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자를 위한 디지털인문학 교육


 추진 배경

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을 융성할 수 있는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필요성

- 디지털인문학은 세계적으로 인문학 위기의 타개책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창조경제의 토대가 되는 인프라 구축 가능

 “초중등SW교육활성화 정책”에 필수불가한 인문학 소질을 갖춘 초중등SW 교육자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자 양성의 필요성


 사업 목적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 도약을 위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교육

 인문학 대중화를 통한 창조경제 인프라를 구축할 능력을 갖춘 디지털인문학자 양성


 사업 방향

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교육

 방학기간을 이용한 1~2주간의 집중 교육

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교육 및 실습

- 디지털인문학 DB 구축 영역(XML, TEI, RDB 등)

- 디지털인문학 분석 영역(말뭉치(Copus), 지리정보시스템(GIS),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등)

- 디지털인문학 시각화 영역(멀티미디어, 파노라마, 3D 모델링 등)

- 디지털인문학 교육방법 영역

 사업 결과물은 정부 3.0에 따라 모든 이들의 접근이 가능해야 함

- 접근성과 확산성을 위하여 필히 온라인으로 공개되어야 함



디지털인문학교육_초안_김바로.pptx





바로 : 심심풀이?! 겸 프로젝트를 위해서 구상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미국 NEH의 디지털인문학자 양성교육 프로그램들을 참고하였습니다. 아직 다듬어야되고 보충해야될 내용이 많지만...그냥 너무 오래동안 글을 안 올려서...~.~;;;


개인적인 생각일수도 있지만, 객관적으로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석박사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이 최고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미국이나 다른 국가의 디지털인문학 교육 과정을 보아도 한중연의 과정과 크게 다른 점이 없다. 대표적인 미국의 2주간의 집중과정이 한중연 한학기 프로그램과 비슷하다. 




다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는 고민이 남는다. 사실 기술 자체는 오히려 대학생들이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물론 대상이 되는 인문학 데이터 자체의 수준은 떨어지며,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디지털인문학을 할 수 밖에 없는 절박함이 없이 기술만을 배우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디지털 조선왕조실록은 인문학자에게 훌륭한 디지털인문학의 기본을 보여준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거나...완독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정이상의 전체 문장을 보지 않고, 검색을 통한 단편적인 자료 취득은 인문학의 쇄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다. 물론 이건 디지털인문학의 문제라기 보다는 인문학에서 어떻게 전통 인문학 교육과 디지털인문학 교육을 병행하느냐의 문제에 가까우며, 디지털인문학에 집중하는 본인으로서는 살짝 거리가 있기는 하다. 


+ Recent posts