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 시행(‘14.7.1.)에 따라 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비롯한 우리 연구원의 다양한 연구결과물에 대한 효율적인 저작권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이 콜로키엄을 개최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 주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에 따른 저작권의 효율적 관리 방안


* 발표: 고길준(UN / CEFACT(유엔 산하 무역촉진 및 전자거래 표준제정 국제기구) Tourism & Leisure DTI 의장(WWW.UNCEFACT.ORG), 미림미디어랩(주) 이사


* 일시: 2014. 7. 24. (목) 10시~12시


* 장소: 국은관 1층 회의실


* 문의: 문화콘텐츠편찬실 이윤성(내선 653)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지사항



바로: 향토문화전자대전은 수 많은 사진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향문의 멀티미디어 자료는 국가의 기금으로 만들어진 공공의 데이터이다. 만약 이 데이터를 일반에 공개해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떤 결과가 있을까? 당장 생각나는 것만해도, 국내에서는 다양한 기본 인문학 출판물에서 자유롭게 정확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해외의 한국학 관련 출판사들은 저작권 문제로 인한 자금 압박에서 벗어나서 보다 많은 한국학 출판물들을 내보낼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정부 3.0이며! 이것이 인문학의 산업화이다. 산업화는 산업계에서 고민할 문제다. 인문학자는 산업화할 자료만 충분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디지털인문학을 전공하는 본인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라서 의아해 하실 분도 있겠지만, 디지털인문학의 최종목표는 어디까지나 인문학 연구이다. 산업화는 그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에 불과하다. (그렇다. 본인은 인문학 지상주의자이다. )



축사 : 노옹래 (전 국회의원)

전성흥 :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전 현대중국학회 회장, 현 인민대 방문학자)

한국에서 사회과학의 중국학 계보에 대한 이야기(관심없다는…본인은 인문학ㅠㅠ)와 중국유학생들에게 하는 조언(넓은 중국을 돌아다니고 어쩌고…솔직히 뻔한 말.) 무엇보다 교수님이 말한 것 대부분이 사회과학쪽 것인지라 크게 공감되는 면은 없었다^^:::

바로 : 개인적으로 어쩔 수 없다고 본다. 본인과 같은 고민은 상당히 특수한 것이다. 한국을 “기반”으로 하여서 중국을 연구하는 것과는 다르게 중국에서 오래동안 있으면서 한국도 아니고 중국도 아닌 이른바 중간자가 된 사람들의 고민은 너무나 특수하다. 교수님이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은 이미 많은 시간동안 자연스럽게 행해왔던 일이다. 넓은 중국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중국친구들이 있는 것. 문제는 그 다음이다. 존재적 기반에 대한 고민따위가 아니다. 진정한 중간자로서의 특수성을 어떻게 발현할 것인가?


중국에서의 정치 체험을 어떻게 할것인가?

교수님에 의하면 대화의 상대을 만나는 것.   바로 : 개인적으로  또다른 한 방법은 인터넷을 통한 사건분석이 더욱 더 정확할 것 같다. 마치 외부에서는 인터넷이 모두 통제되는 것으로 알지만, 실질적으로 찾아보면 의외로 쉽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