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디어를 통괄하는 광전총국广电总局는 중국의 방송 상에서 앵커의 발언이나 기자의 인터뷰 및 자막중에서 NBA, GDP, WTO, CPI등의 모든 외래어 사용을 금지하였다. 더욱 정확하게 말하여 이번 금지는 모든 외국어와 그 약자들의 사용을 금지한 것으로 앞으로 대량의 영어약자들이 중국어로 변화하게 될 것으로 보았다[각주:1].

광전총국은 그 이유로 외래어로 인하여 혼란스러워진 중국어를 보호하여야 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농촌지역에서는 NBA와 같은 외래어를 이해할 수 없기에 이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그럼 중국중앙방송국의 약자인 CCTV부터 바꾸라며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중국의 화장실에서도 자주 쓰이고 있는 WC도 다 없애야되는 것이 아니냐면서 광전총국의 정책은 문화보호가 아닌 문화쇄국으로서 중국문화를 말려죽이게 될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문화를 훌륭히 계승하는 것은 물론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문화라는 것은 언제나 교류를 통해서 변화하고 발전한다는 것 역시 너무나 중요한 일이다. 현재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사회", "정치", "군사"와 같은 단어들은 일본어에서 흘러왔으며 그것은 현재 우리의 생활에서 떨어질 수 없는 중요한 단어들이 되었다.

문화는 살아서 움직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썩어서 악취를 풍기게 된다.


  1. CPU”(中央处理单元)、“GPS”(全球定位系统)、“MBA”(工商管理学硕士)、“MSN”(微软网络服务)、“USB”(通用串行总线)、 “DVD”(数字多功能光盘) [본문으로]


アイスクリーム:(ice cream)冰淇淋
アイディア:(idea)主意,构思
アイロン:(iron)熨斗
アウト:(out)外边;出局
アクセサリー:(accessary)装饰用品;附属品
アクセント:(accent)重音;重点;语调
アジア:(Asia)亚洲
アナウンサー:(announcer)播音员
アパート:(apartment house)公寓
アフリカ:(Africa)非洲
アメリカ:(America)美国
アルバイト:(Arbeit)打工
アルバム:(album)相册
アンテナ:(antenna)天线

 
イコール:(equal)等号,等于
イメージ:(image)形象,映象
インク·インキ:(ink)墨水
インタビュー:(interview)采访,访问


ウイスキー:(whisky)威士忌酒
ウーマン:(woman)女性,女士
ウール:(wool)羊毛,毛织品


エスカレーター:(escalator)自动扶梯
エチケット:(etiquette)礼貌,礼节,礼仪
エネルギー:(energie)能源,能量
エプロン:(apron)围裙
エレベーター:(elevator)电梯
エンジン:(engine)发动机,引擎


オイル:(oil)油,石油
オーケストラ:(orchestra)管弦乐队
オートメーション:(automation)自动化
オートバイ:(autobicycle)摩托车
オーバー·オーバーコート:(overcoat)大衣,外套
オフィス:(office)办公室,事务所
オルガン:(organ)风琴
オレンジ:(orange)橙子;橙黄色


カーテン:(curtain)窗帘
カード:(card)卡片;扑克牌
カーブ:(curve)弯曲;曲线
ガス:(gas)煤气,瓦斯
カセット:(cassette)盒式录音(磁)带
ガソリン:(gasoline)汽油
ガソリンスタンド:(gasoline stand)加油站
カバー:(cover)封面;保护
ガム:(gum)橡皮,口香糖
カメラ:(camera)相机
カラー:(color)颜色
ガラス:(glas)玻璃
カレンダー:(calendar)日历
カロリー:(calorie)卡路里,热量


ギター:(guitar)吉他
キャプテン:(captain)首领;队长
ギャング:(gang)暴力团伙
キャンパス:(campus)大学校园
キャンプ:(camp)露营
キロ(グラム·メートル):(kilo)千


クーラー:(cooler)冷气设备
クラシック:(classic)古典,古典音乐
クラス:(class)等级;班级
グラス:(glass)玻璃杯
クラブ:(club)俱乐部
グラフ:(graph)图表
グラム:(gramme)克
グランド·グラウンド:(ground)运动场,操场
クリーニング:(cleaning)洗衣,特指干洗
クリーム:(cream)奶油
クリスマス:(Christmas)圣诞节
グループ:(group)群,组,集团


ケーキ:(cake)蛋糕
ケース(箱):(case)箱子,容器
ゲーム:(game)游戏,比赛


コース:(course)路线;课程
コーチ:(coach)教练
コート:(coat)上衣,外套
コート:(court)球场
コード:(code)法规;代码
コーヒー:(coffie)咖啡
コーラス:(chorus)合唱,合唱团
ゴール:(goal)终点,目标
コック:(cock)栓,龙头,开关
コップ:(kop)玻璃杯,杯子
コピー:(copy)拷贝,副本,影印
コミュニケーション:(communication)通信;沟通,交流
ゴム:(gom)橡胶,橡皮
コレクション:(collection)收藏,收藏品
コンクール:(concours)竞赛,竞演会
コンクリート:(concrete)混凝土
コンサート:(concert)音乐会,演奏会
コンセント:(concentric plug)插座
コンピューター:(computer)电脑,计算机


サークル:(circle)圆
サービス:(service)接待,服务;附带赠品
サイレン:(siren)汽笛,警报器
サラダ:(salad)色拉
サラリーマン:(salaried man)工薪人员
サンドイッチ:(sandwich)三明治
サンプル:(sample)样品


シーズン:(season)季节
シーツ:(sheet)床单
ジーンズ:(jeans)牛仔裤
ジェット機:(jetき)喷气式飞机
ジャーナリスト:(journalist)记者,编辑
シャツ:(shirt)衬衫
シャッター:(shutter)快门;百叶窗
ジャム:(jam)果酱
シャワー:(shower)淋浴
ジュース:(juice)果汁
シリーズ:(series)系列,连续


スーツ:(suits)西服
スーツケース:(suitcase)小型旅行皮箱
スーパー(マーケット):(supermarket)超市
スープ:(soup)汤
スカート:(skirt)裙子
スカーフ:(scarf)围巾,披肩
スキー:(ski)滑雪
スクール:(school)学校
スケート:(skate)溜冰
スケジュール:(schedule)时间表,日程,计划
スター:(star)星星;明星
スタート:(start)出发,开始
スタイル:(style)样式,风格;文体
スタンド:(stand)台,座;看台
スチュワーデス:(stewardess)空中小姐
ステージ:(stage)舞台
ステレオ:(stereo)立体声
ストーブ:(stove)火炉,暖炉
ストッキング:(stockings)长筒袜
ストップ:(stop)停止
スピーカー:(speaker)扬声器,扩音器
スピーチ:(speech)演说,致词
スピード:(speed)速度;迅速
スプーン:(spoon)汤匙
スポーツ:(sports)运动
ズボン:(jupon)裤子,西裤
スマート:(smart)漂亮,俊俏,时髦


セット:(set)一组,一套
ゼミ:(Seminar)ゼミナールの略,讨论会,研究会
セメント:(cement)水泥
ゼロ:(zero)零
センチ・センチメートル:(centimeter)厘米


ソファー:(sofa)沙发


タイプ:(type)类型;打字
タイプライター:(typewriter)打字机
タイヤ:(tire)轮胎
タクシー:(taxi)出租车
ダブル:(double)双,两倍
ダム:(dam)水坝,水库
ダンス:(dance)跳舞
ダイヤモンド:(diamond)钻石
ダイヤル:(dial)刻度盘,号码盘


チーズ:(cheese)奶酪
チーム:(team)小组,团队
チップ:(tip)小费
チャンス:(chance)机会


デート:(date)日期;约会
テープ:(tape)窄带;磁带,录音带
テーブル:(table)桌子;表格
テープレコーダー:(tape recorder)录音机
テーマ:(Thema)主题
テキスト:(text)文本;课本
テスト:(test)检测,测验
テニス:(tennis)网球
テニスコート:(tennis court)网球场
デパート:(department store)百货公司
デモ:(demonstration)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の略,示威运动,游行示威
テレビ:(television)テレビジョンの略,电视
テント:(tent)帐篷
テンポ:(tempo)速度;(音乐的)拍子


ドア:(door)门
トイレ:(toilet)トイレットの略,卫生间
トップ:(top)最高级,首位
ドライブ:(drive)开车兜风
トラック:(truck)卡车
ドラマ:(drama)剧,戏剧
トランプ:(trump)扑克
トレーニング:(training)锻炼
ドレス:(dress)女式礼服
トン:(ton)吨
トンネル:(tunnel)隧道


ナイフ:(knife)小刀
ナイロン:(nylon)尼龙
ナンバー:(number)数字,号码


ニュース:(news)新闻,消息


ネクタイ:(necktie)领带
ネックレス:(necklace)项链


ノー:(no)不,没有
ノート:(note)笔记(本)
ノック:(knock)敲门


パーセント:(percent)百分比
パーティー:(party)聚会,宴会
バイオリン:(violin)小提琴
ハイキング:(hiking)郊游,远足
パイプ:(pipe)管道;烟斗
パイロット:(pilot)领航员,飞行员
バケツ:(bucket)水桶
バス:(bus)公车
パス:(pass)合格,通过
パスポート:(passport)护照
バター:(butter)黄油
パターン:(pattern)模型,式样
バック:(back)背后,背景,后退
バッグ:(bag)包
バランス:(balance)平衡
パン:(pao)面包
ハンカチ:(handkerchief)手绢
ハンサム:(handsome)英俊的,美男子
パンツ:(pants)内裤
バンド(ベルト):(band)皮带
ハンドバッグ:(handbag)(女用)手提包
ハンドル:(handle)方向盘,手柄


ピアノ:(piano)钢琴
ビール:(bier)啤酒
ピクニック:(picnic)郊游
ピストル:(pistol)手枪
ビタミン:(vitamin)维他命
ビデオ:(video)影象,视频;录象机
ビニール:(vinyl)塑料
ビル:(bill)账单,票据
ビルディング:(building)可简写为ビル,高楼,大厦
ピンク:(pink)粉红色


ファスナー:(fastener)拉链
フィルム:(film)胶卷,影片
プール:(pool)游泳池
フォーク:(fork)叉子
フライパン:(frying pan)长柄平锅,煎锅
ブラウス:(blouse)罩衫,衬衫
ブラシ:(brush)刷子
プラス:(plus)加,加上
プラスチック:(plastic)塑料
プラットホーム:(platform)月台,站台
プラン:(plan)计划
フリー:(free)自由
プリント:(print)印刷,印刷品
ブレーキ:(brake)制动器,刹车
プレゼント:(present)礼物
プロ:(pro)专业(的)
ブローチ:(brooch)别针
プログラム:(program)节目,节目单;计划(表);程序


ページ:(page)页
ベッド:(bed)床
ベテラン:(veteran)老手,老练的人
ヘリコプター:(helicopter)直升飞机
ベル:(bell)铃
ベルト:(belt)皮带,腰带
ペン:(pen)笔,钢笔
ペンキ:(pek)油漆
ペンチ:(pinchers)钳子
ベンチ:(bench)长凳,长椅


ボーイ:(boy)男孩,少年;男服务生
ボート:(boat)小船,小艇
ボーナス:(bonus)奖金,津贴
ホーム:(home)家
ホーム:(form)月台,站台
ボール:(ball)球
ボールペン:(ball‐point pen)圆珠笔
ポケット:(pocket)口袋
ポスター:(poster)招贴,海报
ポスト:(post)邮筒
ボタン:(button)纽扣,按钮
ホテル:(hotel)宾馆,饭店


マーケット:(market)市场,商场
マイク:(microphone)麦克风
マイナス:(minus)减,负
マスク:(mask)面具
マッチ:(match)火柴;比赛
マフラー:(muffler)围巾;消声器
マラソン:(marathon)马拉松
マンション:(mansion)公寓


ミシン:(machine)缝纫机
ミス:(miss)失败,错误
ミリ(メートル):(milli meter)毫米
ミルク:(milk)牛奶


メーター:(meter)(自动计量)仪表
メートル:(meter)米
メニュー:(menu)菜单,菜谱
メンバー:(member)成员,队员


モーター:(motor)马达,发动机
モダン:(modern)现代,流行,摩登
モデル:(model)模特,模型
モノレール:(monorail)单轨电车


ユーモア:(humor)幽默,诙谐


ヨーロッパ:(Europa)欧洲
ヨット:(yacht)帆船,游艇


ライター:(lighter)打火机
ライター:(writer)作家,撰稿人
ラケット:(racket)球拍
ラジオ:(radio)收音机
ラッシュアワー:(rush‐hour)(上班、上学)高峰时间
ランチ:(lunch)午餐
ランニング:(running)跑步


リズム:(rhythm)韵律,节奏
リットル:(litre)升,公升
リボン:(ribbon)丝带,飘带


レインコート:(rain coat)雨衣
レクリエーション:(recreation)消遣,娱乐(活动)
レコード:(record)成绩,记录;唱片
レジャー:(leisure)闲暇,业余时间
レストラン:(restaurant)西餐厅
レベル:(level)水平,水准
レンズ:(lens)镜片,镜头


ローマ字:(Romaじ)罗马字,拉丁字母
ロケット:(rocket)火箭
ロッカー:(locker)文件柜,橱柜
ロビー:(lobby)前厅,接待室


ワイシャツ:(white shirt)(男)衬衫,衬衣
ワイン:(wine)葡萄酒
ワンピース:(one‐piece)连衣裙

 

 

왼쪽부터 해당 외래어 - 클릭하면 사전으로 갑니다만, 중일사전이라는 사실! 옆에 영어로 된 해석이 있고, 다시 중국어로 된 해석이 있습니다. 영어는 해석이라고 해야될지 아니면 원음이라고 해야될지 난감하긴 하군요. 네 해당 자료는 중국쪽 인터넷에서 건져온겁니다.

 

일본 한자는 한국에서 보내오기로 한 책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관계로 우선 한 발음만 외우면 되는 속편한 외래어부터 외우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위의 단어 말고도 수 많은 외래어들이 있지만, 위의 것을 일본어 2급에서 출제되는 나라에서도 어쩔수 없이?! 인정한 외래어이니 반드시 외워야하겠죠. 영어랑 비슷하면서 달라서 더 힘든 상황.

 

한자도 중국어랑 비슷..아니 뜻은 똑같으니 발음만 더 머리에 우겨넣으려니 돌겠는데 말입니다. 그래도 한자보다 외래어가 더 좋군요. 발음은 하나 뿐이니!

바로바로님의 주장에 대하여 2 에 다시 붙입니다.

--- 바로 중얼---

제가 목적어를 일부러 흐르게 한 것은 인정합니다. 사실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서 제 개인적으로 찬성하는 부분은 "해당 국가의 음"을 존중하는 조항입니다. 격음 부분은 한글의 발음체계를 이용할 줄 모르는 체계이며, 중국음을 신해혁명으로 막아서 서로 호환되지 못하는 것을 일부러 언급하지 않거나 일부러 언급을 최대한 피했습니다.

제가 지적하고 싶었던 것은 중국인들이 현재 외래어규정에 중국 지명을 알아듣지 못한다는 점과 해당 국가의 음을 존중해야되는 조항을 옹호하고 싶었고, 다른 부분은 사실 변동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일부러 모호하게 했는데 지적하시니 난감합니다.


1.

몇번을 반복하지만 전 본인이 현재 유학하고 있습니다.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오래썩은 한국인들과 중국친구들이고 말이죠. 이 부분에 동의하지 않으시면 전 더 이상 할말이 없습니다. 경험적으로 다른 부분이니 말입니다.(이건 농담입니다만...역사에는 서양사도 있답니다^^:::) 이 부분은 그만 이야기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2.(너무 길어서 님의 본문은 생략했습니다.)

이 부분은 제가 마음대로 논리점프를 했군요. 한자음과 우리말이 분리가 되는 이유는, 님이 말씀하신 우리말의 70%가 한자어일지는 모르나 실제 생활에서는 그러한 한자가어가 인식되어서 쓰이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지금 현재의 젊은이 들에게 "사건"이 한자어라고 말하면 어떻게 "인식"을 할까요? 한자어라 알고, 한자 독음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단지 우리말로 생각할 뿐입니다. 그 외에도 "일기"라던지 "물건"과 같은 단어들은 젊은이들의 인식속에서 한자음이라기 보다는 이미 우리말로 정착된 말이 되었죠. 물론 지금 현재의 발음은 자료로 남겨서 보존해야될 필요가 있습니다.(그냥 사료로서 남긴다는 의미로서의 보호입니다.) 제 마음대로 논리점프를 하니 모순이 되었군요. 죄송합니다.

당연히 해당 인물이 존재했던 한말기부터 위진시대까지입니다. 講壇走狗이 어처구니 없다고 하셨습니다. 저도 해당 발언을 하면서 이루어지기 매우 힘든 일임은 명시해두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반문해보고 싶군요. 講壇走狗님도 해당 언어를 재현할 수 있기를 소망하고 있지 않으신가요?  어렵고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나 한번만 들어보고 죽으면 소원이 없을 정도로 알고 싶으신 것이지요. 물론 지금 당장 모든 발음을 알아내라는 소리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하나하나씩 바꾸어가자는 소리이지요. 그것이 진정한 "원음 존중"이 아닐까라는 생각입니다.


--- 고대 인명을 고대 발음대로 읽기에   講壇走狗님이 덧글을 허용해놓았는데, 이글루스의 문제인지 덧글이 달리지 않아서 여기서 짦게 이야기 하겠습니다.(아마 제가 중국에서 인터넷을 하고 있는지라, 스팸문제로 중국쪽 ip을 막아놓았거나 너무나 인터넷이 느린 이유일거라 생각됩니다.)

講壇走狗님. 전 논픽션에 대입한다고 한 적은 없습니다. 학문적인 접근이라고 명시한 것 같습니다만...제가 글을 제대로 못 써서 혼란을 드린것 같군요. 죄송합니다.

제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제가 말하는 "원음"를 존중하는 것은 해당 시기의 해당 국가에서 불려진 이름으로 말하는 것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사실상 어려운 일이라는 점은 저도 명시했다고 생각합니다만^^::

예를 들어서 현재 많은 중국인이 高句丽을 gaojuli 라고 발음하는 데, gaogouli라고 발음하는 것이 더 맞는 방식이죠.(실제로 중국에서 해당 시대를 공부한 사람은 gaogouli라고 발음합니다.) 혹은 고구려시대의 고추가의 "가"를 고증하면 kar이라고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원음에 최대한 충실히 하여 "칼"이라고 해주는 것이 더 옳지 않느냐는 말입니다. 물론 당장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해당 음도 확실히 학계에서 규정된 것도 아니고요. 저도 당장 모든 것을 알 수 없다고 해놓았고요. 하지만 하나하나씩 원래의 음을 알려고 노력하는 것 아니었던가요? 동일한 원리로, 님의 말씀대로 고증하기 힘들고 논란도 많지만 중고중국어의 음을 알아서 대입해 나가는 것이 학문적으로 타당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은, "상대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 백번 이긴다"라는 표현으로 수정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왜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표현을 계속 쓰는지가 궁금하군요. 훨씬 쉽게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표현이 있는데 말입니다. 이러한 문장은 당연히 제대로 된 현대 한국어로 표현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고유명사의 경우 해당 시기에 가장 근접하게 접근하려 노력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3.바로바로님은 한자와 중국어를 계속 혼동하고 있는데, 이미 사고가 그렇게 틀에 박혀버린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자 자체가 그리 훌륭한 언어가 아닌데, 다시 말씀드리지만 한자는 문자고, 언어가 아닙니다. 이미 이 점에 대해서 바로바로님은죄송합니다. 제가 한자가 언어이자 문자인 중국에 있다보니 한국의 상황과 혼동했습니다.
라고 말씀하신 바 있습니다. 그런데 "한자가 언어이자 문자인 중국"이라는 이야기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인다면
또한 중국 자체적으로 한자를 없애버릴려는 계획이 있었고, 지금도 사라지지 않을 정도로 한자의 문제점은 생각보다 심각합니다.라 는 말씀은 중국이 자기네 언어를 없애버리려는 계획을 세웠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입니다. 인문학도로써 단어의 정의가 중요하다는 것은 제가 말씀드리지 않아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이렇게 개념을 오가면 의견을 드리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 넵. 제가 잘못 말했습니다. 한자 자체가 훌륭한 문자체계가 아니라고 말해야 옳습니다.  



4.서울 을 서울로 발음하게 하는 것과 독도-다케시마, 동해-일본해 문제가 같은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이야기입니다. 독도는 영토 귀속 문제이지 섬 명칭의 표기 문제가 아닙니다. 일본은 독도를 자국 영토라고 간주하기 때문에 다케시마라고 부르는 것이죠. 우리는 독도가 우리나라 영토라는 것을 밝히고 있을 뿐, 일본보고 독도라고 부르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동해와 일본해의 문제도 외래어 표기법과는 아무 관련도 없는 문제입니다. 이것은 국제질서 상의 문제입니다. 이런 것을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로 들고 나오는 것은, 자신의 주장에 적절한 사례를 찾지 못한 때문이라고 밖에 볼 수가 없습니다.
서울을 서울과 유사한 발음으로 발음하게 만든 이유는 서울시가 "서울"이라는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행한 일입니다. 이것 역시 사실상 외래어 표기법과는 무관한 이야기입니다. 서울은 한자어가 없는 도시라 그렇지만 중국인들이 仁川을 [인천]이라고 발음하나요? 釜山을 [부산]이라고 읽어줍니까? 아니, 朝鮮은 [조선]이라고 읽고 高麗는 [고려]라고 읽고 있습니까? 저는 중국인들이 이런 말들을 자기네 발음으로 읽으니까 우리도 우리 발음으로 중국 지명, 인명을 읽자고 이야기하는 건 아닙니다. 외국에서 어떻게 읽건말건 그건 아무 상관도 없습니다. 좀더 쉬운 예를 들자면, "바나나"를 미국에서 [버내너]라고 하건 말건, "라디오"를 미국에서 [뤠이디오]라고 하건 말건 제게는 아무 상관도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 님이야 말로 억지를 부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가지는 동일한 논리에서 나온 말입니다.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시는것이 저로서는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동해-일본해와 같은 경우는 영토분쟁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생각되어지는군요. 단지 국제사회에서 부르는 이름이 다른 것이죠. (이것도 독도영토분쟁과 상관이 있다고 하실것 같군요) 또한 독도 표기 문제는 단지 영토 귀속문제라고 하셨는데, 왜 영토귀속문제에서 명칭표시가 중요하게 생각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셨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제가 알기로는 중국은 제외한 모든 나라가 해당 지역의 음을 중시하는 외래어표기법을 사용중에 있습니다. 또한 중국이 마음대로 한다고 한국이 마음대로 읽자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고 언급하시면서 굳이 해당 예시를 제시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중국인들도 내부에서 원음 존중원칙으로 가야되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다시 중얼중얼 --

대체 무엇을 하시는 분일까라는 생각에 한번 둘러보았습니다. 사학도였다는 언급도 있어서 말이죠. 글들을 보니 환단고기 추종자분들하고 어마어마하게 싸웠을 것이라고 추측이 되더군요 그런 이유로 막아두셨다면 할말은 없기는 합니다. 저도 몇 번 당해보고 울컥해서 닫아 버릴까 했던 적이 있으니까요.

하지만 몇몇 경우에서 조금 불편한 것이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서 님의 글을 읽다가 찾지 못하셨다던  矜夷狄而陋华夏의 출처를 알려드리기가 좀 불편하군요. 그 글 하나만을 위해서 포스팅을 하고 트래백을 올린다는게 조금 이상하게 느껴져서 말입니다. 해당 출처는 사통(史通)입니다. 아래쪽에 해당 문장을 올려놨습니다.(표점은...제맘입니다...-_;; 읽기 편하시라고--)

史通 内篇 书事第二十九
苟目前哲之指踪,校后来之所失,若王沈、孙盛之伍,伯起、德棻之流,论王业则党悖逆而诬忠义,叙国家则抑正顺而褒篡夺,述风俗则矜夷狄而陋华夏,此其大較也。


사족 : 국은 제 잘못입니다. 국이 아니라 다른 음이군요. 얼마전에 상고고구려어 관련 논문을 보았는데 잘못해서 착각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성벽과 국을 착각했었습니다. 사실은 제 마음대로 상상했던 부분인데 그것을 사실처럼 써놓는 바보짓을 했습니다.  성벽과 국은 같은 어원이 아닐까하는;;;  또한 그 성벽 발음도 KURU 더군요. 죽여주십시오.)

바로바로님의 주장에 대해서 을 보고 동어반복적인 부분만 제외하고 포스팅하겠습니다. 제가 반박한 것중에서 언급하지 않으신 부분은 어느 정도 동감을 하시는 것으로 생각하고, 제 의견에 재 반박한 부분만 언급해 보겠습니다.

1. 맨 처음에 언급했지만, 전 지금 현재 중국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이년도 아닌 6년이 넘게 있었습니다. 그런 저의 경험뿐만 아니라 제 주위의 저만큼, 혹은 저보다 훨신 오래동안 중국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종합한 것입니다. 그래서 조금은 오만하게 중국인들도 한국인들의 새로운 외래어 규정에 의거한 발음들을 알아들을 수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학과 출신이 중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만...저는 북경대학교 본과에서 중국고대사를 전공하고, 현재 동대학 동학과의 민족사 석사과정 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왜 사학과 출신을 언급하셨는지요?)

그렇다면 "현지 발음을 익히는 수고"가 무엇을 지칭하는지 궁금할 뿐입니다. 몇 번을 읽어보아도 지금 저의 파악능력으로는 "한국식 한자 독음을 익히고, 만일 현지 인과 만나게 된다면, 어차피 알아듣지도 못할 새로운 외래어 규정의 발음보다는 해당 언어를 배우는게 백배는 좋다"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라고 밖에 느껴지지 않습니다. 아마도 아래쪽 3번 사항을 말씀하시는 것 같다고 추측해 볼 따름입니다.


2. 외래어 표기 문제가 통일성이 없는 것은 아직 시행기간이 고작 20년도 안 되었기 때문이지요. 님처럼 아직도 장국영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고, 짱구워롱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것은 정부의 외래어 표기법의 홍보를 탓할 일이지 장국영이라는 과거의 기준으로 돌아가는 것이 해결책이 아닙니다. 만약 과거로 돌아간다고 하더라도 님 세대는 혼동을 느끼시지 않을지라도 그 20년동안 해당 규정으로 교육 받아온 세대들은 분명히 혼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아무도 틀리지 않을 것이라는 말은 함부로 사용하지 않으셨으면 좋겟군요.


3. 처음부터 낙양이 아닌 루워양이라고 해야 옳다고 생각합니다. 이 점은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을 수정해야된다는 점에서는 일치하나 님이 기존으로는 회귀라면 저는 확대라는 점이 명확하게 다르군요.  왜냐하면 삼국지와 같은 고전이 한국의 역사보다 더욱 깊숙히 받아들여지는 지금이 오히려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삼국지(삼국연의)는 중국의 고전일뿐입니다. 물론 한국에 많은 영향을 미쳤죠. 현재 한국의 삼국시대의 장수 이름을 말해보라고 하면 10명을 넘길 수 있는 사람들이 몇이나 있을까요? (역사 전공은 당연히 제외하고 말이죠.) 하지만 일반인도 중국 삼국시대의 장수이름을 쉽게 10명 넘게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인들의 삼국지는 삼국연의이고 해당 서적은 어디까지나 고대한어로 적혀 있습니다. 이걸 한국의 중요한 유산이라고 말하는 것도 좀 웃기기도 합니다. 그럼 이 유산은 전공자가 아니면 볼 수도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볼려면 어마어마한 시간을 투자해야만 하죠. (그 정도의 한자능력을 모든 한국인이 가지고 있어야된다고 말하시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한국인들이 접하는 책은 보통은 "이문열"씨가 현대 한국어로 번역한 것입니. 그렇다면 재판부터는 낙양을 루워양으로 바꾸기만 하는 되는 것이죠. 어차피 단지 "음"을 따올 뿐이니까 말입니다. 뜻을 따오는게 아니란 것입니다. 음이 변할 뿐이죠. 물론 님과 같은 세대분들은 적응이 안되실 겁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삼국지와 같은 고전은 현재 중국어식 발음으로 바꾸는 것이 아닌, 당시 시대의 발음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당시의 중국어 발음과 지금의 중국어 발음은 분명히 다릅니다. 물론 해당 작업이 매우 힘들고, 사람들에게 이미 자리 잡힌 인물들을 바꾸어나가기도 힘들겠지만, 그것이 가장 학문에 근접한 작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만...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군요.


3-1 한글 우수론?!

과연 비교를 할 수 없을까요? 중국어와 한국어를 비교한다는 것은 조금 힘이 듭니다. 하지만 한자와 한글이 언어상으로 무엇이 체계적인가? 혹은 과학적인가? 혹은 인터넷 시대에 맞는 언어인가? 는 충분히 비교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또한 중국 자체적으로 한자를 없애버릴려는 계획이 있었고, 지금도 사라지지 않을 정도로 한자의 문제점은 생각보다 심각합니다. 한자 자체가 그리 훌륭한 언어가 아닌데, 한자를 귀속될 수밖에 없는 한자음은 그 한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을 지적한 것입니다.


3-2 한자숭배문제

이 부분은 저도 조심스럽게 언급한 부분이고, 저 개인적인 추측이라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런데 그런식으로 상대방을 마음대로 추단하는 것으로 몰아가시면 할말이 없습니다. 님이 말씀하신 부분들은 대부분의 한자숭배자들의 주장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이어서 그렇게 추측해 본 사항이고, 분명하지 않은 개인 잡상일 뿐이어서 () 안에 넣어놓았습니다. 혹시 오해 있으셨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3-3 한자음의 정의

여기서 지적하는 한자음이란 결코 변하지 않는 한자음입니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한자음은 없습니다. 님도 말씀하셨다 싶이 지금의 "중"은 예전에 "듕"이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것이죠. 님의 말씀처럼 지금 현대의 "중국 본토" 중국어의 표현에 따라가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것 자체를 반대하시는 것 같고, 이것은 가치관의 차이로 인하여 더이상 이야기가 진행될 수 없는 사항인듯 하군요.

(플러스 듕을 지적하셨는데 그 다음에 오는 한자음 "국"은 2000년이 넘었답니다. 그 외에 몇가지가 있군요. 몇몇 단어만으로 반례를 만드는 것은 이래서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천년이라는 것을 모호한 수식어로 사용했습니다. 이부분 명확하게 하지 않은 점 사과드립니다.)



4. 서울과 한양의 표기에 대하여...

님의 주장대로라면 서울시와 한국 정부가 줄기차게 중국정부에 요구를 해서 겨우겨우 바꾼 "서울"이라고 바꿀 필요가 없다는 소리이시군요. 그 분들은 왜 미련하게 서울로 표기하도록 노력했을까요? 왜냐하면 동일 논리로 현재 세계의 대부분의 지도에 "일본해"로 표기되어있는 한국식 "동해" 역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 없습니다. 역시 상대방의 국가가 교유명사를 어떠한 방식으로 표기하든 저희들과 상관이 없는 문제일 뿐이기 하셨으니 말입니다. 이 점에 동의하시는지 궁금할 뿐이군요. 그래서 옳다 그르다라는 가치 평가가 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해당 국가의 발음으로 고유명사를 표현한다는 것이 해당 국가를 존중한다고 언급한 것입니다. 님이 만약 일본해를 동해로 바꿀 필요도 없고, 독도가 다케시마로 표시되든 독도로 표시되든 상관없다고 여기신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이건 가치관이 다른 문제가 되니까 말입니다.



왠만하시면 덧글을 열어두셨으면 좋겠습니다. 덕분에 이리 트래백을 날리는 귀찮은(?!) 일을 해야된답니다. 물론 님도 자신의 생각으로 혹은 나쁜 과거의 기억으로 덧글을 닫아 두셨겠지만, 이글루스가 아닌 블로거로서 조금 힘들군요.  저의 원래 목적은 어디까지나 님이 말씀하신 몇가지 중국과 관련된 오류에 대한 반박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덧글만 있었어도 그냥 짦게 "현재 중국에서 오래동안 유학중인데 중국사람들 한국식 표기법으로 말하면 알아듣는답니다." + "장국영은 짱구워롱"이라고 스스로를 말한답니다." 라고 간단하게 해당 부분만 말했을텐데 말입니다.

사족일지는 모르겠지만, 저보다 나이가 많으실지 모르겠지만 마지막의 가르치는 듯한 말투는 조금 아니라고 생각하는군요. (그 외에도 몇 부분에서 나온답니다.) 아니시라고 부정하시고, 저만의 착각이라고 하신다면 더이상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Language > Chine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빈도가 높은 중국말 100문장.  (4) 2008.02.21
외래어 표기 - 중국4  (10) 2007.12.02
외래어 표기법 - 중국 2  (2) 2007.12.01
외래어 표기법 - 중국의 경우  (0) 2007.12.01
중국어에 대한 오해  (9) 2007.05.07

외래어 표기법의 개정을 바란다 3 에서 답변한 부분에 대한 재 답변입니다.

제 글의 오류라고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서
1. 중국인은 성조가 없어도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 중국에 사시는 분이 이렇게 이야기하면 할 말이 없습니다. 그러나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알아들을 때까지 시간이 걸렸으며, 때로는 알아듣지 못했습니다. 저는 필담이나 영어로 더 빨리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중국인이 우리 발음을 알아듣느냐, 그리고 알아듣지 못하느냐는 내 입장에서는 중요한 문제가 아닙니다. (3번 항목에서 다시 이야기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중국 지명, 인명을 우리식 한자 발음으로 읽는 것이 좋겠다는 것은 현지 발음을 익히기 위해 드는 수고가 불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인과 의사소통을 하고 싶다면 중국어를 배울 일입니다.

--> 최소한 지금 부터는 중국인들이 못 알아듣는다는 소리는 하지 마시라는 소리로 드린 말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말을 논리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현지 발음을 익히기 위해 드는 수고가 불필요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셨지만, 중국인들이 한국식 발음을 알아듣는다고 하였고, 지금 현재 교육대로 배우면 현지 발음을 두번 익히는 것이 아닌, 곧장 현지 발음을 익히는 것입니다.


2. 장국영도 자기를 "짱구워롱"이라고 합니다 - 음, 저도 할 말이 없어졌습니다. 우리말 표기는 "장궈롱"이라고 포스팅에 달아놓았습니다. 두 개가 똑같이 보이시는 건 아니시겠죠? 달아놓으신 것으로 보아서는 외래어 표기법 상의 경음, 격음 제외 원칙에는 반대하시는 건지요?

--> 이 부분은 장국영도 자신을 짱구워롱이라고 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반박입니다. 네. 저도 경음과 격음 제외 원칙에는 반대합니다. 해당 규칙으로 인하여 한글이 표현할 수 있는 음이 너무나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 생활에서 상당히 깨어져 나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표기방법과 실제 활용의 차이인데, 아마 이것이 점차 늘어날 것이고 해당 부분은 수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지음을 기본으로 하는 외래어 규정은 계속 유지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유는 아래쪽에 적겠습니다.


3. 정확한 발음과 알아듣는 발음 - 외래어는 우리끼리 하는 말입니다. 외국인과 이야기하고 싶다면 외국어를 배워야 하는 것입니다. 본래 제 포스팅에는 두 가지 논점이 함께 들어 있었기에 이해에 오해를 불러 일으킬 소지가 있었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제 이야기는 외래어 표기 원칙 자체가 이상하기 때문에 개정해야 하며(경음, 격음 표기 제외를 포함해서) 그중 특히 한자어로 표현되기 때문에 우리가 쉽게 읽을 수 있는 중국어 일본어의 경우는 한자어대로 읽자는 것입니다.

---> 외국인과 이야기 하고 싶다면 외국어를 배워야하겠죠. 하지만 해당 국가의 지명을 해당 국가의 발음에 가깝게 불러주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서양권의 도시와 인명에 대해서는 최대한 해당 인명과 비슷하게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불란서를 프랑스로 개정하듯이 이러한 현지 발음 중심으 개정은 옳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 경음, 격음은 반대합니다.

 


바로바로님의 개인적인 견해라는 부분에 대해서
1. 언어는 계속 변화합니다 - 맞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제가 중국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건 언어가 아니고 "문화"입니다. 그런 맥락에서 산서성과 산시성을 동시에 알아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제 의견인 것입니다. 학자도 아니고, 중국인과 대화를 할 필요도 없는 사람이 이 나라에 훨씬 많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동시에 알 필요가 없답니다. 그냥 산시성만 알면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산시성으로 교육을 시키고 있고요. 님과 같이 어느 정도 연배가 있으신 분들에게는 두가지가 다르게 보이시겠지만, 젊은 축은 처음부터 산시성으로 배운답니다. 두번 배우는 것 아니죠. 물론 그 연배분들은 두번 공부해야되는 수고는 부정하지 않겠습니다.


2. 젊은 세대는 외래어 표기법 개정을 확실히 인지하고 있습니다 - 죄송하지만 풍신수길의 맞는 외래어 표기법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입니다.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아닙니다. 이렇게 잘 안다고 자부하시는 분이 틀리는 것을 보면 정말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더욱 더 들게 됩니다. (저는 출판 관계 일을 십여년 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맞춤법과 외래어 표기법, 한글 로마자 표기법 등에 대해서 일반인보다 더 정확히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네. 오타입니다. 죄송합니다.


3. 한자는 인터넷 시대에 매우 비효율적인 언어입니다 - 또 한번 죄송스럽지만, 한자는 언어가 아니라 "문자"입니다. 우리말은 한자어로 이루어진 것이 매우 많습니다. 한자는 버릴 수 없는 우리의 문화유산 중 하나이며, 현행 학교 교육에서 가르치는 1800자 정도는 알아두면 정말 유용하며, 우리말의 이해력을 빨리 높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십여년을 국어 교육자로 지내온 제 처도 저와 공감하는 이야기입니다.

---> 죄송합니다. 제가 한자가 언어이자 문자인 중국에 있다보니 한국의 상황과 혼동했습니다. 물론 문화유산이며 보호해야되며 배워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한자라는 문자보다 한글이라는 문자가 언어학상으로 훨신 뛰어납니다. 특히 인터넷과 컴퓨터를 대상으로 비교해 보면 한자는 한글을 뛰어넘기 매우 힘이 듭니다. 물론 어느 정도의 한자를 알면 좋겠지요. 그리고 한국에서는 일정정도의 한자교육이 의무교육속에 포함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문화유산을 보호해야되는 것은 보호해야되는 것입니다. 한자음을 보호해야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한자음은 문자가 아닌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해당 발언은 님이 한자 숭배주의자처럼 보여서 그렇답니다. 전 한자교육은 필요하지만 특히 법률에 도배되어있는 한자는 반드시 수정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한글로도 동일한 표현을 얼마든지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자를 많이 알면 독해에 좋을 수도 있습니다. 저도 무협지를 읽으면서 많은 한자들을 자연스럽게 익혔던것 같네요.(멋쩍은 웃음-0-;;) 하지만 님이 말씀하셨다 싶이, 한자는 문자이며 한자음은 언어입니다. 한자를 공부하고 보호해야된다는 것과 한자음 대신에 해당 지역의 음절로 표현해주는 것은 서로 다른 문제입니다.

 

 

 

다시 한번 주르르르 저의 의견을 써보겠습니다.

저 개인적으로 경음과 격음을 배제하는 것은 한글자체의 성능을 떨어트리는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님처럼 외국지명이나 외국 인명, 특히 중국에 대한 고유명사에서 한국식 한자음을 주장하시는 분에게는 언어는 변화하며 지금은 과도기일뿐이라는 말을 해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반례를 하나 들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중국에서는 원음이 아닌 자신들의 방식으로만 고유명사를 표시하고는 합니다. 맥도날드를 "마이땅라오"라고 표시하고 외국의 인명...예를 들어서 칸트를 "캉더"라고 표시합니다. 컴퓨터쪽은 더 심한데, 마더보드를 뜻으로 번역해서 "엄마판때기"라고 합니다.  중국어 자체의 문제점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발음할 수 있는 음이 별로 없어서 최대한 원음에 따라서 고유명사를 정해도 원음과 너무나 다른 음이 나옵니다. 한국어가 원음과 비교적 비슷한 것에 비해서 많은 차이가 있죠.이로 인하여 학생은 외국어를 배울때 처음부터 끝까지 고유명사를 새로 배워야됩니다. 그리고 몇몇 영역(요즘은 특히 컴퓨터 영역)과 같은 경우는 아예 국가에서 제정된 고유명사가 아닌, 현지 언어로 나름대로 번역하거나 혹은 아예 영어로 써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제 한국과 관련된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한국의 수도는 서울입니다. 일본 및 다른 서양세계에서는 다들 서울이라고 부르죠. 하지만 중국에서만은 "한청"(한국음으로는 한성)이라고 불렀습니다. 요즘에 서울시가 계속 적으로 요구해서 지금은 "서울"이라고 부르고 있죠. 만약 님과 같은 생각을 가진 분들이라면 중국에서는 서울을 계속 한청이라고 불러야 옳은 것이겠지요. 하지만 한청이라고 부른다면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기분 나빠합니다. 님도 그런 기분 못 느끼셨습니까? 이와 같이 해당지역 언어 위주의 외래어 규정은 해당 지역의 사람들을 존중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한글 덕분에 많은 발음을 표시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고, 젊은 사람들이 점차 새로운 외래어표준어에 적응해가고 있으며, 해당 지역을 존중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또 한국식 한자독음은 1000년전의 당시의 외래어 규정으니 이제 변화해야 할 때가 아닌가라고 말 올리고 싶습니다.

'Language > Chine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래어 표기 - 중국4  (10) 2007.12.02
외래어 표기 - 중국 3  (2) 2007.12.02
외래어 표기법 - 중국의 경우  (0) 2007.12.01
중국어에 대한 오해  (9) 2007.05.07
主邮地址의 뜻  (1) 2007.03.22

외래어 표기법의 개정을 바란다 를 읽고 포스팅 합니다. 어떤 일을 하시는 분이신지는 모르겠지만, 중국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시지 못하고 적은 부분들이 눈에 띄어서 그 부분들을 지적해 볼까 합니다. 그리고 건의드리는데 외부인도 덧글을 달 수 있게 해주셨으면 더 좋지 않았나 싶습니다.

 

참고로 전 중국에서 6년째 지내고 있습니다.

 

1) 한국어로 쓴 중국인명이나 지명은 중국인들이 모른다?!

죄송하지만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알아 듣습니다. 북경이라고 하면 못 알아들을 겁니다. 하지만 "베이징"이라고 말하면 성조가 없더라도 중국인들을 알아 듣습니다. 손문같은 경우도 손문이라고 하면 결코 알아듣지 못합니다. 하지만 "쑨원"이라고 하면 알아듣습니다. 잘못 아시는 것입니다.

 

2) 왜 광동화도 알아야되냐?

할말이 없어졌습니다. 죄송하지만, 중국의 표준어와 광동화는 다릅니다. 광동화는 하나의 사투리일 뿐이고, 표준어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예로 드신 장국영같은 경우도 본인이 티비에 나와서 이야기 할때에는 분명히 짱구워롱이라고 한답니다. 그리고 "짱구워롱"이라고 하면 중국사람들 알아듣습니다.

 

3) 정확한 발음인가? 아님 알아듣는 발음인가?

님이 예로 드신 불어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불어선생님은 시네마가 무엇인지 알아들으셨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발음이 아니기에 씨네마로 수정한 것입니다. 그럼 어디까지가 정확한 발음이냐가 문제가 됩니다. 만약 중요한 회의나 학술회의같은 곳에서는 하나의 단어가 매우 중요하지만, 일상적인 회화에서는 하나의 단어가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서 알아듣는 수준이면 됩니다.

 

이상 님이 쓰신 글에서 나타난 오류을 적어보았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의견

개인적으로 한국이 채택하고 있는 외래어 표기법에 찬성합니다. 한글의 도구적 특징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훌륭한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양권의 언어를 현지어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는 님도 별다른 이견이 없으시리라 생각합니다. 흔히 님과 같은 반대자들이 내세우는 반박 근거들이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는 오래동안 서로 연관이 깊다.

정부에서도 해당 사항때문에 근대 이전의 인명이나 지명은 예전것을 이어나가겠다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예전의 중국어 독음은 고대중국어 독음을 차용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님이 말하시는 중국어 발음은 과거의 "외래어 표기법" 규정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동안 많은 시대가 변하였고, 이제 "현재"에 맞추어서 규정을 바꾸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요? 계속 변하는 것입니다. 언어는 고정되어있지 않으니까요.

 

2) 혼란스럽다.

님의 글을 보면 "풍신수길이라 적으면 간단할 것을 토요토미 히데요시인지, 도요토미인지, 도요또미인지 헷갈리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죄송하지만 연세가 어느정도 있으신거 같으시군요. 지금 현재 외래어 표기법이 개정된 이후 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토요토이 히데요시라고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 전에 교육을 받으신 분들의 경우 혼동하시곤 합니다. 님의 연세대에서는 혼동하실지 모르지만 젊은 층들은 혼동하지 않습니다. 정확하게 외래어 표기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3) 그리고...

사실 저희 아버님도 왜 북경이라고 하지 베이징이라고 하냐고 하십니다. 하지만 언어학상으로 보았을 때, 한국사람들은 북경이라고 하나 베이징이라고 하나 그 뜻을 알지 못합니다. 원래 뜻은 북족의 수도라는 뜻이죠. 혹시라도 한자로 표기하면 된다고 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지금 현재 한자의 종주국이라는 중국도 어떻게 하면 한자를 "버릴 수" 있을까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한자는 인터넷 시대에 매우 비효율적인 언어입니다.

 

결론적으로 지금 현재의 님이 느끼시는 혼란은 해당 시대의 교육을 받지 못하셨으며, 89년 개정되어서 아직 과도기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님의 생각과는 다르게 중국 지역의 본토 발음으로 표기를 하면 중국인들도 알아 들을 수 있습니다.

'Language > Chine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래어 표기 - 중국 3  (2) 2007.12.02
외래어 표기법 - 중국 2  (2) 2007.12.01
중국어에 대한 오해  (9) 2007.05.07
主邮地址의 뜻  (1) 2007.03.22
꼬라지 하고는...  (9) 2007.03.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