대에 받아들여지지 못하였다. 그리고 당시에 받아들여지지 못한 것에는 그 나름의 이유가 있다. 한마디로 설명을 하면 "필요 했기 때문이다" 당시의 이민족이라고 하면, 단순히 약탈만 자행했을 것 같지만, 상당히 많은 수가 목축이 아닌 농업에 종사했었다. 물론 그들의 장점이라고 말하는 군사계열에 종사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그것은 삼국시대를 거치면서 한대의 인구의 10%정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는 정말 귀중한 노동력이었다.

그래도 이민족들이 난리를 일으켰잖아?! 라고 하시는분들이 있는데, 당시의 이민족들은 한족에 비하여 분명히 열등한 대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외국인 노동자처럼 말이다. 당신이 계속 열등한 대우를 받는다면, 당신이라면 열받고 뒤집어버리고 싶지 않았겠는가? 또한 모용씨와 같은 경우는 단지 이민족의 피를 가지고 있었을 뿐, 실제 모습을 보면 이미 상당히 중국화되어있었다. 단지 혈통만 이민족이었을 뿐....

사융론은 마치 미래를 예측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결과론이었을 뿐이며, 이민족들이 난리를 일으킨 것은 제대로 된 사회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서였다. 당장 필요하고, 앞으로도 계속 필요한 노동력을 다 쫒아 버리겠다는 사융론은 그래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는 역사의 교훈에서 이를 꼭 배워야 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외국인 노동자는 필요하다. 그런데 그들이 위협적이 될까 두려운가? 그럼 제대로 된 사회시스템과 외국인이라고 멸시 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그렇지 않겠다면 남은 길은 정말 필요한 외국인 노동자 내쫒고 남게되는 돌아가지 않는 기계나 외국인 노동자들의 불합리한 한국의 사회시스템에 대한 분노폭팔 중에 하나가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사료를 읽다가 제일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다. 만약 이것이 자주 나오지 않는다면, 본인도 그냥 그럴 수도 있지. 븅신~ 화가 난다고 병이 되서 죽냐? 물론 화병이라는 것이 있기는 하지만...

두가지 가능성이 있다.
1) 자존심 만빵의 인간들.
자존심을 무지막지 가지고 있어서, 그 자존심 때문에 조그마한 일에도 쉽게 화병을 일으키는 경우.
쉽게 말해서 진짜로 화병때문에 죽은 경우.

2) 다른 죽음의 이유가 있는데, 필법으로 화병이라고 하는 경우.
이 경우라면 조금 조사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혹시 어떤 필법에서는 화병이 어떤 다른 상황을 상징하는지 아시는가? 본인도 모르겠다. 끙..

...이것도 잘 쓰면 논문 되겠는걸?;;
........최근 자신이 바보같음에 미치고 환장하는 바보였습니다. -_-


+ 홧병이 아니고, 화병이란다. 왜냐하면 火病이라는 한자음에서 온 것이라서, 아래쪽에 홧이라고 붙이지 않고, 그냥 화병이다. 우리는 짜장면이라고 말하는데, 자장면으로 표준철자법이 규정된 것과 비슷한 경우라고 생각해도 무방할듯 하다.
유연(刘渊)은 서진시대 흉노의 대선우(大單于 - 흉노의 최고 지도자)였다. 그는  유총(刘聪)이라는 아들을 두었고, 유선(刘宣)의 아들이였다. 그는 아마 서진에 인질로 잡혀 있었던 듯 싶다.

그는 당시 사마영(司马颖)에게 부족을 모아서 선비와 오환을 막겠다고 하는데, 사마영이 상당히 안 좋은 상황에 몰리게 된다. 그런 상태에서 그의 조부인 유선은 "서진쉡들 우리를 노예로 부려먹었는데, 지들끼리 박터지게 싸워서 하늘도 버렸는데, 어째서 호한야(呼韓邪)의 업적을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습니까" 라고 하며 선비와 오환은 같은 동족이니 구태여 공격할 필요가 있느냐고 한다. 참고로 호한야는 북방유목민족을 통합하였다.

그에 대한 유연의 대답이 걸작이다.
"사내 대장부가 태어나서 한고조(유방)나 위무제(조조)가 되어야지. 호한야로 어찌 만족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한다. 그리고 유선등은 머리를 조아리며, "미쳐 거기까지 생각하지 못했습니다"라고 한다.

본인 처음에는 이상하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유연이 유학생활을 오래하더니 미친건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권력 기반을 정면으로 반대하는 저런 말을 하다니 말이다. 그런데 걸작은 유선등도 이에 동조를 한다는 점이다. 처음에는 자치통감이 장난치는것 아니야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또 다른 생각이 떠올랐다.

유연은 호한야와 같은 북방 통일만이 아닌, 천하를 통일하겠다는 생각이었던 것이다. 까짓 호한야가 한 것 정도는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이고, 대장부면 천하통일이 아니냐는 아주 호방한 말이다. 젠장...유연...니 뿡이다.-_-

그리고 나중에 흉노와 한(汉)이 형제라며(실제로 형제의 조약을 맺기는 했다만...나중에 흉노는 자기들의 성이 한나라와 같은 유(刘)씨라고까지 한다. 니들 짱이다-_-;;) 한(汉)이라는 국가를 세운다. 어차피 역사라는 것이 지배자 맘대로 엿바꾸듯이 하는 것이라지만...니들은 정말....

관련 원문 :
晉人奴隶御我 今其骨肉相殘 是天棄彼 而使我復呼韓邪之業也 鮮卑烏桓我之氣類 可以為援 柰何擊之 淵曰 善大丈夫當為漢高魏武 呼韓邪何足効哉 宣等稽首曰 非所及也
资治通鉴 卷八十五 晋卷

본 글은 초한 소열제 유비와 후주 유선 이라는 글을 보고 덧글로 단 내용입니다. 참고로 그냥 잡설입니다. 제대로 원문도 인용하지 않은;;; 다른 일도 바쁜데 하나하나 다 인용하기에는...전 날나리 역사학도라서 말이죠. 음하하하;;;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인물을 통해서 역사를 분석하는 것도 재미있기는 하지만..^^ 촉의 멸망은 다른 면으로 분석해 볼 수도 있습니다.일단 당시의 상황을 간략하게 서술하면 :

1) 정치적인 면.
촉은 "한"의 부흥이라는 절대적인 정치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유비가 처음 촉땅을 차지한 것의 명분도 한의 부흥이었으며, 나중에 스스로 황제가 된 것도 한을 이어가서 천하를 통일하겠다는 말이었습니다. 하다못해서 그 유명한 제갈량의 출사표에서도 한의 정신을 이어서 천하통일을 하겠다는 명분을 제시합니다.

그런데 이런 명분의 이유는 외부인과 내부인의 충돌에 있다고 보여집니다. 촉의 구성맴버는 당시 사천땅의 사람들이 아닌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었습니다. 원주민들은 분명히 자신들의 권력을 일정정도 뺏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분명히 일정한 분만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간단한 정치적인 처리 방법은 외부에 공동의 적을 만드는 것이고, 이는 위나라라는 공적을 만들어버린 것이었습니다.

2) 경제적인 면
사천 분지는 매우 좋은 땅입니다. 훗날 촉땅에서 웅기하는 이특 역시 촉땅을 처음 보고서 "이런 좋은 땅을 가지고 말아먹다니 븅~"라고 했다지요. 그만큼 촉땅은 농산품이 풍족한 땅입니다.

하지만 정치적인 명분은 천하통일이고, 내부적으로 안정만을 구할 수는 없습니다. 마치 모순되는 듯한 이 내용은 사실 모순적이지 않습니다. 천하를 통일함으로서 그 이익을 당시 원주민들에게 나누어줄 가능성이 높았고, 이는 정치적인 명분과 더불어서 외부인과 원주민을 가까이 하는 하나의 이유가 되게 됩니다.

3) 지리적 이유
무엇보다 사천지방은 상당히 독특한 위치에 있습니다. 들어가는 입구가 마치 병구멍처럼 되었습니다. 양쪽의 넓은 평야가 있는데, 가운데는 아주 좁은 통로로 되어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좁은 통로를 막아버리면 매우 쉽게 수비를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기에 사천땅에 세워진 정권은 내부적인 반란이나 혼란이 아닌 이상, 왠만해서는 외부적인 공격에 무너지지 않게 됩니다.

그런데 이것을 반대로 하면, 외부적으로 공격해나가기도 곤란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제갈량이라는 당대의 천재도 결국 수 차례의 원정을 실패하게 되는 것입니다.

위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서 정리하면 :
당시의 촉정부로서는 어쩔 수 없이 국가의 자원을 계속 소비해가면서 외부로 공격성향에 나설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제갈량이 죽고서, 전략을 바꾸어서 내부에서 안정을 찾게 되는 순간부터, 외부인과 내부인간의 갈등이 표면화 되었고, 내부 분열로 인하여 촉이 멸망했다라고도 서술할 수 있겠지요^^::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생각일 뿐입니다. 서로 다른 각도로 분석할 수 있겠지요. 전공이다 보니 재미있어서 이것저것 잡설을 많이 적었군요.^^:: (원문들은 귀찮아서 인용안 했습니다. 음하하하;;; 나는 제대로 된 역사학도가 아닌걸까나;;;)

---------------------------------------

좀 더 중얼중얼 :

해당 사실은 현재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군사 무기의 발달로 사천으로의 공격은 나름 쉬워졌지만, 티벳의 지형은 아직도 매우 곤란한 지형임이 분명하다. 티벳을 중국이 잡고 있는 이유는 티벳에 있는 자원도 한 이유이지만, 인도와의 전쟁을 고려했다고도 할 수 있다.

역사 분석에서는 우리는 영웅주의에 의하여 인물을 통해서 모든 일을 해석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하지만 영웅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도 당시의 다양한 환경의 영향을 받음으로 일정한 제약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우리는 이 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역사학은 학문이다. 학문은 순수해야된다. 하지만 역사학을 하는 사람들은 어디까지나 현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기에 순수한 학문으로만 남는 것은 그리 쉽지않다. 그리고 최근 한국 사학계의 어떤 상처가 터져나왔다.

서동요라고 기억하시는가? 백제의 서동이 신라의 선화공주와 결혼하려고 노래를 퍼트렸다는 이야기이다. 서동은 나중에 백제의 무왕이 된다. 이런 내용들은 삼국유사에 기록이 되어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서동요가 구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최근 발굴된 [역사-歷史/史料] - 백제 무왕 미륵사지 ‘금제사리봉안기’ 원문 및 해석 에 따르면, 본래 선화공주가 만들어졌다고 말해지는 미륵사지가 실제로는 무왕(武王)의 정비인 사택(沙宅)씨의 발원으로 시작되었다고 완벽하게 부정이 된다. 그럼 이에 대해서 한국의 사학계는 어떻게 반응을 하였을까?

최대한 선화공주와 끝까지 연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왜냐고? 돈이다.
서동요제라는 지방축제는 물론이고, 관련 논문이나 서적 및 유물집들의 출판이 사실상 연기나 취소되었고,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인의 좁고 좁은 한국쪽 정보망으로도 몇 개나 이런 사태가 포착이 되니, 실질적으로는 상당히 광범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에 관련된 학자들은 미륵사지는 여러 사람이 만들었다는 논리(분리건출설)로, 서탑은 사택씨가 만들었을지 모르지만, 다른 곳은 선화공주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하거나.... 물론 그들의 말이 아주 말이 안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가능성이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조금 억지를 부리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단지. 삼국유사와 실제 백제인들의 유물 중에서 과연 어느 것을 믿어야될 것이냐라는 질문에 어떤 대답을 하실지 궁금할 뿐이다. (역사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료는 해당 시대 사람이 쓴 글이다. 그것을 1차 사료라고 한다. 물론 1차 사료도 그 나름의 문제가 있지만, 이는 여기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최근 불교사상사 전공인 동국대 김상현(金相鉉.62) 교수가 사학계에 찌질대지 말라고 강력하게 비판을 하였다. 개인적으로 김상현 교수님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본인 이 이야기를 쓸까 말까 하다가 모자란 지식으로 쓸 수 있었던 이유도 아직 한국의 사학계의 희망이 있구나라는 생각에서였다.

돈? 중요하다. 현실?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학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절실히 고민해보아야될 시점이 아닌가 싶다.


추가 : 설화라고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다. 설화는 역사사실과는 다른 그만의 가치가 있다. 설화가 가치가 없다고 하는 것은 문학작품이나 예술작품이 가치가 없다는 것과 같다. 단! 해당 일은 최소한 현재까지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어디까지나 설화이라는 것이다.

서동요는 실제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상당한 예술적 문학적 가치가 있다. 어떤 학자분이 말씀하신 : "그래도 선화공주를 버리기는 아깝다"라는 것은 설화의 가치를 무시하는 행동이며, 역사학의 기본정신조차 위반하는 행동인 것이다.


레포트 하다가 그냥 심심해서 천추태후를 거론해 본다. 참고 서적도 없고, 그냥 레포트 쓰다가 정신을 좀 놓으려고 쓰는 것이니 막나갑니다. -_-

1. 거란은 바보가 아냐 -_-;;; 동물을 앞세워서 침략을 하다니??
본인이 무식해서 거란이 맹수들을 앞세워서 공격했다는 것은 본적도 없고, 들어본 적도 없다. 스페샬 보고서 이 부분에서 푸욱! 하고 뿜어버렸다. 나름 잘 나가다가 이런건 좀....자제요. 뒤쪽에 보면 유가들을 비판하는 부분이 있는데, 어찌 생각하는 것은 더도말고 덜도 말고 딱 유가의 색체일까나...북방기마민족은 그냥 다 야만인?! -0-;;

2. 외교의 천재 서희라...거란을 바보로 보나?
....애들 소꿉놀이도 아니고 말로만 상대를 농락하는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는가? 거란이 바보도 아니고-_-;; 나름 송나라와의 외교에서 雲十六州 냠냠 먹은 거란이란 말이다. 개인적으로 이에 대해서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이정신의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 이라는 책이다. 심심하면 한번 보도록...(머..이 책을 보면 서희는 외교의 천재라고 하기는 힘들지만, 내정의 천재일지도-0-)

간단하게 말해서, 해당 조약으로 인하여 고려는 요동은 넘볼 수 없게 되었다. 성종이 조약을 맺지 않고 그냥 물러나려고 한 것은 소극적으로 보이지만, 아예 모든 조약을 맺지 않음으로서 다시 수복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도 해석을 해볼 수 있건만-0-

3. 유학자들이 역사를 쓴것이 맞긴 하다만...
그 부분은 분명히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 부분이다. 역사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유가의 영향이 강력하고, 집필진이 유가계열이니 당연히 정치에서 배제되었을 유학자들이 왜곡 시켰을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런 유가이기에 사실을 과장할 수도 있지만, 아예 없는 사실을 집어 넣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해야되지 않을까나?

그리고 유가들은 기본적으로 호국사상이고, 위에서도 말했지만 "중국" 이외의 다른 민족이나 문명은 다 야만인으로 보고, 본인이 알기로 태조(왕건)의 정치적 배경은 불교세력과 호족무장세력이고, 유가들은 그리 배려를 받지는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천추태후가 태조의 정신을 이어받았다라....음....머.

4. 그냥 "천추태후"로만 해서 나온 사료중 일부...
千秋太后皇甫氏,逼大良院君詢,爲僧,初洞州人金致陽,太后外族,性姦巧,嘗詐祝髮,出入千秋宮,頗有醜聲,成宗,杖配遠地,成宗,薨,召授閤門通事舍人,不數年, 貴寵無比,百官予奪,皆出其手,親黨布列,勢傾中外,起第至三百餘間,臺榭園池,窮極美麗,日夜與太后遊戲,無所畏忌,洞州立祠,額曰星宿寺,又於宮城西 北隅,立十王寺,其圖像,奇怪難狀,潛懷異志,以求陰助,凡器皿,皆銘其意,其鍾銘曰,當生東國之時,同修善種,後往西方之日,共證菩提,王,常欲黜之, 恐傷母志,不敢也,至是,太后生子,是私致陽所生也,與致陽,謀爲王後,忌大良君,强令出家,大良君,時年十二,後,寓居三角山神穴寺,太后潛遣人,謀害 者屢矣,寺有老僧,穴地室中,匿之,而上置臥榻,以防不測。

-- 高麗史節要 卷之 穆宗宣讓大王

천추태후(千秋太后) 황보씨(皇甫氏)가 대량군(大良君) 순(詢)을 핍박하여 중이 되게 하였다. 예전에 동주(洞州 황해 서흥군(瑞興郡)) 사람 김치양(金致陽)은 태후의 외족(外族)으로 성품이 간교하였다. 일찍이 머리를 깎고 중이라 하면서 남들을 속이고 천추태후의 궁에 드나들어 자못 추잡한 소문이 있었으므로 성종이 장형(杖刑)을 내리고 먼 지방으로 귀양을 보냈다. 그런데 성종이 훙하자 왕이 그를 불러다 합문통사사인(閤門通事舍人)에 임명하여, 몇 년 되기도 전에 귀하고 총애를 받는 것이 비할 데가 없었다. 백관에게 벼슬을 주고 빼앗는 일이 모두 그 손에서 결정되었으며, 친당(親黨)이 조정에 늘어서서 세력이 조야에 떨쳤다. 집을 지었는데 3백여 칸이나 되며, 누대와 정자ㆍ동산과 못이 극도로 화려하였다. 밤낮으로 태후와 놀고 희롱하여 아무런 두려움이나 꺼림이 없었다. 동주(洞州)에 절[祠]을 세워 이름을 성수사(星宿寺)라 하고, 또 궁성의 서북 모퉁이에 시왕사(十王寺)를 세웠는데, 그 그림의 형상이 기괴하여 형용하기 어려웠다. 몰래 딴 뜻을 품고 음조(陰助)를 구하여 모든 기명(器皿)에 그 뜻을 새겼다. 그 종(鐘)에 새기기를, “동국(東國)에 태어난 당세에는 태후와 같이 선종(善種)을 닦고, 서방(西方 극락세계)으로 가는 뒷날에는 태후와 함께 보리(菩提)를 증(證) 하리라." 하였다. 왕이 항상 이를 내쫓고자 하였으나, 어머니의 마음을 상하게 할까 두려워 감히 내쫓지 못하였다. 이때에 와서 태후가 아들을 낳으니, 이는 치양과 관계하여 낳은 아이였다. 태후는 치양과 모의하여 왕의 후사로 삼으려 하였으나, 대량군(大良君)을 꺼려서 강제로 그를 출가하게 하니 대량군이 이때 나이 12세였다. 후에 삼각산(三角山) 신혈사(神穴寺)에 거처하였는데, 태후가 몰래 사람을 보내어 해치려고 한 것이 여러 번이었다. 절의 늙은 중이 방 가운데를 파서 지하실을 만들어 대량군을 숨기고는 그 위에 침상을 놓아 예측할 수 없는 변고를 막았다.

○辛未,王,疾篤,召太子欽,屬以後事,俄而薨于重光殿,上諡元文,廟號顯宗,太子,卽位,居翼室,朝夕哀臨。
史臣崔冲,曰,傳稱天將興之,誰能廢之,千秋太后,自縱淫荒,潛圖傾奪,穆宗,知百姓之屬望,排千秋之惡黨,遠馳使命,以授神器,俾固本支,所謂天之將興,誰能廢之者,詎不信歟,然,以姨母貽孼,戎臣構逆,强隣伺釁,京闕俱燼,乘輿播遷,艱否極矣,反正之後,和戎結好,偃革修文,薄賦輕徭,登崇俊良,修政公平,內外底寧,農桑屢稔,可謂中興之主矣。
李齊賢曰,崔冲之言,世所謂命也,勾踐,嘗膽,雪恥會稽,小白,忘莒,遺患於齊,人君,恃有天命,縱欲敗度,雖得之,必失之,是故,君子,理思亂,安思危,愼終如始,以對天休,如顯宗,所謂吾無間然者乎。
甲戌,王,率群臣成服,百姓,玄冠素服。

-- 高麗史節要 卷之三  顯宗元文大王

신미일에 왕의 병환이 위독하자 태자 흠(欽)을 불러 뒷일을 부탁하고 조금 후에 중광전(重光殿)에서 훙하였다. 시호를 원문(元文)이라 올리고 묘호를 현종(顯宗)이라 하였다. 태자가 즉위하여 익실(翼室)에 거처하면서 아침 저녁으로 슬피 울었다.
사신(史臣) 최충(崔冲)이 말하기를, “옛글에 일컫기를, '하늘이 장차 일으키려 하면 누가 능히 그를 폐 하리오.' 라고 하였다. 천추태후(千秋太后) 가 음란하고 방종하여 몰래 나라를 위태롭게 하여 왕위를 빼앗으려 하였는데, 목종께서 백성들이 현종의 촉망함을 알아 천추태후의 악당(惡黨)을 배제하고 멀리 사자를 빨리 보내 맞아와 왕위를 전하여 왕실이 튼튼하도록 하였으니, 이른바 '하늘이 장차 일으키려 하면 누가 능히 그를 폐하리오.' 하는 말을 어찌 믿지 아니하랴. 그러나 이모(姨母 천추태후)가 끼친 화근으로 인하여 병권(兵權)을 가진 신하[戎臣 강조(康兆)를 가리킴]가 반역을 일으키고, 강한 인국(隣國 거란)이 틈을 엿보아 침범하여 서울의 궁궐이 모두 잿더미가 되어 임금이 파천하니 불행이 극도에 달하였다. 반정(反正)한 뒤에는 오랑캐와 화호를 맺고, 전쟁을 멈추고 문덕(文德)을 닦으며, 부세를 가볍게 하고 요역을 가볍게 하며, 준수한 인재를 등용하고 정사를 공평하게 하여 서울과 지방이 평안하고 농업과 잠업이 자주 풍년이 들었으니 나라를 중흥시킨 왕이라 이를 수 있다." 하였다.
이제현이 말하기를, “최중의 말은 세상에서 이른바 천명(天命)이다. 구천(句踐)은 쓸개를 씹어 회계산(會稽山)의 치욕을 씻었고,소백(小白)은 거(莒)의 고난(苦難)을 잊었기 때문에 화환(禍患)을 제(齊) 나라에 남기었다. 왕이 천명만 믿고 욕심을 방종히 부려 법도를 파괴하면 비록 나라를 얻었을지라도 반드시 잃고 마는 것이다. 이런 까닭으로 군자는 세상이 다스려질 때에 어지러워질까 생각하고 편안할 때에 위태로워질까 생각하여, 끝을 신중히 하기를 처음과 같이 하여 천명에 보답하니, 현종과 같은 이는 공자가 이른바 '나는 그에게 불만이 없다.'는 것이다." 하였다.
신라를 자신들의 뿌리로 여긴 여진족이 그들의 원류를 찾고자, 중국의 역대 사서와 서적에서 만주와 한반도에 관련된 자료를 모두 뽑아서 유목민의 관점에서 일일이 고증하여 수록한 책이다. 1,777년 청(淸)의 건륭제의 지시에 의해 43명의 학자가 참여하여 부족ㆍ강역ㆍ산천ㆍ국속(國俗) 등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총 20권으로 편찬된 책이기에 만주와 한반도를 아우르는 역사서이자 문화사적 서적이라 볼 수 있다.

만주원류고는 단재 신채호 선생이 비중 있게 인용한 뒤로 우리의 상고사와 고대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한번은 접하고 넘어가야 할 책이었다. 그리고 우리의 역사를 다른 각도로 보고자 하는 사람들이 즐겨 인용하는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은 두 가지 이유로 우리들의 주목을 받는다. 한민족과 같은 계열인 여진족의 청(淸)이 그들의 시각을 담아 고증하여 편찬했다는 점과 중국의 정통사서가 중국을 중심축으로 만주를 분절시켜 기술한 데 반해 만주가 중심이 되어 각 시대별로 사건 기사가 집대성되었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이동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 알라딘 중에서


본인 아직 이 책을 보지는 못했다. 원문으로는 몇 번 접해봤지만, 국역버젼은 그 동안 한국에 들어가지 못해서 접해보지는 못했다. 하지만....설명만으로 많은 것을 느끼게 하고 있고....개인적으로 좀 문제가 있는 해석이 아닌가 싶다.

만주원류고는 중국에서조차(서양학계도 그렇고) 자신들의 민족을 형성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허구의 역사서로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주를 강조한 것은 당시에 한족에게 점차 융화되어가는 만주족을 위해서였고, 이로서 탄생된 만주족은 단순히 여진족뿐만이 아니라, 몽고족,한족, 조선족등 다양한 민족을 아우르게 된다.

...머...그냥 간단하게 말해서...(모든 역사서가 그게그거 이지만) 아주 분명한 목적하에 작성된 글이라는 것이다. 관방사학의 극치라는 것이지. 그런데 이것이 (특히 환빠들의) 입맛에 맞는다고 좋다고 하는건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흔히 삼국지라고 알고 있는 역사소설인 삼국연의를 봐도 그렇고, 실제 삼국지나 기타 여러 정사를 보아도 그렇고, 동탁은 상당한 악역으로 등장을 해. 사실 그가 행한 것에는 과거의 관점으로 봐서 상당한 악행들이 있긴 있어. 대표적으로 마음대로 황제를 갈아치운건 정말 아름다운~ 행동이지. 그런데 말이야. 그냥 동탁이 나쁜넘이라고만 하기에는 좀 불쌍해서....사실 욕 먹은 것으로 따지면 영생을 구가해야될 듯 해서 조금 칭찬 좀 해줄려고~~~

诏除公卿以下子弟为郎,以补宦官之职,侍于殿上。
바로 : 조서를 내려, 공경이하의 자제를 낭으로 삼고, 환관의 자리를 대신하여, 전상에서 일하게 하였다.

권중달 : 조서를 내려 공경 이하 사람들의 자제들에게 벼슬을 주어 낭으로 삼아 환관의 자리를 메우고 전각의 위에서 모시는 일을 하게 하였다.

董卓率诸公上书,追理陈蕃、窦武及诸党人,悉复其爵位,遣使吊祠,擢用其子孙。
바로 : 동탁은 여러 공들을 이끌고 상서를 하여, 진번과 두무 및 여러 당인들을 조사하여, 그 작위를 복원하고, 사자를 보내 조문하고, 그 자손을 기용하게 하였다.

권중달 : 동탁이 여러 공들을 인솔하여 편지를 올리니 진번과 두무, 그리고 모든 당일들을 다시 조사해여 그들의 작위를 모두 회복시켜 주었으며, 사자를 보내서 사당에 조문하고 그들의 자손을 발탁하여서 기용하였다.

자치통감 권 59

-- 원래는 제 해석본(해석이라고 해도 그냥 막번역한거지만...)만 올릴까 했는데...권중달님 것을 보니...제가 상당히 대중적이지 못하게 대충 번역한거 같아서 같이 올립니다.

동한시대의 정치사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라고 본인에게 말한다면, "환관과 외척이 황제를 중심으로 박터져라 주구장창 싸운 이야기"라고 하고 싶다. 그리고 핵심 키워드를 잡는다면 당연히 "환관"과 "외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환관들의 전횡이 심하여, 사대부들의 계속된 요구는 환곤들을 처리하는 것이었다. 그 뿐만이 아니라 계속되는 정치투쟁 속에서 "당인"으로 올려져서 자신뿐만이 아니라 그 자손까지 관직에 오를 수 없게 된 사람들을 복원시키는 문제였다.

위의 사료로 동탁이 동한시대내내 사대부들이 원했던 환관척격과 당인 복원을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 동탁은 사대부들의 오랜 숙원을 풀어준 은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동탁은 시골 촌구석에서 올라온 뼈대도 없는 굴러먹던 개뼈다구여서 이런 사실들이 무시될 뿐이다. 우리 동탁도 잘한 짓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도록 하자^^;;;

사실 다른 하나가 더 있는데, 태후압박과 같은 일을 통해서 외척세력을 눌러버렸다. 물론 그것이야 자신의 권력을 위한 성향이 강했으니..물론 위의 사대부의 숙원을 풀어준 것도 굳이 말하면 자신의 권력을 위해서라고도 할 수 있겠다만......

그냥...동탁이 너무 가련해서 한번 써봤다. 여친 생기고...몇 일동안 글을 안 쓰기도 했고 말이야....사실 지금 중국 10대뉴스니, 중국 10대 유행어니 이것저것 적당히 쓸만한 것도 많은데 말이야. 레폿이나 하자.

중국 블로거의 재미있는 글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제목만 보고도 확 끌리는군요. 중국의 역대 왕조중에서 가장 높은 GDP을 기록한 왕조는 어디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이런 계산이 나왔을까요?  나름 재미있는 이야기 거리가 아닐까요? (전체 문장은 상당히 길어서 제가 마음대로 축약 의역 번역을 할 예정입니다. 그러니 중국어를 아시는 분은 원문 링크로 직접 가셔서 보시기를 바랍니다. 원문 : 富甲天下的大宋王朝)

중국에서는 보통 당나라를 가장 발달한 시기로 보고 있다. 실제로 당나라는 중국의 역대 왕조중에서 (청나라를 제외하면) 가장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었고,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부적으로 외부민족과 한민족이 서로 융합하여 문화적으로 가장 발달했던 때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경제상으로는 어디까지나 송나라가 가장 발달을 했다고 필자는 주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일단 송나라는 당나라의 다민족 융합의 유산을 고스란이 물려받아서 문화적으로도 강력하였을 뿐만이 아니라, 중국 역사상의 중대 발명의 반 이상이 송대에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서 중국의 4대 발명이라고 말해지는 것중에서 3개가 송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화약이나 나침판, 인쇄술, 종이돈, 방직혁명, 도기공업등등이 모두 송대에 이루어졌다. 물론 당대의 문화적융합과 기술적 융합의 유산을 완성시킨 것이지만, 그렇다고 송대를 무시해서는 안될 것이다.

무엇보다 필자는 송대의 GDP가 전 세계의 50%을 차지할 것도였다고 주장한다. 어떻게 계산을 하면 이렇게 나올 수 있을까?

주의 : 해당 수치는 어디까지나 원문의 필자가 자의적으로 만들어낸 수치에 가깝다. 정확한 수치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실제 당시의 수 많은 수치들이 신빙성이 없다는 것이 통설에 가깝기도 하며, 해당 필자가 선택한 세율이나 비율등등도 상당히 자의적인 경향이 있다. 그러니 이것을 하나의 정설로 보지는 말고 단지 하나의 썰~로 생각해주셨으면 한다. 중국에서는 당대를 높이 사고, 송나라를 무시하는 기본 여론이 있는데 반하여, 서양학계에서는 송나라를 더 높게 보는 경향이 많고, 본인이 추측하기로 원문의 필자는 서양학계쪽의 학설을 많이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나저나 저 수치들이 어떻게 계산되어나왔는지는 구체적인 말을 안해서 본인도 모르겠다.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면 출처을 좀 알려주셨으면 한다. 본인의 예상으로는 아마도 사료의 수치를 고증한 "서양쪽 아날학파"계열의 논문쪽에서 나온것이 아닐까....도 생각만 해본다;; 아닐려나;;;

북송의 년간 세수는 1억600만관이었다. 1량황금이 10량백은이고, 10량 백은은 10관이다. 고로 1관은 5KG인 것이다. 현재 1KG의 황금이 19달러이니, 지금으로 계산을 하면 약 151억달러가 된다. 또한 당시의 세율은 대략 1/15였고, 농민들의 상업진출이 비교적 자유로웠다(호구제가 없었고, 기본 세금에 추가되는 세금도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전체 GDP는 대략 152 x 15 = 2280억 달러정도이다. 당시 북송의 인구는 대략 1억으로 추정되고 있으니, 한사람당 약 2280달러의 소득을 올리고 잇었다고 환산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일반적인 중국인들의 관념에서 송나라는 매우 약한 나라였다. 북방민족의 힘이 강성해져서 실제 국토면적도 그리 넓지 않았고, 심심하면 거란(요나라)니 여진(금나라)니 해서 죽어라 패배하니까 말이다. 그런데 이런 좁은 국토와 약한 군사력에서 가장 GDP가 높았던 것이다.

실제로 명대의 매년 세수는 백은 1500만량정도였다. 대략적으로 1량백은이 1관동전과 같다고 하였을 때, 명조의 제수는 북송의 1/10이고, 남송의 1/6에 불과하다. 이미 남송이 멸망한지 30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오히려 더 낮은 세수를 보이고 있다. 청대의 세수는 약 3000-4000정도(咸丰年间)정도였다. 역시 송나라에 비하면 매우 작은 수준이다. 문제는 당시의 인구가 이미 3억정도여서 송대에 비하여 2~3배가 많았다는 점이다.

이렇게 세수가 많다는 것은 백성들에게서 다량의 세금을 긁어모은다는 것이고, 백성의 생활이 힘들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면 당연하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송나라는 전국적인 농민봉기가 일어나지 않은 왕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당시 시대상황이 외부세력을 방어하기 위해서 뭉치자는 여론분위기가 조성되었던 이유도 있지만, 과연 그것 뿐일까?

필자는 이 이유를 공업과 상업의 발달로 돌리고 있다. 이에 대한 이야기는 굳이 번역할 필요가 없을 것이고, 단지 필자가 이러한 형태가 계속 진행이 되었다면 영국의 공업혁명에 비견되는 일도 벌어질 수 있었으리라 생각하면 안타깝게 여기고 있다. 그럼 이렇게 강력했던 송나라의 경제는 어떤 이유로 무너진 것일까? 그리고 무너진 이후 몇 백년동안 다시 회복하기가 어려웠던 것일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바로 전쟁이다. 금나라가 흥했을 때(1207년)에는 인구가 768만명이었는데, 원나라가 금을 명말시켰을 때(1235년)에는 87만명만 이었다. 딸랑 28년이라는 시작동안 89%가 줄어든 것이다. 남송가정 16년(1223)에는 1267만명이었는데, 원나라가 송을 명말시킬 때에는 937만명으로 역시 26%가 줄어들었다. 또한 전쟁은 인구를 줄일 뿐만이 아니라, 산업설비들도 처참하게 파괴되기 마련이고, 기존의 경제 시스템(특히 신용이라는 부분)이 처참하게 망가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한국은 어떠할까? 이건 한국사 연구하시는 분이 한번 해보시기를 바란다. 본인은 어디까지나 북방유목민족사다. ...음하하하;;;; 개인적으로는 고려초중반이나....조선세종때가 가장 화려하지 않았을까 막연히 추측해본다.


바로의 중얼중얼 :
개인적으로 위와 같은 이유 외에도, 송나라 시대는 개방적인 무역을 하던 시대라는 점을 꼽고 싶다. 비록 당대와 같이 직접 서역(신장일대)을 지배하지는 못했지만, 당대에 확고해진 무역노선을 따라서 수 많은 소그드인 및 아랍인들이 중국으로 몰려와서 무역을 하였고, 장보고라는 한국 역사의 해상무역의 상징이라고 불리는 인물이 바로 중국의 송나라 시대에 생겨났다는 점도 충분히 생각해볼 점 당대에 장보고라는 한국의 해상무역의 인물이 개척한 항로가 실질적으로 중국 송나라 시기에 고려관등으로 그 상징성이 부각된 점은 생각해 볼 만 합니다. (추가 : 장보고의 활동 시대는 물론 중국의 당나라입니다. 한국으로 따지면 신라시대입니다. 당대의 유산을 넘겨받았다는 의미였고, 실제 장보고의 활동 자체와 상징성이 생겨나는 시기는 조금 다릅니다. 하지만 위의 사항을 정확하게 서술하지 못하여 잘못 이해되게 한 점은 어디까지나 저의 잘못입니다. 죄송합니다. - 위의 문장을 오해가 없이 고친다면 "장보고라는 한국 역사의 해상무역의 상징이라고 불리는 인물이 바로 중국 송나라 시대에 제대로 떠올랐다."라고 할 수 있....음..이것도 중의적일수 있겠군요. 냉정하게 말해서, 장보고라는 대표적인 인물을 어떻게든 송나라 시대와 연결시키려다보니 원래 문장자체가 억지로 상징성의 계승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임팩트가 약해서 적당히 뭉갠다는 것이 아름답게 되어버린거 같습니다. 그따위니 "한국 역사의 해상무역의 상징"따위의 이상한 구절이 등장해버립니다. "당대에 장보고라는 한국의 해상무역의 인물이 개척한 항로가 실질적으로 중국 송나라 시기에 고려관등으로 그 상징성이 부각된 점"라고 하면 좀 괜찮을지도 모르겠군요. 긴 변명일 뿐이군요. 제대로 서술하지 못한 것은 분명히  저의 책임이고 잘못입니다.  다시 한 번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꾸벅-- 원문은 저의 잘못을 잊지 않기 위해서 취소선만 그어놓고 계속 남겨놓도록 하겠습니다. )

개방은 분명히 필요하다. 한국은 경제적으로는 (혹자는 지나칠 정도라고 말할 정도로) 개방을 하고 있다. 하지만 본인이 지적하고 싶은 것은 과연 정신적으로 얼마나 개방이 되었냐는 것이다. 실제 송대의 경제번영은 당대의 민족대융합의 유산을 이어받은 것이다. 자신과 다름을 인정하고 그 인정 속에서 서로 웃으면서 살아갈 수 있는 배경이 있기에 활발한 국제무역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현재 한국인구의 10%가 국제가정이라고 한다. 이미 한국인만의 가정이 아닌 다국적가정이 한국에서도 상당히 많이 생겨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언제까지나 단일민족이라는 이미 처참하게 박살한 허망한 신화를 붙잡고 살아갈 것인가? 이제야 말로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정신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다.


"무슨 소린가?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존중받아야 하는 것이다. 타인을 위해 자신의 목숨도 포기하지 않았는가! 상식이 있는 인간 장수였다면 비록 적이라도 그들을 수습하여 장례도 치러줬을 것이다. 제기랄. 이런 걸 일일이 설명해야 하나. 제아무리 오래 살았다 해도 천생 짐승이란 말인가?"

"너희들의 빈곤한 정신이 만들어낸 그 혼란스럽고 자기파멸적인 논리 말이군. 너희들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를 만들지. 너희들을 보호해야 하므로 국가는 강하고 위대해야 하지. 그런 국가에 비하면 너희들은 약하고 초라하지. 그래서 너희들은 국가를 위해 죽지. 보모를 사형집행자로 바꾸는 그 묘기에 내가 경탄해야 하나?"

"보모는 사형집행자가 된 것이 아니야. 내가 된 것이다! 나는 단수가 아니야!"

드래곤 레이디는 입을 닫았습니다. 말도 하기 싫은 것 같았어요.

"우리는 자신을 만지지도, 보지도 못할 것들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던진 이들 덕분에 살고 있다. 그리고 그 때문에 그들은 지금도 살아있다. 우리라는 이름으로 바뀌어서. 그들은 자신을 초라한 것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자신을 확장시키고 더 위대한 것으로 만든 것이다!"

아일페사스는 신경질적으로 팔을 뻗었습니다.

-- 이영도의 "그림자 자국" 중에서...


감기와 몸살로 육체적으로 피곤하고, 잡담으로 올린 글에 덧글이 주르륵 달려서 정신적으로도 피곤한 와중에 문득 생각난 문장이다. 이에 대한 가치판단은 상당히 많은 생각이 밀려와서 무엇이라고 말하기 힘들다.

하지만....본인도 아일페사스처럼 신경질적으로 글을 쓰고 있다는 점은 같을 듯 하다.. 물론 이유는 좀 다른듯 하지만....라고 하면서 마구 갈겨본다.

하하하....젠장.........확장이라고? 타인을 위한 희생이라고? 그래. 자원의 고갈의 가장 쉬운 수단인 인류의 인구를 줄이기 위해서 전쟁을 일으키는 것에 대해서도 우리는 박수를 보내야할 것이다. 민간인은 상관없다고? 왜? 국가는 이미 당신이지 않은가? 당신의 일부가 피를 흘려서 다른 일부가 행복한 것이다. 쿡...

물론 인간이라는 생명체의 가장 기본적인 자기보존욕구를 벗어던진건 대단하지. 그런데 그것을 모든 인류에게 적용시킬 수는 없나? 아~~ 맞다. 적용시켜도 그 방법이 엉터리일 수도 있구나. 위에서 언급한 대로 인류의 자원고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류를 대량 학살할 수도 있고 말야. 쿡쿡...

....................이상. 제 정신이 아닌 상태에서의 헛소리였다. 휴...

真明行님이 재미있는 글을 올리셨더군요. 김구가 어떻게 테러리스트라며 뉴라이트를 공격하고 있습니다만 문제가 있군요. 김구는 당연히 테러리스트이기도 하며, 이 점을 분명히 밝히고 사람들의 이성적인 판단을 생각해야될 듯 합니다. (물론 다른분이 덧글로 비슷한 지적을 했고, 그에 대한 대답으로 풍자라고 하셨지만...으음...이 문제가 단순히 풍자로 끝나야되는 문제인지에 대해서는 심히 의구심이 드는군요.)

민족주의적으로 보았을 때에, 현재 대한민국의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는 김구은 당연히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민족독립을 위해서 노력한 위대한 인물입니다. 하지만 똑같은 위대한 민족독립의 영웅이라고 하는 간디와 비교해 보면 김구의 방법론은 분명히 "요인 암살"등을 통한 적극적인 독립기획이었습니다.

이는 일본의 입장에서는 분명히 테러라고 말할 수 있는 일입니다. 당시 조선은 힘이 없으니까 어쩔 수 없다고요? 탈레반도 그렇습니다. 당시 조선은 정식으로 일본과 전쟁을 하고 있었고, 요인 암살 행위는 테러가 아닌 전쟁행위라고요? 탈레반도 그렇습니다. 왠지 거부감이 팍팍 오지 않습니까? 하지만 사실은 오히려 김구의 행동과 탈레반과의 차이점이 별로 없습니다.(물론 국제정세나 시대상황 및 기타 제반사항이 다름으로 인한 차이점은 분명히 있습니다. 제가 말하는 것은 그 방법론)


여기서 인도할 수 있는 의문은 :
1- 민족독립이라는 이름으로 폭력행위를 정당화 할 수 있느냐? 정당화 한다면 우리는 티벳을 지지하는 것만큼이나 탈레반과 신장위구르를 지지해야될 것이다. 정당화되지 못 한다면 김구의 방법론에 대한 반성이 필요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당연히 반성이 있어야될 것으로 본다. 이상론이라고? 분명히 그렇다. 본인 진정한 세계 사회주의를 꿈꾸니까 말이다. 물론 이것이 단지 이상향이고 이상일 뿐이라는 것도 인식하고는 있다. (그래서 한숨이 나오지만 말이다-_-;;)

2- 한국에서는 한국만의 역사만을 서술해야되는가? 김구를 한국만이 아닌 일본, 그리고 세계적인 눈으로 보아야될 때도 있다. 하지만 한국이라는 국가체계의 유지를 위해서라면 그를 민족독립의 영웅으로 생각해야된다. 웃기는 것은 국가체계중에서 지배계층의 이력은 대부분이 민족독립이 아닌 일제시대에 김구와 반대적인 위치에 있었던 사람이기에 김구를 깍아 내리려 한다. 위의 질문은 사실 두가지 함의를 가지고 있고 한가지로 통한다. "어차피 인간은 자신의 입장에 따라서 전혀 다른 역사 서술을 할 수 밖에 없나? 이 다른 입장의 주장을 융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3- 동아시아 역사는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혹은 균형잡힌 세계 역사는 가능한가? 사실 이 질문은 2번 질문의 또 다른 반복이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한중일 모두가 강력한 국사체계를 가지고 있고, 각자의 공고한 역사관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통합교과서 같은 일이 가능할 것인가? 하다 못해서 한국 내부에서도 서로 다른 역사관으로 (개인적으로 역사관이 아니고 그 분들이 하는것은 역사라고 하기도 머한 찌질이짓이지만...일단-_) 싸우고 있는데 말이다. 흐음...

어차피 모든 관점이 상대적이라는 것은 뻔한 이치입니다. 우리는 이런 논란을 통해서 김구가 테러리스트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논하기 보다는, 서로 다른 가치관을 살펴보고 현재 세계에 대해서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되는군요.


1) 혹시 절 뉴라이트라고 할 사람은 없겠지요? 전 극단적이라고 할 수 있는 탈민족주의 탈국가주의자이랍니다. 뉴라이트와 기본 베이스가 좀 많이 다르다고 생각되는군요.

2) 저 개인적으로는 김구선생님을 존경합니다.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당시 시대상황에서 자신의 한계 내에서 최대한의 노력을 했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것은 개인적인 감상일뿐, 역사적인 평가는 그것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될 것으로 생각되며, 김구선생님의 공격적인 성향은 당시 시대에서는 어쩔 수 없었겠지만, 간디와 같은 평화주의적 방식이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추가 :
혼자사 잡담형식으로 한 것인데 의외로 덧글이 많이 달려버렸군요. 저 혼자의 잡담이어서 뛰어넘은 지점들을 종합적으로 추가사항에 정리를 하고, 그 다음에 각각 분들의 덧글에 대답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1) 테러리즘의 정의문제
테러리즘(Terrorism, 문화어: 테로)은 일반적으로 정치, 종교, 사상적 목적을 위해 폭력적 방법의 수단을 통해 민간인이나 비무장의 개인, 단체, 국가를 상대로 사망 혹은 신체적 상해를 입히는 행위를 함으로서 이들에게 공포심을 불러일으켜 어떤 행동을 강요하거나 혹은 어떤 행동을 중단하게끔 강요하는 행위이다. 이런 테러행위를 하는 이들은 자신들이 믿는 이념의 큰 뜻을 이루기 위해 민간인이나 관련되지 않은 사람들의 희생이 어쩔 수 없다는 가치 판단을 내리며 그 자신 혹은 자신들의 동조자들의 생명또한 희생되어도 좋다고 생각한다. 또한 요인의 암살과 같은 폭력적 행위로 인한 직접적 효과 보다 이로 말미암아 발생되는 대중의 공포심을 더 큰 효과로 보며 이러한 효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자 한다.(위키백과)

악트님도 밝혔다 싶이 " 프랑스레지스탕스, 한국독립군과 같은 전쟁시의 민간 혹은 조직적 저항단체에 의한 침략군에 대한 무력저항운동의 경우 이러한 테러리즘의 범주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크다."라고 할 수 있다. 악트님은 이에 대한 반박으로서 프랑스의 레지스탕스를 테러리스트라고 안하니 김구와 같은 광복군도 테러리스트가 아니라는 이유로 반박을 하시는데, 이는 논리적 오류로 보인다.

테러리즘의 정의 문제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일방만이 전쟁이라고 인식하고 전쟁을 수행하는 반면, 다른 일방은 해당 사건이 전쟁이 아닌 행위라고 판단한다는 점이다. 민간인의 희생은 전쟁수행시에도 충분히 발생하는 결과이다. 단지 현대사회로 올 수록 민간인의 비율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을 뿐이라는게 보다 사실에 가까운 말이라 생각된다. 직접적으로 이야기 해서 일본은 당시 한국과의 독립군을 정식 군대로 인정하지 않았으므로, 마치 독일이 프랑스의 레지스탕스를 독일이 정식 군대로 인정하지 않은 것 처럼, 테러리즘으로 정의될 수 있는 문제가 언제나 상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같은 연장선상에서, 본인이 익숙한, 신장의 이야기를 거론하면, 실제로 신장은 중국에 의하여 탈레반과도 연결이 되어있다고 한다. 그리고 신장은 한국에는 잘 안 알려져 있지만, 흔히 말하는 요인암살을 시행하고 있고, 그 와중에 민간이 피해자도 일정정도 나오고 있다. 이미 신장의 독립운동가들은 지금의 상황을 전쟁상태로 인식하고 행동하고 있지만, 중국의 입장에서는 전쟁 상태가 아닌 잘해봐야 지방소요일 뿐이고, 이로 인하여 테러리즘으로 정의될 공간이 있다는 점이다.

고로, 김구의 행동이 방어적이냐 아니냐? 혹은 요인암살이냐 아니면 민간인 대상이냐를 떠나서 테러리즘으로 정의될 공간이 있는 것이다.


2) 어디까지가 무고한 "일반인"인가?
아래 어느 분의 덧글에도 보이듯이, 탈레반은 악독한 테러리즘이고, 김구의 행동은 위대한 민족독립운동이라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폭력의 방향이 "무고한 민간인"이냐 아니냐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다.

1- 테러리즘이나 전쟁이나 그 본질은 인간에 대한 폭력이다. 그리고 테러리즘이 폭력의 방향이 요인암살이든 민간인이든간에 폭력이라는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폭력에 대한 폭력적인 대응의 고리일 뿐이다. 민족독립운동이라는 포장지로 말하지만, 그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폭력이다. 물론 일제시대의 침략행동도 어디까지나 폭력행위이다.

그리고 사람들이 흔히 저지리는 실수가 개인 연쇄살인범의 폭력과 전쟁행위에서의 군인의 폭력을 동일시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 둘이 폭력행위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단지 국가나 일정한 공동체가 해당 폭력행위을 적법성 혹은 적합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의" "민족" "국가" 등으로 포장할 뿐이다.

우리는 분명히 폭력이라는 것에 대해서 "나쁜 일"이라고 분명히 배웠다. 하지만 정작 전쟁이라는 거대한 폭력행위에 대해서는 흔히 "국가" 혹은 "공동체"를 위하여라는 말로서 "나쁜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거 자체가 코메디 아닌가?


2- 과연 무고한 일반인이 있을까?
무고한 일반인이라는 것이 있을까? (본인은 분명히 모든 폭력행동을 반대한다라는 점을 다시 한번 기억하기 바란다) 탈레반이 악독한 이유는 무고한 일반일을 죽였기 때문이라는 분들이 계신다. 본인 이에 대해서 상당한 의문과 고민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과연 무고한가?

그들은 미국이라는 국적을 가지고, 미국의 세계에 대한 폭력을 암묵적인 동의 혹은 적극적인 동의로 묵과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로 인하여 얻어진 이익물을 많던 적던 향유받고 있었다. 과연 무고한가? 물론 이것은 본인도 판단을 내리지 못하는 부분이다. 또한 요인암살은 당연히 허락되는데, 요인은 공인이라는 이유로 죽어야만 하는가? 예를 들어서 이등박문은 당시 민족운동가그룹에 있어서는 죽여야 되는 요인중에 하나였다. 하지만 일본의 입장에서는 민족의 부흥을 이끈 영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등박문은 스스로의 이상을 위해서 열심히 일한 것 뿐인데, 그를 죽이는 것은 당연한 것일까? 위에서 말했다 싶이 이에 대해서는 본인도 완벽히 정의하기 힘들다. 하지만 쉽게 "무고한 사람의 희생"을 운운하는 것도 아니라고 본다.


3) 그러니까 본인이 말하고 싶었던것은 -_-
당시에 모든 사람이 독립운동을 했던 것은 아니다. 독립운동을 하는 사람도 있었고, 일본제국에 충성하는 사람도 있었고, 그리고 침묵하고 있었던 사람들이 있었다. 현재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구성되었고, 그 국사체계에서는 자국에 대한 정당성의 부여를 위해서 독립운동을 하던 사람을 부각시키고 영웅으로 만들고, 당시에 일본제국에 충성하던 사람들을 친일파로 정의하고 규탄을 하는데(머..그렇다고 제대로 정리작업을 하는 것도 아니지만...), 이는 국가적인 입장에서보면 당연한 행동이다.

문제는 국가라는 차원을 떠나서 생각할 수는 없느냐라는 의문이다. 본인이 원래글이나 추가 글에서도 계속 제기하는 의문과 고민은 바로 그것이다. 현재의 국가체계를 넘어서는 역사서술체계를 만들 수 있을까?


4) 그래서 뉴라이트가 잘했다고?
사실 그들에 대한 판단은 아예 하고 싶지 않다.하지만 그것 자체도 하나의 역사관이라고 "가정"하고 생각해보면, 그들의 역사관은 국사체계에 합리적인 역사체계도 아니고, 그렇다고 국사체계를 뛰어넘으려는 역사체계도 아니고....단순히 자신의 입장을 합리화 하기 위한 생각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역사관이 각자의 동등한 가치가 있겠지만....기본적인 논리구조가 모순된 이 생각을 역사관이라고 가정해야되는지자체가 의문이다.


5) 왜 김구 선생님이라고 하지 않는가?!
본문글을 잘 보면 아래쪽에 개인적인 감상을 밝힐 때에는 "김구 선생님"이라고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선생님"의 칭호자체가 개인적인 감상이 포함되는 일이기에, 역사에 관한 내용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쓸 때에는 해당 용어를 빼려고 노력한다.

여기서도 본문에서 말하고 싶었던 문제가 조금 나오는데, 예를 들어서 중국에서는 모택동 주석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하고는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그냥 모택동이라고 말한다. 서로 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이런 칭호의 차이가 나오는 것이다. 본인은 어떻게 하면 이런 칭호들 사이에서의 차이점을 최대한 융합 시킬 수 있느냐라는 의문으로 본문을 쓴 것인데, 자꾸 화제가 "김구가 테러리스트냐? 아니냐로 간다-_"


감기 걸려서 헤롱헤롱하면서 추가사항을 완성하니 쓰러질 거 같군요....지금 위에다가도 머라고 썼는지 제대로 기억이 안나고 있습니다. ㅠㅠ덧글에 대한 각각의 대답은 나중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흑...ㅠㅠ (혹자는 저보고 파워블로거면서 왜 그렇게 사람들의 덧글을 보면 무조건 대답을 하냐고 하는데-_-;; 전 일단 파워블로거도 아니고, 원래 블로그의 목적이 제 잡상을 저장해두는 것과 다른 생각과 "소통"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머..요즘 소통은 좀 다른 의미이긴 하지만...)

추가 2 :
헤롱헤롱하면서 굳이 답글을 다 달아버렸군요. 후..ㅠㅠ
그런데 트랙백 온것에 대해서는 제가 중국에 있어서 RSS로는 긁어서 봤습니다만....정작 트랙백주소를 알 수가 없군요. 하하하;;; 삐질;;;; 괜찮으시면 덧글로 트랙백 주소 좀 남겨주실 수 없을지.ㅠㅠ


본 글은 윤휘탁(한경대학교 교양학부 교수)의 "‘以古爲今’:중국의 민족문제와 중화민족 국가관"; 동북아역사논총 21호을 보고서 적은 간단한 잡상이다. 해당 글은 동북아시아역사 재단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해당 글의 전체적인 맥락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바이다. 실제로 중국의 역사교육과 역사연구의 큰 방향은 해당 논문에서 지적한 곳으로 흘러가고 있다. 특히 교과서 부분은 이미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지적해오고 있는 부분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런 점도 충분히 고려가 되어야되야된다고 본다. 실제로 많은 역사학자들이 정부에서 말하는 연구 방향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상당한 강도로 비판을 하고 있다는 것이 다. 단지 대부분의 학자들이 "외국 학자"들 앞에서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 뿐이다. 실제로 국내학자들만이 모이는 자리에서는 중국정부에서 말하는 역사관을 비판하는 모습을 자주 보고는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하더라도 중국정부의 이러한 방향설정에 대해서는 충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다원일체의 중화민족’과‘통일적 다민족 국가’ 인 중국은 불가분의 유기적 관계라든지, 애국주의가 중화민족 정신의 핵심이라는말속에서는,‘ 민족=조국’을혼연일체로인식하여조국인중국을 사랑해야 한다느니, 혹은 다원일체가 된 중화민족은 일치단결하여 통일적 다민족 국가인 중국의 발전에 매진해야 한다느니 하는 국가 이데올로기 차원의 강렬한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거기에서는‘민족’·‘조국’·‘변강(즉 영토)’이 일체로 파악되고 있고, 민족관념5)과 국가관념(혹은 애국심)·영토관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셈이다.

- "‘以古爲今’:중국의 민족문제와 중화민족 국가관" 중에서...

본문의 글에 대해서 본인도 분명히 동의한다. 문제는 해당 문제가 과연 중국에만 있느냐는 것이다. 단어 몇개만 바꾸면 한국에서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문제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 윤휘탁교수님의 구체적인 언급이 없어서 무엇이라 하기는 힘들다. 단지 단순히 중국의 역사관을 살펴보는 것 뿐만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서 한국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더 좋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이런 말을 하면 왠지 이상해 보이지만, 지금의 한국의 현실적인 상황은 중국의 역사관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국가가 나서서 역사의 방향을 정한다던가 국가에 대한 강조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본인이 알기로 현재 한국의 다문화 가정은 전체의 10%에 다다르고 있다. 주위의 10명중에 한명이 외국인과 결혼을 하거나 연관이 되어있는 형편인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존의 한국이 유지해오던 단일민족이니 순수민족이니 하는 관념은 파괴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민족 국가개념으로 재편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고구려 고분벽화에는 관모에서 신발에 이르기까지 북방민족들의 의복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고구려는 건국 때부터 중국과 접촉했으면서도 의복의 재료에서부터 형제들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것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고구려가 북방민족이나 중국과는 다른 고유한 문화를 굳게 지키고 있었다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우리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나타나는 이 고유한 복식문화의 요소들을, 단순히 고구려의 문화권이라는 차원을 넘어 고구려가 줄곧 추구하고 실현하고자 했던 고조선으로부터 이어진 한민족의 의식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옷차림문화 -중국 및 북방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선희(숭실대)


1) 처음 보고서 환빠인줄 알았는데, 나름 정식 논문이었다. 최소한 환빠처럼 고구려 대륙경영설을 주장하지는 않는구나. 기뻐해야되나? 

2) 고조선으로부터 이어진 한민족 의식이라는 것을 증명하려면, 기본적으로 고조선의 의복에 대한 고증과 고구려 의복간의 비교가 있어야되는 것이 아닌가? 그것 없이 무조건 고조선으로부터 이어진 한민족 의식이라니....

3) 본인 복식사에 대해서 잘 모른다. 하지만 샤마니즘쪽으로 공부하다 보니 몇 가지는 알고 있는 지식이 있다. 깃털달린 모자(羽帽)와 같은 경우, 너무나 분명한 북방계열의 샤마니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근데 이건 왜 논문에서 고증을 하지 않는가? 유리한 것만 쓰고, 불리한 내용은 무시하는 것인가?


본인 중국에서 공부하다보니 한국의 역사계에 대해서 무지하다. 하지만 박선희씨는 숭실대의 교수라고 알고 있다. 교수님. 사학을 공부하고 있는 사학도로서 솔직히 말합니다. 이건 좀 심하신 것 아니십니까?

그리고 인접해 있는 문화는 서로간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서로간에 영향을 받으면서 서로가 점차 변해가는 것이다. 하다못해서 한족중심 사상의 중국에서도 북방민족의 의복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당연히 이야기하는데, 대체 박선희씨는 무슨 깡인지 모르겠다. 모르겠다. 본인 의복쪽에 무지 약하고, 별로 관심도 없는지라 더 이상 이야기를 하기는 힘드나...거..참;;;

眞明行님의 중국인 양계초가 바라본 한일합방의 원인을 보고 간단하게 트랙백 합니다.

양계초의 조선망국 원인론은 대단히 뼈아픈 지적이 많은데, 황제를 비롯 지배계층의 무능과 타락은 물론이고, 특히 관심을 끄는 부분은 국민성에 대한 분석이다.「일본조선병탄기」에서는 청일전쟁 직후의 상황을 소개하면서 조선인은 자립하지 못하고 남에게 의지하는 천성을 가지고 있고, 조선인 중에서 소위 유신파는 경쟁적으로 일본군을 받아들였다고 서술하였다.
 
나아가 그는 전 세계에서 개인주의가 가장 발달한 나라는 조선이 으뜸이라고 규정하였다. 조선인은 남 얘기 하기를 좋아하고 두 세 사람만 만나면 종일 끊임없이 이야기하는데, 조선인의 성격을 좀 아는 어떤 이는 그들이 말하는 것 중에 진심에서 나온 것은 하나도 없다고 한다는 것이다. 또한 조선인은 화를 잘 내고 일 벌이기를 좋아하고 장래에 대한 관념이 매우 박약하다고 보았다.

관리들도 마찬가지여서 오늘 관리가 되어 권세가 있으면 내일은 나라가 망한다 해도 아무런 대책이 없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일본이 통감부를 설치한 이후에 다른나라 사람들은 모두 조선의 운명이 경각에 달려있음을 아는데 정작 조선인들은 아는지 모르는지 판단하기 여럽다는 것이다. 이번 합병조약 발표를 둘러싸고 주변국 사람들은 그들을 위해 눈물을 참지 못하는데 조선인들은 흥겨워하며 고위관리들은 날마다 새로운 시대의 영광스러운 지위를 얻고자 분주하고 기뻐하기만 하였다고 보았다.

--- 중국인 양계초가 바라본 한일합방의 원인 중에서...


개인적으로 眞明行이 실수하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해당 내용을 어떻게 받아들일까보다 왜 양계초가 해당 글을 작성하였는지에 대한 당시 중국 배경에 대한 고려부터가 우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양계초는 한국의 한일합방을 빗대어서 당시 중국인들에게 경고를 하고 싶었던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양계초는 한국인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야기입니다. 양계초는 한일합방의 원인에 대해서 논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당시 중국인들의 모습을 투영해서 이에 대해서 경고를 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眞明行님의 글 자체가 틀렸다는 것이 아닙니다. 분명히 해당 이야기를 고려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하지만 양계초의 글을 인용하면서 그 배경에 대한 서술이나 고증을 하지 않은 것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저 개인적으로는 "민족"이라는 단위로 분리를 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합니다. 민족성이라는 것 자체를 상당히 부정하는 입장입니다. 민족성은 마치 고정불변의 것처럼 보이며, 과거에도 우리는 이랬으니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라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중요한 것은 민족이 아닌 해당 사회의 시스템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제가 말하는 사회시스템이 아직도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공감하는 바입니다. 이 부분이야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문제이니 넘어가겠습니다.


이 글은 朱永生等《中国13个民族7个Y-STR基因座遗传关系的研究》,《人类学学报》2008年第4期을 보고서 떠오른 생각을 정리한 것입니다. 저 자신은 인류학전공이 아니지만, 민족사라는 전공덕분에 공부를 해야됩니다. 다시 말해서 인류학 전공이 아닌 역사학 전공으로서 해당 글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직접적으로 이야기하면, 비전공자의 망상이랍니다^^::;

일단 Y-STR이 무엇인지 저도 잘 모릅니다. 이런 연구논문의 결론만 생각하면 된다고요!!! 어찌되었든 해당 유전자 요소를 통해서 분석을 하면 여러 민족간의 상관관계(혈연적으로 가까운 관계)을 규명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온 결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해당 논문은 이런 결론을 내립니다. 닝샤(宁夏)의 회족(回族)는 한족과 유전구조상으로 매우 유사하다. 이는 회족의 기원과 발전 과정중에 한족이 대량으로 유입된 유전학상의 증거이다. 그 외에도 티벳인(藏族)도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위와 같은 결론이 바로 "중국" 혹은 "한족"이 지금까지 계속적으로 확장되어오는 중요한 이유가 아닐까요? 왜냐하면 위의 결론은 어디까지나 한족을 기점으로 다른 소수민족을 말하고 있습니다. "한족의 기원과 발전 과정 중에 회족이 대량으로 유입된 유전학상의 증거"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상당히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문장이 됩니다.

해당 논문의 결론은 회족이 점차 한족에게 흡수되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 반면에 제가 든 결론은 한족의 순수성을 직접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지금의 한족은 단지 허상일뿐 실제로는 여러 민족이 융합되어서 만들어진 산물에 불과하다라는 추론도 충분히 가능하게 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한족은 변화하지 않고, "기준점"으로서 남아 있는데 반하여 타민족은 한족에 흡수되는 것으로 서술됩니다. 이것에 대한 이런저런 가치적판단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런것을 건너뛰고 이야기 하자면...이럼으로서 "한족"이라는 이름은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도 생각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민족도 동일합니다. 수 많은 외부유입 민족을 싹 무시하고, 이미 학계에서는 처절하게 파괴된 "단일민족"이라는 신화를 상식처럼 알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국 민족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는 : 좋게 말하면 "자기중심주의"이고 나쁘게 말하면 "배타주의" 혹은 "타민족 배척"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바로 : 중국 개념에서 흉노던지 투르크던지...모든 것이 중국 북쪽의 촌동네 사람들이었고, 몇몇은 내려와서 중국을 형성했다는 어디까지나 자기 기준속에서의 개념이니-0-

貞 : ㅎㅎㅎㅎ

바로 :
북쪽 황무지에 싸움 존나 잘하는 때국물 질질 흘리는 녀석이 있었는데, 우리가 델꼬와서 잘 딱이고 가르쳐서 인간 만들었다-_- 대충 이정도?!

貞 : 적나라해. 그런데 논리가 언제나 그런 식이더군


물론 모든 중국계열 사학자가 이러하지는 않다. 바로 전 글이지만 [중국유학/바로 북경대] - 로우신 지도교수님은.... 어찌보면 본인보다 심하니까 말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경향은 위와 같이 가는 것으로 느껴진다. 한국에서도 북방민족을 어떻게든 동이족과 연결시켜서 싸바싸바하려고 하고 있긴 하다. 북방민족 그냥 놔두어주셔요. 님들아. 북방민족들이 뿔났어요~~~!!




북경대학교 역사과에 올라온 글 때문에 이런 생각이 들었다. 역사연구는....아니! 모든 학문 연구는 타인의 피를 먹고 산다. 누구보다 피와 멀어보이는 학문쪽에서 무슨 넘의 피냐고?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폐해를 지적하는 것이냐고? 아니다.

본인 고대사를 공부한다. 그리고 현재 논문 주제를 찾아다니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한탄을 한다. "아! 진짜 왜이리 자료가 없어, 좀 서로 죽이고 그러라고!" "전쟁이 왜이리 없어. 더 있을터인데 거참...!" 냉정하게 돌아보면 상당히 무서운 말이다.

전쟁이 더 많이 일어나기를 바라고, 서로 암살을 하고 격투를 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서, 그 시대에서 괴로웠던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무시하고 있다. 그런 내용을 연구하기가 힘들다고? 어차피 과거인데 뭐가 어떠냐고?
 
이는 블로그도 그러하다. 대부분의 뉴스는 누군가의 피눈물이 묻어있다. 대부분의 블로그에 올라오는 글들은 개인의 일상이다. 그런데 그 중에서 관심이 주목되는 것은 보통 "누가 어떤일을 당했다느니..." "쌀직불금을 못 받은 농민들의 분노"와 같은 것들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렇게 글을 쓰면서 얼마나 그들의 마음을 느끼고 있을까?

모르겠다. 쓸데 없는 고민일지도 모른다. 솔직히 쓴웃음이 나오기는 한다. 위에서 말하는 일들이 벌어지지 않기를 바라며 이렇게 글을 찾고 있다는 원래의...혹은 가식적인 마음을 잊지 말자...
참고로 임지현 교수는 요동사에 대해서 호감을 가지고 있는데, 요동사도 변경사주장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중세에 형성된 상황을 그대로 고대에 적용했기 때문이다.

즉 고대에는 한반도와 만주지역이 한 문화권이었음에도 이를 억지로 분류해, '요동과 한국은 미분화상태였다'라는 말도 안되는 말을 하거나6세기에 형성되 대신라 이후 많이 쓰기기 시작한 '삼한(고구려, 백제, 신라를 의미하는, 한국인을 상징하는 말로서의 삼한)'이란 단어가 고대 삼한시대에서 부터 형성된것 처럼 착각하거나.고구려 이전과 이후에 상황이 너무 다른 것을 자세히 살피지 않아 '요동의 미약한 문화적 정체성은 한중문화교류에서 차지하는 요동의 역할을 도관이나 통로의 그것에 머무르게 했다'(요동사 p. 615)는 말을 하는등 중세에 형성된 시각을 그대로 고대에 투영해버렸다.

역사문의 밸틴님의 글 중에서...http://cafe.daum.net/alhc

본인 실력이 매우 떨어져서 당 카페같은 곳에서 감히 토론 같은 것을 못하고, 이렇게 뒷구멍에서 중얼중얼해보련다. 이렇게 조용한 변경의 글이 퍼질리도 없고 말이다^^

일단 본인도 요동사라는 개념에 호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한국에 만연해 있는 극단적인 민족주의로서 주입된 국사개념의 고구려사에서 진정한 의미의 냉철한 역사적 의미로의 전환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만약 김한규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요동사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이것 역시 허구의 개념이고 아직은 명확하게 정의내리지 못했으며, 현실적인 정치와 외교 논리에서 무시당할 이야기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밸틴님이 지적하신 문제를 살펴보자. 개인적으로 억측과 가정 속에서 요동사를 비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논쟁을 할때 지양하여야 할 방법이지만!! 반문을 해보자면

"고대에 한반도와 만주지역이 한 "문화권"이었다는 증거는 대체 무엇인가?"

문화권이었다는 개념은 말 그대로 만들어진 개념이고, 개개인의 정의에 따라서 얼마던지 달라질 수 있는 개념이다. 기존의 국사에서야 "민족"이라는 허황되고 개념적일수밖에 없는 것을 절대적인 진리로서 이야기 했다. 이것도 틀렸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요동사를 비판하는 그 방법 그대로라면 역시나 비판받아야 되는 방법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한국호랑이라는 분이 임지현씨의 인터뷰를 올리고 이런 덧글을 달았군요. "임지현교수 인터뷰 내용입니다 한번 만나면 물어보고 싶군요 1000년전에 삼국사기에 고구려 백제 신라를 하나로 보았는데 1000년후의 당신이 갑자기 1980년대생긴 변경사라는 개념을 적용하는게 이치에 맞다고 생각하는지요" 해당 인터뷰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그럼 제대로 개념이 형성된지가 300년도 안된다고 할 수 있고, 특히 동아시아에서는 100년도 안된 "민족"이라는 잣대로 마음대로 모.든. 과거를 재단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이것은 비꼬는 듯한 반문이지만....무엇보다 1000년. 아니 훨씬 전의 중국 사서들은 천하를 모두 중국의 아래로 보았습니다.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역사는 모두 어쩔 수 없는 현대사이기에 현대 개념을 적용시킬 수도 있습니다. 단지 그 개념이 절대적이지 않고, 현대에 만.들.어.진. 개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해당 글은.....예전에 쓰다가 중간에 다른 일이 있어서 남겨둔 것인데.....으음...그냥 공개해버리겠습니다. 갑자기 완성하기 싫어진 글이라고 할까요? 사실 이런글은 공개하면 안되겠지만....



그런데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물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석가탑 안에서 발견되어서 8세기 중엽에 인쇄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은 최고 인쇄물로 자국의 [백만탑다라니]를 든다. 중국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에서 인쇄된 것이라 우기고 있다.)

모님의 블로그 중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1966년 한국 경주 불국사의 석가탑에서 나온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이며 길이가 약 20척, 높이가 2촌이 조금 조금 모자라는 크기이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물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모님처럼 "중국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에서 인쇄된 것이라 우기고 있다."라고 쉽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닌듯 하다.

1) 인쇄술의 발달문제
모든 기술이 그러하듯이 인쇄술도 일정한 발전 과정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 중국의 경우 종이의 보급이나 묘비명등으로 인쇄술의 기반을 쌓아가게 된다. 그리고 한반도도 이에 대한 영향을 받게 된다. 기술적인 요건에서 당시의 중국대륙이 앞서있었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로 인하여 중국학자들은 해당 경전이 중국에서 만들어져서 한반도로 유입되었다고 주장하게 된다. 하지만 경전이 아닌 목판기술 자체가 한반도에 전해졌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이 경우도 중국대륙의 기술을 받아들였다는 점은 무시해서는 안될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목판인쇄자체는 한반도에서 만들었을 가능성도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당시의 한반도의 기술수준에서는 매우 힘들었을 것 같다. 물론 "뛰어난 능력"으로 한반도에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지만...그리고 불교라는 종교적인 요소로 인하여 가능했을지도 모르지만 판단하기는 매우 곤란한 문제로 여겨진다.

2) 글자문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포함된 글자 중에서는 측천무후(武则天) 시기인 689년에나 만들어졌다고 여겨지는 을 비롯한 4자가 있다. 그리고 이 부분으로서 중국학자들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의 방증으로 삼고 있지만, 그렇다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최소한 해당 글자가 한국에 유입되었을 정도로 한반도가 중국대륙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여겨진다.

3) 연도문제 (부수적인 문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한반도에서 만들어졌건, 중국대륙에서 만들어졌건 실제 만들어진 연도는 704년에서 751년으로 추정된다. 704년은 해당 불경이 실질적으로 고대중국어로 번역된 연도이고, 751년은 석탑이 만들어진 연도이다. 그렇다면 8세기 초반부라고 보는 편이 더욱 정확하지 않을까 싶다.


결론적으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어디서 만들어졌는지, 또한 당시의 한반도에 목판인쇄기술이 있었는지는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역사쪽으로 유명하신 블로거분이 "중국에서 인쇄된 것이라 우기고 있다."라는 발언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중얼중얼 : 해당 글은 아시는 분이 "낙양의 지가를 올리다"라는 말을 하셨는데 본인이 이해를 못하니 알려주신 링크의 아래쪽에서 본 내용이다. 그나저나 본인 정말 낙양의 지가를 올리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공부가 부족함을 느끼면서 동시에 그 분과의 세대차를 느끼게 되었다. 저런 말도 쓰는구나-_-;; 

낙양의 지가를 올리다라는 말은 책이 불티나게 팔리다라는 소리란다....공부공부...-0-


义婢가 무엇인지 몰라서 대충 살펴보았다. 의첩이란 명청시대에 주인에게 충성하고 자기 희생을 하는 첩들을 말한다. 여기까지는 대충 추측한 것과 맞았고, 다른 내용이야 전공시대도 아니고 전공과목도 아니어서 설렁설렁 보았다. 그런데 조금 걸리는 내용이 떠올랐다.

흔히 여성사 논문을 보면 자주 나오는 말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인 면에 대한 강조이다. 위의 의첩도 국가에 의한 여론형성으로 인한 부분만 강조하고, 의첩 자신들의 주동성과 자발성을 무시하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의첩들이 구관적인 방면에서 발휘한 자아인식과 자아변이 및 자아만족을 이야기 한다.

개인적으로 이런 모습을 보면 왠지 안타까울 뿐이다. 우리는 우민정치라는 말을 알고 있다. (어느 분은 요즘도 이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하시지만) 과거의 통치술의 기본은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착각하게 하며 고위층만을 위한 정책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의첩들이 스스로 자랑스럽게 여겼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매우 불쌍한 모습에 하나로 비추어지는 것이다. 물론 당시의 그녀들은 그런 자신들의 모습에서 나름대로의 만족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점은 결코 무시하여서는 안된다.

하지만 역사를 공부하면서 해당 시대나 배경에 빠져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이나 해당 시대와 배경에서 객관화가 되는 것도 중요한 것이 아닐까? 역사가 단지 과거를 고증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욕나오지만) 나침판이 되려면 필요한 것이 "현재"와의 만남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의첩들의 "자발성"은 어디까지나 시대의 상황에 휘말린 불쌍한 여인들이라고 판단을 해야되지 않을까?

본인은 그녀들의 자발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마초주의자들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한다.(물론 이건 말도 안되는 소리일 것이다.) 그만큼 자발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에 대한 문제성이 느껴진다. 그들의 말을 그대로 현재에 도입을 하게 되면 "여성이여! 국가의 정책에 대해서 그것이 어떤 문제가 있던 말건 당당하게 자발적으로 그들의 말에 따르자!" 라고 본인 맘대로 극단적으로 느껴버리기 때문일듯 한다.


《史学集刊> 2008年 第5期 《意象与本真:明清“义婢”现象解析》王雪萍 을 보고 나서...

아래 글은 http://www.cyworld.com/hrieu/1423985 의 일부분입니다.

     ★ 나는 이 문제는 중국의 자만심이 없어지지 않는한 계속 갈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그 문제를 푸는 실마리의 첫번째는 바로 중국의 역사 왜곡을 그만두는 것이다. 그 래서 난 중국에게 바란다. 더이상 역사 왜곡을 하지 말라고. 자신들의 역사만 최고인듯한 착각 좀 하지 말라고. 오랫동안 현 중국의 땅의 절반 이상이 북방민족의 삶의 터전이었고, 크게 중국은 몽골족과 여진족, 일본인에게 식민지 시대를 겪어야 했다. 게다가 여진족은 고구려, 발해의 후손으로 고려, 조선과 형제국이라 스스로 칭했던 민족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마치 모두가 자신들의 나라 안에서 일어난 일인듯, 자신들의 업적인듯 왜곡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50개 대표 소수민족을 앞세워 우린 하나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중국 공산권의 정치적 필요의 의한 이유 때문이다. 이 와 관련, 한국인은 중국 시민들이 정치적인 이유가 아니라면, 한국인은 중국인을 싫어 하는게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여, 쓸데없이 서로 비방하는 것을 자제하는 지성과 지혜가 필요하다. (이유를 좀 더 깊이 생각하면 왜 그런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또한 중국인에게 올바른 사실을 전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 그동안 중국인들이 온갖 전화 사기 등등의 일을 저지르거나, 여행간 한국인만 골라서 범행을 저지르고, 위장 결혼을 하거나, 살인을 하는 등의 여러 안좋은 일들로 한국인에게 신뢰를 잃었다. 어찌 이런 것도 없이 무조건 어린아이처럼 한국의 잘못한 것만 끄집어 내며 미디어를 이용해 정치적인 느낌이 들 정도로 혐한을 이끌어 내는가? 중국인들의 올바른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일본 같이 좋아하는 척을 원하는가? 중국인은 한국인이 일본인처럼 간사하게 그러지 못하는 것도 알아야 한다. 어떻게 보면, 과거사 관련하여 중국은 한국과 더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고, 같이 대응해야 할 부분도 있다.

     이제 한국 역사학자에게 바란다. 세계 곳곳에서 한국의 역사가 왜곡되어지고 있다. 일본에 의한 것은 말안해도 잘 알것이다. 그렇기에, 한국 역사학자들은 더욱 분발해야 하고, 더욱 연구하고 세계와 교류하고 알려야 한다. 각 나라에서 직접 역사학 교수가 되고, 논문도 내고, 책도 많이 써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논리와 정의와 사실을 기반으로 서방에게 또는 역으로 중국, 일본에게 참 사실을 뿌리내리도록 힘써야 한다. 그러면 더이상 세계 각국 역사책에서 한국사는 뺀채 중국, 일본만 가르치는 일은 사라질 것이다. (현재, 서점 역사 관련 책에서 대부분 한국은 빠져있음)

 1. 일본의 역사왜곡 증거    http://www.cyworld.com/hrieu/154978

2. 중국의 역사왜곡 증거 (지은이는 중국인이 아니지만, 현재 서방권에 얼마나 역사 왜곡이 진행되었는지를 보여줌)    http://www.cyworld.com/hrieu/199913


글의 의도는 어느 정도 이해하지만, 이 글에  무려 로그인까지 해가면서 덧글을 적었는데 삭제인지 없어졌더군요. 그래서 이렇게 중얼거려 봅니다. 일단 역사 학자는 아니지만 역사 학도로서 이 말부터 꼭 하고 싶다.


-- 역사학도 --
"돈만 제대로 주셔요. 그럼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본인 석박사를 마치고도 제대로 된 자리를 잡지 못하여 많은 지식을 그냥 날려버리는 선배들을 많이 보았다. 이유는 하나다. 돈이 안되니 투자를 안해준다. 역사는 어치피 무시당한다. 돈도 안된다고 한다. 현대 사회는 아무리 부정해도 자본주의 사회이다. 어떤 것이든 돈이 있어야 멀 제대로 하던지 말던지 한다. 악으로? 깡으로? 그것도 한계가 있는 것이다.

"역사는 싸움이 아닌 사실에 대한 도전입니다." 님의 글을 보면 중국이나 일본은 열심히 역사왜곡하고 있고 한국은 마치 가만히 당하는 것 같습니다. 죄송하지만 영~~ 아니옵나이다. 한국도 중국과 일본에 상응하는 일정정도의 역사 왜곡은 충분히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러한 왜곡은 몇몇 정치적인 역사학자(혹은 관방사학자)같은 사람들의 문제입니다. 많은 역사학자와 역사학도들은 한중일이라는 국적을 넘어서, 사실을 알아내기 위한 끊임 없는 도전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님의 글의 어투는 (저만의 느낌일수도 있겠지만) 역사학자들이 한국의 영광을 위해서 노력하라는 소리같네요. 전 한명의 역사학도일뿐이지만, 한국을 영광만을 위해서 노력할 생각은 없습니다. 전 단지 "사실" 혹은 "진리"라고 불리는 것을 위해서 노력할 뿐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옳바른 길이라고 생각되는군요.


-- 블로거 --
제가 볼 때, 이 문제는 푸는 실마리는 중국과 일본의 사이의 재미있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는 한국의 의식변화부터 시작되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이 약하다는 인식 (중국과 일본은 강하니까 전세계를 대상으로 열심히 한국을 짓누르고 있어 정도의 생각인데, 한국도 인구와 영토에 비해서 결코 약하지 않습니다. 단지 중국과 일본이 강대국중에서도 초강대국에 가까운 것입니다)

남들이 저지르는 실수는 자신은 하고 있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남들이 역사왜곡하고 미디어에서 삽질하지만 한국만은 그러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 양쪽 미디어를 모두 접하는 본인으로서는 솔직히 양쪽 다 웃길 뿐이다. 그런데 마치 중국의 미디어만이 문제라고 이야기 한다. 언급하고 있는 중국의 문제점이라는 것 중에서 얼마나 많은 부분에 왜곡이 들어있는가는 생각해보았는지 모르겠다. 미디어의 성질은 어느 나라나 그게 그거다. -_-)

마지막으로 위글의 작가에게 바란다.

더이상 역사 왜곡을 하지 말라고. 한국의 역사만이 최고인듯한 착각 좀 하지 말라고. 현재 한국에서 자신의 땅이라고 말하는 고구려나 발해을 말하는 것도 하나의 역사관일뿐이고, 그 역사관에도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서 고구려의 유민의 실제 한반도 유입이나 발해의 지도층의 민족구성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단일민족" "한민족" 이라면 말하고 있지만, 민족이라는 개념 자체가 정치적으로 발생된 "허구의" "가상의"개념인 것이다.

한국에서 한민족을 강조하는 것은 단지 한국 정치 지도층들의 정치적인 필요 때문이다. 민족이라는 개념 자체가 가짜라는 것을 먼저 인정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다 써놓고 보니...트랙백도 안되는구나. 후.....어차피 중얼중얼 마스터 베이션이니....후...아실분은 아시겠지만, 위의 글은 어디까지나 "덧글 삭제 당했다고 꿍시렁 거리는 한심한 인간의 모습"일 뿐입니다.



亦邻真 :《成吉思汗与蒙古民族共同体的形成》《亦邻真蒙古学文集》

 

1- 안에 나오는 많은 전문용어들이 지금은 쓰지 않는 소련쪽에서 유행한 학술 용어들이다.

2-

1) 마르크스를 증명하기 위해? : 새로운 분층의 도출

2) 초원의 역사가 그 독특한 배경제약을 벗어났다. ? (혈연적인 부분)

3) 민족의 형성이 현대적인 의미의 계급이 분화되는 요건이다?


이런 말을 하지 않았을때의 경우의 수를 생각해야된다.

그는 몽고의 민족이 이때 형성했다고 말를 하는 것은,

몽고민족이 예전부터 존재했다는 논설에 대한 반박이다.

현재의 연구에 의하면 명대중후반에 이르러서야, 모두가 인정하는 몽고민족이 생겨났다.  칭기즈칸이 한 일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존의 서로 다른 민족들을 정복이후에 분열-통합하여서 전혀 새로운 민족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그런 의미로 지금 현재 중앙아시아의 질서는 칭기즈칸을 통해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말을 반대로 하면 기존에는 이러한 민족에 대한 분열-통합이 약하였고, 원래의 문화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로신선생님은 피정복부족을 분열-통합한 것은 원래부터 존재하던 것이었다. 물론 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말이다. 특히 중앙아시아의 알타이어계열의 몽고어와 투르크어의 관계 형성과 같은 것도 이러한 분열-통합의 와중에서 발생한 일이고, 기존의 중앙아시아의 투르크화나 이후의 아랍화도 비슷한 과정속에서 발전한 것.

특히 이러한 정치체계가 있은 뒤에 민족체계가 만들어졌다는 소리이다.


칭기즈칸은 분열-통합의 주목적은 상대 민족에 대한 반란의 위험성보다는 재산분배에 가깝지 않았을까라고 선생님은 생각중이신듯 하다. 물론 반란예방과 재산분배의 의미가 모두 있었을 것이다. 문제는 어느쪽의 비중이 높았냐는 것인데....흐음.........개인적으로 재산분배는 다른 식으로 진행 할 수 있겠지만, 반란은 다른 방식으로 막는 것이 매우 힘들지 않나? 물론 칭기즈칸이 절대적인 자신감을 가지고 민족의 반란이라는 것은 없을 것이라고 하지만, 그의 전투 행적에서는 반항을 하는 자는 가차없이 "전멸"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데...음....모르겠다. 생각해봐야겠다.


이제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 모반계획을 계속 실행할 것인가? 아니면 중지할 것인가?

원래의 자리가 위태롭다면 황제라도 죽여버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 모든 것이 안정적으로 회복되었다. 모반을 일으킬만한 이유가 없어져 버린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될 것인가? 이연은 앉지도 서지도 못하고 고민에 빠져버렸을 것이다.

핵심은 이미 모반계획을 세워버렸다는 것이다. 당시의 법률로 설령 모반 계획뿐이더라도 모반과 동일시 한다. 이것은 이연에게 있어서 모반을 일으키는 것은 이미 날라가버린 화살이오. 떠나버린 님이라는 이야기이다.

핵심 측근과의 반복되는 회의 끝에 나온 결국은 진행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었다.

역사의 갈림길은 이렇게 요상하게 결정 되어 버렸다.

어째서 그 많은 사람들이 황제가 이연을 죽일 것이라고 오판을 한 것일까? 어째서 그 많은 사람들이 모반계획에 참여했었던 것일까? 모든 사람들에게 모반의 이유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상황이었으면 이렇게 쉽게 모반을 일으킬 수 있을까?

역사의 변화에는 법칙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비록 모두가 황제의 구체적인 결정에는 오판을 하였지만, 당시의 천하 정세를 놓고 본다면 그들의 판단이 옳았던 것이다. 당시의 천하가 요구하는 것은 수나라의 멸망이었다. 20세의 이세민이 수나라를 멸망시킬 생각이 들었고, 52세의 이연도 수연을 무너트릴 생각을 하였다. 유문정도 반란을 통해서 자신의 죄를 덮고 싶었고, 배숙도 부귀공명을 누리고 싶었다.

지금에 돌아보면 이연은 정확한 판단을 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정확한 판단은 "오판"에서 나온 것이었다. 역사의 매력이자 고민은 이런 곳에서 나오는 것이다.

더욱 요묘한 것은 황제 사절의 도착 시점이다. 만약 황제의 사절이 조금 늦게 왔다면 이연은 이미 기병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사절은 매우 적절한 시점에 도착하였다. 그는 이연의 모반계획 자체는 발동을 했지만, 이연이 실제로 기병을 하기 전인 미묘한 시기에 도착을 한 것이다. 모반이라는 거대한 일에서 시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만약 시간이 모자라서 창졸간에 군사를 일으킨다면 실패하기가 쉽다. 그렇다고 오래동안 기다린다면 모반계획이 세어나갈 수가 있다. 그런데 군사를 일으키려고 준비하던 중에 온 황제의 명령으로 인하여, 이연은 더욱 더 차분하게 모반을 준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훗날의 역사 기록에는 모두가 이연이 황제의 사절의 출현에 매우 감동하였다고 말해지고 있다. 우리는 이 사실에 대해서 깊게 파고 들어갈 필요가 있다. 합리적인 추측은 황제의 사절이 이연의 모반을 미루었을 것이고, 이것은 모반이 더욱 성공적이게 만들었다. 이것은 이연의 진양모반의 첫번째 기적이었다. 하늘이 도와준다고밖에 설명되지 않은 기적이었다.


멍쉬엔슬(孟宪实)의 晋阳:梦开始的地方이 괜찮은 내용이어서, 직역식이 아닌 의역위주로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이나 오타에 대해서 강력한 비판을 부탁드립니다. 또한 저의 "귀차니즘"을 생각하면 어차피 덧글도 달리지 않아서 압력도 별로 없는 이런 종류의 글의 업데이트는 조금 느릴지도 모르겠습니다. (덧글을 달아달라는 말을 참 아름답게 돌렸군요! 우훗-_)

반란은 매우 위험한 도박이다. 단지 이연의 생각만으로 결정되었을리는 없다. 이연의 심복들의 역할도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

이연의 심복중에서 3명의 인물을 주목하여야 한다.

우선 차남 이세민(李世民)이 있다. 이세민은 이연의 반란에 적극적으로 찬성한 인물이다. 이세민은 당시 20세 정도였으면 당국공 이연의 아들외에는 다른 어던 신분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부자가 합심해서 천하를 집어 삼킨다. 언제나 이연의 편인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연이 가장 믿을 만한 사람은 당연히 이세민이었을 것이다. 이연과 이세민은 대략 몇가지 문제에서 공감을 하게 된다. 첫째. 이씨가 천하를 잡는다는 유언비어를 이용한다. 둘째, 황제가 이 기회에 이연을 죽일 가능성이 높고 판단된다. 셋째, 지금 황제는 멀리 강도(江都)에 있어서 관중(关中)이 비어있음으로 쉽게 군사를 일으킬 수 있는 기회이다.

두번째 인물은 배적(裴寂)이다. 배적은 이연의 죽마고우로서 태원에서 특수한 신분을 가지고 있다. 태원에는 진양궁(晋阳宫)이라는 수양제의 별궁(离宫)이 있었다. 이 별궁의 책임자가 바로 배적이었다. 배적은 어릴때 매우 가난했는데, 한번은 화약묘(华岳庙)를 지나면서 미래에 대해서 기도를 했다. 결과적으로 꿈에서 백발 노인을 만나서 30세이후에 뜻을 드높이게 되고 최고위직 관원이 되리라는 소리를 듣는다. 그리고 이 말을 계속 가슴 속에 담아둔다. 그의 직급으로 볼 때, 그가 최고위직 관원이 되는 것은 요원한 일이었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꿈을 이룰 수 있을까? 훗날 이연이 태원에 온 뒤로 배적의 야망을 다시 불타오르기 시작했다. 이연의 반란에 공신이 된다면 그가 최고위 관원이 되는 것은 꿈만이 아닌 것이다. 그렇게 배적은 이연의 반란에서 중요인물이 되었다. 진양궁은 황제를 위하여 준비된 곳이고, 온갖 물자가 쌓여있고, 미녀들이 널려있는 곳이었다. 배적은 이연을 진양궁으로 불러서 연회를 배풀었고, 감히 궁녀로 하여금 이연을 받들게 했다. 그리고 배적은 이연의 반란을 부추기면서 말한다. "당국공아! 후딱 군대를 일으키자고요! 만약 황제가 이일을 알면 당신을 죽일 겁니다! "

제삼의 인물은 유문정(刘文静). 유문정은 진양현(晋阳县)의 현령이다. 그는 이연의 수하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유문정이 이밀(李密)의 친척이라는 것이다. 조정의 지시에 따라서 그는 수감중이었다. 그런데 유문정과 이세민의 관계는 매우 밀접했다. 한번은 이세민인 한밤중에 유문경을 찾아갔고, 유문정은 이세민에게 천하의 형세에 대해서 분석해 주었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은 이연의 반란이었다. 3만의 병력으로 곧장 장안으로 향한다면 천하를 장악할 수 있다는 전략이었다. 유문정이 이연의 반란을 부추긴 것은 분명히 자신을 위한 고려였다. 그와 이밀의 관계를 생각한다면, 수나라는 그를 결코 풀어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에게는 반란의 길밖에 없었다.

반란은 기밀 중에서도 기밀이다. 이 3명의 심복 모사들뿐만이 아니라, 직접적인 무력행위자들도 있어야 했다. 예를 들어서 군사를 동원하려면 그 군사를 이끌 장군과 참모들이 필요하다. 하늘의 뜻인지 당시 이런 사람들은 이연의 주위에 널려 있었다. 역사서가 기록하기를 호걸들이라고 되어있는 많은 사람들은 수나라에게는 역적일 뿐이긴 하다.


어찌되었든 역시나 하늘의 뜻인가? 어찌하여 인간계의 풍운아들이 태원에 모두 모여있던 것인가?

어찌하여 야심가와 영웅이 모두 모여 있는 것이었던가?

수 많은 우연 속에서는 필연이 숨겨져 있는것일까?

이연이 모든 준비를 마치고 군사를 일으킬 직전, 갑자기 양주(扬州)에서 온 사자가 출연한다. 그는 황제의 명령을 가지고 있었다. 이연은 무죄로 석방하고 원래의 관직에 복귀한다.

이연의 판단은 철저하게 틀렸던 것이었다.

그렇다면 이제는 어떻게 해야만 하는가?


멍쉬엔슬(孟宪实)의 晋阳:梦开始的地方이 괜찮은 내용이어서, 직역식이 아닌 의역위주로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이나 오타에 대해서 강력한 비판을 부탁드립니다. 또한 저의 "귀차니즘"을 생각하면 어차피 덧글도 달리지 않아서 압력도 별로 없는 이런 종류의 글의 업데이트는 조금 느릴지도 모르겠습니다. (덧글을 달아달라는 말을 참 아름답게 돌렸군요! 우훗-_)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